정보
우리 역대 왕조에서 임금을 가리키는 호칭은 시대에 따라 다양했습니다.
그만큼 우리 역사가 다양하고 다이내믹했다는 얘기죠.
왕의 이름은 기본적으로 4가지였습니다.
아명(兒名)․휘(諱)․자(字)․호(號)인데, 이 가운데 일반 백성과 차별화됐던 것은 휘와 호였습니다.
특히, ‘호’는 일반인도 쓰는 호 말고도 묘호(廟號)․시호(諡號)․존호(尊號)를 붙였으니까, 실제 왕의 이름은 최대 7개까지 있었던 것이죠.
< 왕이 태어나면서 얻는 이름 – 휘(諱) >
휘는 쉽게 말해 왕의 본명입니다. 우리가 아는 이방원(태종), 이도(세종), 이산(정조), 이형(고종) 등이 왕의 휘죠.
왕의 휘가 특별했던 것은 고려부터 조선까지, 조선 태종과 단종을 빼고는 모두 외자였다는 것입니다.
이유가 있었죠. 피휘(避諱)라 해서 왕의 이름을 부르거나 문서에 쓸 수 없도록 금했거든요.
그래서 왕이 될 왕자의 이름은 실생활에서 잘 쓰지 않는 어려운 한자, 그것도 외자로 지었던 것이죠.
이성계도 왕이 되고 나서 이단으로 개명했죠.
왕의 존엄을 세우는 목적도 있었지만, 좋은 뜻을 가진 한자 수가 한정되어 있잖아요.
백성들도 이름을 지을 수 있도록 배려의 뜻이 있었던 것이죠.
우리나라에서 삼국시대까지는 피휘 관습이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몽골처럼 왕의 이름을 그대로 불렀죠. 추모대왕, 온조왕, 혁거세거서간 식이죠.
그러나 중국의 유학한자가 이 땅에 정착되면서 피휘가 엄격해 졌던 것이죠.
조선시대 사례인데요. 영조 26년(1796년) 대구 유생 이양채가 상소를 올립니다.
대구(大丘)의 구(丘)자가 공자 이름과 같은 구(丘)라서 향교 제사 때마다 공자의 이름을 범하게 되니까 도시 이름을 바꿔 달라는 것이었죠.
영조가 혀를 끌끌 차며 기각했지만 후대에 슬며시 대구(大邱)로 바뀌다가 철종 때 지금의 대구(大邱)로 완전히 둔갑했죠.
고구려 연개소문도 피해자인데요.
중국 사서에 연개소문의 이름은 천개소문으로 되어 있습니다.
당 고조 이연(李淵)을 피하기 위해 ‘연’씨 성을 ‘천’으로 고쳐버린 것이죠.
유학자 김부식도 삼국사기에서 중국 사료를 따라 개소문의 성을 천씨라고 쓰고 있고요.
현대판 피휘도 있죠. 지금 북한 주민들이 ‘일성’․‘정일’․‘정은’이란 이름을 쓸 수 없다고 하니까 한반도의 절반은 아직도 절대왕조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죠.
< 왕이 죽고 종묘 제사에 붙이는 이름-묘호(廟號) >
왕이 죽고 27달이 지나 왕의 신위를 종묘에 모셔 제사를 지낼 때 부르는 호칭이 묘호입니다.
태조, 세조, 세종 등 우리에게 친숙한 왕의 이름이 묘호죠.
묘호는 후대 왕과 신하들이 정하는데, 끝에 ‘조(祖)’나 ‘종(宗)’을 붙였습니다.
‘조’는 왕조를 창업했거나 국난을 극복한 임금에게 붙였고, 그밖에는 ‘종’을 붙였죠.
그러다보니 ‘조’가 ‘종’보다 격이 높은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죠.
고려는 창업자인 태조 왕건만 ‘조’가 붙었습니다.
그러나 조선은 태조 이성계를 포함해, 모두 7명이 ‘조’로 불렸습니다.
우선, 세조는 조카 단종을 몰아낸 세조의 공신들이 왕위 찬탈에 정당성을 부여하려 한 것이죠.
선조는 처음 묘호가 선종이었습니다.
아들 광해군이 국난을 극복한 공을 강조하며 선조로 바꿨죠.
인조도 세조와 마찬가지입니다.
반정세력이 입지를 키우기 위해 인조의 위상을 높인 것이죠.
영조․정조․순조도 처음에는 종을 붙였습니다.
