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9:24~41 / 전에 소경이었던 사람을 만나 주시는 예수님
(요 9:24) 이에 그들이 맹인이었던 사람을 두 번째 불러 이르되 너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우리는 이 사람이 죄인인 줄 아노라
(요 9:25) 대답하되 그가 죄인인지 내가 알지 못하나 한 가지 아는 것은 내가 맹인으로 있다가 지금 보는 그것이니이다
(요 9:26) 그들이 이르되 그 사람이 네게 무엇을 하였느냐 어떻게 네 눈을 뜨게 하였느냐
(요 9:27) 대답하되 내가 이미 일렀어도 듣지 아니하고 어찌하여 다시 듣고자 하나이까 당신들도 그의 제자가 되려 하나이까
(요 9:28) 그들이 욕하여 이르되 너는 그의 제자이나 우리는 모세의 제자라
(요 9:29) 하나님이 모세에게는 말씀하신 줄을 우리가 알거니와 이 사람은 어디서 왔는지 알지 못하노라
(요 9:30) 그 사람이 대답하여 이르되 이상하다 이 사람이 내 눈을 뜨게 하였으되 당신들은 그가 어디서 왔는지 알지 못하는도다
(요 9:31) 하나님이 죄인의 말을 듣지 아니하시고 경건하여 그의 뜻대로 행하는 자의 말은 들으시는 줄을 우리가 아나이다
(요 9:32) 창세 이후로 맹인으로 난 자의 눈을 뜨게 하였다 함을 듣지 못하였으니
(요 9:33) 이 사람이 하나님께로부터 오지 아니하였으면 아무 일도 할 수 없으리이다
(요 9:34) 그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네가 온전히 죄 가운데서 나서 우리를 가르치느냐 하고 이에 쫓아내어 보내니라
(요 9:35) 예수께서 그들이 그 사람을 쫓아냈다 하는 말을 들으셨더니 그를 만나사 이르시되 네가 인자를 믿느냐
(요 9:36) 대답하여 이르되 주여 그가 누구시오니이까 내가 믿고자 하나이다
(요 9:37)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가 그를 보았거니와 지금 너와 말하는 자가 그이니라
(요 9:38) 이르되 주여 내가 믿나이다 하고 절하는지라
(요 9:39)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심판하러 이 세상에 왔으니 보지 못하는 자들은 보게 하고 보는 자들은 맹인이 되게 하려 함이라 하시니
(요 9:40) 바리새인 중에 예수와 함께 있던 자들이 이 말씀을 듣고 이르되 우리도 맹인인가
(요 9:41)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가 맹인이 되었더라면 죄가 없으려니와 본다고 하니 너희 죄가 그대로 있느니라
24절~27절 바리새인들은 전에 소경이었던 사람의 대화가 계속됩니다. 대화라기보다 심문에 가깝습니다. 바리새인들은 "너는 영광을 하나님께 돌려라. 우리가 알기로, 그 사람은 죄인이다."
그가 대답했습니다. “그분이 죄인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제가 아는 한 가지는 전에 제가 앞을 보지 못했으나 이제는 본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바리새인들은 그에게 또 물었다. "그 사람이 네게 한 일이 무엇이냐? 그가 네 눈을 어떻게 뜨게 하였느냐?" 그 사람이 그들에게 대답했습니다.
“내가 이미 당신들에게 다 말해 주었는데, 왜 들으려 하지 않습니까? 무엇을 다시 듣고 싶으십니까? 당신들도 그분의 제자가 되려고 그러십니까?” 순진하기도 하고 담대하기도 하였습니다.
28~29절 바리새인들은 눈뜬 사람은 예수님의 제자이지만 자신들은 모세의 제자라고 말합니다. 예수님은 분명히 하나님으로부터 오셨습니다. 말씀과 표적을 통하여 이를 보여주셨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율법에 매여서 예수님이 하나님께로 오신 선지자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30~33절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을 죄인으로 몰아붙였지만, 눈을 뜬 사람은 예수님을 하나님께로 오신 선지자로 아주 논리적으로 증언하였습니다. 눈뜬 사람은 믿음을 지켰을 때 바리새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전도자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한 가지, 아는 것을 붙잡을 때 우리의 믿음은 더욱 성숙해집니다. 우리는 성경 말씀을 말할 수 있고 예수 그리스도를 전할 수 있게 됩니다.
34절“그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네가 온전히 죄 가운데서 나서 우리를 가르치느냐 하고 이에 쫓아내어 보내니라”
바리새인들은 눈뜬 사람의 말을 반박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자 그들은 죄인으로 태어난 주제에 우리를 가르치느냐고 책망하고 자신들이 가진 공권력을 사용하여 눈뜬 사람을 출교시켰습니다.
35~38절 예수님은 눈뜬 사람이 출교당한 것을 알았습니다. 예수님께서 바리새인들이 회당에서 그 사람을 쫓아냈다는 소식을 듣고 그 사람을 찾아 말씀하셨습니다. “너는 인자를 믿느냐?”
그 남자가 대답했습니다. “선생님, 인자가 누구신지 말씀해 주십시오. 제가 그분을 믿겠습니다!”
(요 9:37)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너는 이미 그분을 보았다. 지금 너와 함께 이야기하고 있는 사람이 바로 그 사람이다.”
그러자 그 사람은 “주님, 제가 믿습니다!”라고 말하면서 예수님 앞에 무릎을 꿇었습니다.
39절 예수님은 세상을 심판하러 오셨다고 말합니다.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보지 못하는 자들에게 그리스도를 보게 하기 위해서 오셨습니다. 그리스도를 믿고 영생을 얻고 하나님 나라로 가게 하기 위해서 오셨습니다. 그러나 보는 자들은 맹인이 되게 하기 위해서 오셨습니다.
40~41절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있던 바리새인들은 “우리도 소경인가요?” 물었습니다.
우리도 죄인인가 묻는 말입니다. 예수님은 그들이 죄인인 것을 인정하면 죄 사함을 받고 영적인 눈을 뜰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들은 죄 사함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의인이라고 하니 영적인 소경입니다. 우리가 영적인 눈을 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죄인인 것을 알아야 하고 회개하여 죄 사함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믿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어떻게 영적인 눈을 뜰 수 있습니까?
우리가 핍박 중에도 한 가지 받은 은혜를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는 단 한 가지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붙잡아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의 믿음이 성장하여 예수님을 온전한 그리스도로 믿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예수님을 믿을 때 어떤 희생도 각오해야 합니다. 이익에 눈이 멀어서는 안 됩니다. 자신이 예수님을 만나기 전에 소경이었음을 인정해야 합니다. 죄인임을 인정해야 합니다.
편견에 눈먼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러면 예수님께서 우리의 죄를 사하시고 우리의 영적인 눈을 뜨게 도우십니다. 우리는 영적인 소경이었던 것을 인정하고 예수님의 빛을 보고 영의 눈을 뜨게 되기를 축복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