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이전 준공 188개 단지‧공사 중 105개 단지 대상 9월 말 결과 발표…철근 누락 발견시 시공사가 보수·보강 |
[K그로우 김하수 기자] 정부가 다음 달 말까지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약 300개 민간 아파트 단지에 대해 안전점검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민간 아파트 293개 단지의 안전성을 검증·보완하기 위한 전수조사를 다음 주부터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전국 민간아파트는 293개 단지, 약 25만가구에 달한다. 188개 단지는 2017년 이전에 준공됐으며, 105개 단지는 현재 공사 중이다.
이중 주거동에 무량판을 쓴 곳은 총 105개 단지로 확인됐다. 주거동에만 사용한 단지가 74개(시공 중 25개·준공 완료 49개), 주거동과 지하 주차장에 함께 무량판 구조를 쓴 단지는 31개(시공 중 21개·준공 완료 10개)다.
지하 주차장에만 무량판을 적용한 단지는 184개로 시공 중인 단지가 59개, 준공된 단지는 125개다.
이미 입주가 끝난 4개 단지의 경우 주민공동시설 등 기타 건물을 무량판 구조로 지었다. 다만, 이미 입주한 세대의 내부 점검은 점검 때 페인트와 벽지 등을 제거해야 해 입주민 동의가 필요하다. 입주민 동의 여부에 따라 조사 결과 발표가 늦어질 수 있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현재 공사 중인 사업장 105곳은 지정된 안전진단 전문기관을 통해 긴급 안전점검을 진행한다. 안전점검에 드는 비용은 공사비에 반영된 안전점검 비용으로 충당한다.
2017년 이전 준공된 188개 단지는 단지별로 안전진단 전문 기관을 지정한 뒤 점검에 들어간다. 소요 비용은 시공사가 부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점검 결과는 국토안전관리원이 확인한다.
정부는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조사 대상을 이번에 포함되지 않은 2017년 이전 준공 단지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점검 결과 철근 누락이 발견되면 시공사가 연말까지 보수·보강 조치를 실시하도록 할 계획이다. 설계·시공·감리의 위반 행위가 적발되면 관계법령에 따라 처벌도 이뤄진다.
앞서 철근 누락이 확인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발주 15개 아파트 단지는 다음 달 말까지 보강 조치를 완료하기로 했다. 시공 중인 6개 단지는 이달 안에 보강공사를 마치고 준공된 9개 단지는 다음 달까지 보강을 마무리한다. 준공 단지 중 보강 공사가 끝난 곳은 3개 단지다.
김오진 국토부 차관은 "전문기관을 집중 투입해 지하주차장뿐 아니라 주거동까지 설계도가 제대로 작성됐는지 확인하고 현장점검을 통해 정확히 시공됐는지 신속하고 철저하게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9월 말까지 완료되는 무량판구조 아파트 전수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무량판구조 안전대책 및 ‘건설 이권 카르텔’ 혁파방안을 10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출처] K그로우(http://www.kgrow.co.kr)
#k그로우 #부동산 #국토부 #무량판 #안전점검 #민간아파트 #전수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