순조는 강화도령 철종을 왕으로 만든 순원왕후가 철종을 움직여 남편의 격을 높인 것이죠.
영조와 정조는 고종이 ‘조’로 바꿨고요.
지금의 눈으로 보면 조일전쟁과 병자호란에 책임이 크고 사후대응도 칠칠치 못했던 선조와 인조가 ‘조’의 호칭을 받은 것은 납득하기 어렵죠.
세종도 ‘종’을 붙였는데 말이죠.
오늘날 우리 정치가 명심할 대목이죠. 후손에게 존중받는 것이 중요하지 번드르르한 이름을 갖다 붙였다고 능사가 아닌 것이죠.
사실 고려에도 ‘조’로 불릴만한 왕이 많았습니다.
조선보다 외침이 더 많았거든요. 대표적인 명군이 8대 현종(1009~1031년)입니다.
우리 역사에서 사생아가 왕이 된 유일한 인물일 것 같은데요.
강감찬을 중용해 귀주대첩으로 25년 대 거란 전쟁을 끝냈고, 고려실록 편찬․초조대장경 간행․개성 나성 축조․민생구호 등 문․무에 걸친 업적으로 도약기를 이끌어냈죠.
또 이후 왕실이 현종의 후손으로 이어졌거든요.
명실상부한 고려의 중시조로 볼 수 있죠.
삼국시대도 묘호를 붙인 사례가 있었습니다.
신라 29대 태종 무열왕 김춘추(602~661년)죠. 당이 시비를 걸었지만 신문왕이 관철했죠.
고구려도 삼국사기에 6대 태조대왕(47~165년)이 나옵니다.
그러나 고구려 태조는 재위 시 부른 호칭이고, 중국식의 묘호로 보기 힘들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해얼도 같은 의견인데요.
고구려는 광개토대왕을 ‘태왕’이라 부르고 연호도 사용했습니다.
이렇게 천하의 중심을 자부하며 고유방식을 고수했던 고구려가 전성기 광개토태왕이나 장수왕도 아니고, 유독 태조왕에게 중국식 묘호를 붙였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죠.
한편 연산군이나 광해군처럼 군(君)으로 기록된 임금도 있습니다.
폐위되어 왕자 때 작호를 붙인 것이죠.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실록이라 하지 않고 연산군일기, 광해군일기로 표현하고 있죠.
더 심한 대우를 받은 왕이 고려 32대 우왕과 33대 창왕입니다.
둘 모두 왕씨가 아니라 신돈의 핏줄이라고 폐위당해 처형됐는데요.
그것도 모자라 고려사에서 ‘신우’, ‘신창’으로 호칭하며 신하의 기록을 담은 ‘반역 열전’에 넣어 놨죠.
권력이 모질고,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라는 것을 실감하지 않을 수 없죠.
< 왕의 공덕을 기리는 이름 – 시호(諡號)․존호(尊號) >
시호는 왕이 죽으면 후대 왕과 신하들이 왕의 업적을 기려 올리는 이름입니다.
공훈이 있는 신하에게도 주는 점에서 묘호와 다르죠.
충무공 이순신의 충무가 시호죠.
고려는 몽골(원) 간섭기에 몽골(원) 대칸에게서 시호를 받았습니다.
몽골에 충성하라는 뜻으로 앞에 충자를 붙였는데, 25대 충렬왕부터 30대 충정왕까지 6명이죠.
조선은 처음부터 명에서 시호를 받았고요.
왕의 공덕을 기리는 이름으로 존호도 있는데요.
왕이 살아있을 때나 죽은 후 모두 올릴 수 있는 점이 시호와 다르죠.
< 왕의 그 밖의 이름들 – 아명(兒名)․자(字)․호(號) >
다음은 왕과 일반인이 공통적으로 쓰는 이름입니다.
옛날에는 아기들이 병으로 일찍 죽는 경우가 많아 일부러 천하게 이름을 지었습니다.
그래야 귀신이 쉽게 알고 잡아가지 못해 건강하게 클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죠.
세종의 아기 때 이름이 ‘막동이’, 고종은 ‘개똥이’였다고 하죠.
‘자’는 성인 관례를 치르고 받는 이름입니다.
유학한자문화권에서 이름은 왕․부모․ 스승이 아니면 쉽게 부르지 않는 관념이 있어서 관례 후에 새 이름을 지었던 것이죠.
