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 채권 안예하]
Kiwoom Fixed Income Issue
2월 금통위 Preview: 최종금리 2.25%가 되려면
•한국은행 2월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2.75%로 25bp 만장일치 인하할 것으로 전망. 1월 금통위 당시 성장률 하향 조정을 사전에 예고하는 등 경기 하방 위험이 높아졌으며, 환율 변동성 또한 둔화되었다는 점에서 금리 인하 단행 예상.
•단, 최근 이창용 총재의 매파적인 발언을 감안, 1월 금통위는 ‘동결과 비둘기’였다면 2월 금통위는 ‘인하와 매’일 것으로 예상. 추가 통화 완화보다 재정 정책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음. 한은은 금리 인하 속도를 가파르게 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물가 반등 혹은 금융안정 측면에 대한 부담을 고려하는 것으로 판단. 완만한 속도의 인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매파적인 시그널을 보낼 것.
•한편 최근 시장금리를 살펴보면 기준금리 2.50%와 2.25%를 두고 의견이 분분한 상황.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가 경기 부양에 초점을 맞추는 상황이라면 중립금리 하단인 2.25% 수준까지는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판단. 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결국 미 연준임. 현재로서는 상반기 중 미 연준의 금리 동결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으나, 관세정책으로 인한 물가 영향이 크지 않다면 완만한 디스인플레 속 6, 9월 두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이 부각될 것.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확대는 한은의 2.25%까지 금리 인하 기대를 높일 조건.
•결국 미 연준 정책 방향의 윤곽이 드러나는 2분기 중까지 국내 시장금리는 기준금리 2.50%를 가정에 두고 추경 편성 규모 등 재정에 집중되어 변동할 것으로 예상. 단기적으로는 보수적 대응이 필요해 보임. 다만,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의 영향을 확인하는 2분기를 지나면서 미국채 금리 하방 가능성(완만한 디스인플레 구간 확인 + 미 연준 금리 인하)이 높다고 판단하는만큼 국고 3년물 2.7% 이상 구간에서 매수 확대 필요.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IA803.pdf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