‘호’는 자신의 취미나 성격 등을 반영해 스스로도 지을 수 있는 이름입니다.
지금의 필명이나 예명처럼 허물없이 부를 수 있는 별명이죠.
정조도 호가 있는데 ‘홍재’였죠.
< 왕은 자신을 어떻게 불렀을까? >
그런데 정작 왕은 스스로를 뭐라고 불렀을까요? 고려와 조선이 달랐는데요.
고려는 황제국을 지향하여 ‘외왕내제(外王內帝)’ 방식으로 때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했습니다.
그래서 고려는 왕실 호칭이 황제국과 같았습니다.
왕이 자신을 가리킬 때 짐, 다른 사람이 왕을 부를 때 폐하, 왕의 명령은 조서, 왕위를 이을 아들은 태자로 불렀죠.
4대 광종 때는 태조(천수)에 이어 다시 연호(광덕)를 쓰고, 개경을 황도로 높여 부르고요.
연호는 한자권에서 황제국 임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지표죠.
그러나 몽골 간섭기에 ‘짐’은 ‘고’나 ‘과인’으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격하됩니다.
조선은 알다시피 유학 이념으로 ‘외왕내제’가 없어지고, 사대를 자청했습니다.
다만, 묘호와 주상․성상 등의 낱말에서 독자적인 위상이 감지되기도 하죠.
그러다가 1897년 연호(광무)를 제정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해 겉포장으로나마 황제국 위상을 갖추게 되죠. ‘칭제건원’을 한 것이죠.
< 삼국시대․발해의 왕 이름 >
신라는 초기에 임금을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으로 불렀습니다.
중국식 왕 호칭이 사용된 것은 혁거세거서간으로부터 560년이 지난 22대 지증왕부터였죠.
신라 사회가 제정일치․ 부족연맹체․ 왕위세습정착 과정을 거치며 변화한 것이죠.
백제와 고구려, 발해의 임금 칭호는 처음부터 왕이었습니다.
다만, 백제는 중국 사서 ‘주서’에 색다른 기록이 전해집니다.
임금을 귀족들은 ‘어라하’라 부르고, 백성들은 ‘건길지’라 불렀다고 하죠.
보통 ‘어라’를 ‘크다’는 뜻으로, ‘하’는 고구려의 족장을 가리키는 ‘가’와 관계있는 것으로 보고 있죠.
끝으로 짧게 말씀드리겠는데요.
앞에서 ‘황제국’이란 말이 여러 번 나왔습니다.
보통 그 황제 밑에 왕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잖아요.
조선시대 황진이 추모시를 지은 임제도 임종시에서 이런 인식을 보이는데요.
사해 여러 나라들이 황제를 일컬어보지 않은 나라 없거늘 우리나라만 예부터 그러하지 못했다.
이런 나라에 태어났는데 죽음이 어찌 애석하랴 곡을 하지 말라.
자주의 정신이 충만해 해얼도 좋아하는 시죠. 다만, 우리나라만 그러하지 못했다는 임제의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렸습니다.
조선은 중화 세계질서 안에 있었으니까 부정하긴 어렵겠죠.
그러나 그 밖의 다른 세계질서에서는 임금을 어떻게 호칭하든, 설사 왕이란 말을 쓰더라도 황제와 동격인 것이죠.
예를 들면 아편전쟁 때 영국 왕은 청 황제와 대등했고, 지금 타이의 왕은 일본 덴노(천황)와 대등하잖아요.
둘이 서로 우열이 있다면 국력 차이지 칭호와는 관계없는 것이죠.
굳이 우리가 중화와 오랑캐라는 수직적인 중화세계관의 안경을 쓰고 역사를 볼 필요가 없는 것이죠.
황제라는 낱말은 중원 한족 그네들의 말일 뿐인 것이죠.
고구려와 발해, 나아가 몽골 간섭기 전의 고려는 중원과 다른 독자의 세계관을 갖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칭호가 왕이더라도 이동유목세계의 칸처럼 실질적으로 황제와 다름없었던 것이죠.
특히 고구려 태왕(대왕)은 국력 등 여러 면에서 중원의 황제와 동격이었죠.
우리가 은연 중 갖고 있는 수직적인 중화의 역사관을 벗어나자는 발상의 전환 차원에서 말씀드렸으니까 해얼의 사견이라고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관련 자료나 보다 상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ㅡ
https://youtu.be/5HyR7BcxM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