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2/20 Bloomberg> 한화 임혜윤
1) 트럼프, 우크라이나 압박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독재자”라 부르며, 미국이 러시아와 협상 중인 종전 협상 조건을 수용하도록 우크라이나를 압박. “선거가 없는 독재자 젤렌스키는 빨리 움직이지 않으면 나라가 남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바이든 전 대통령이 제공한 원조를 이용해 먹고 있다고 비난하고 러시아가 2022년 우크라이나를 무단 침공하면서 시작된 분쟁이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우크라이나의 책임이 있음을 암시
2) FOMC 의사록, 인플레이션 개선될 때까지 금리 동결
지난달 연준 인사들은 끈질긴 인플레이션과 정책 불확실성 속에 기준금리를 동결할 준비가 되어있음을 시사. “참석자들은 경제가 최대 고용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한다면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추가로 조정하기 전에 인플레이션의 추가 진전을 보고 싶다”고 밝혔음. 의사록은 신중한 접근 방식을 강조하면서 “많은 참석자들은 경제가 강세를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을 경우 정책 금리를 제약적인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고 전했음
3) ECB 슈나벨, ‘금리인하 일시 중단 또는 종료’
이사벨 슈나벨 유럽중앙은행(ECB) 집행이사는 이번 금리인하 주기의 일시 중단이나 전면 종료를 논의할 시점이라고 주장. 대표적 매파인 슈나벨은 “우리는 금리 인하를 잠시 쉬거나 멈춰야 할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다”며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 3월 회의에서 통화정책이 여전히 유로존 경제를 제약하고 있다는 문구를 성명서에서 삭제할지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음. 슈나벨 발언 이후 트레이더들은 ECB의 연내 금리 인하 프라이싱을 76bp에서 72bp로 낮췄음
4) 英 인플레이션 10개월래 최고. BOE 인하 기대↓
지난달 영국의 소비자 인플레이션이 항공료와 휘발유, 식료품 가격 상승과 더불어 사립학교 수업료에 대한 부가가치세(VAT) 부과로 10개월 만에 최고치인 전년비 3%를 기록. BOE는 에너지 비용 영향으로 올 3분기에 인플레이션이 3.7%까지 치솟아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JP모간 애셋 매니지먼트는 강한 임금 데이터와 인플레이션 수치가 “BOE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이달 인하 결정에 의문을 제기할 것”이라고 진단. 트레이더들은 BOE 금리 인하 기대를 다소 낮춰 올해 25bp씩 2차례를 예상
5) 지난달 중국 외환 유출 급증. 위안화에 불길한 신호
트럼프 관세에 대한 우려가 위안화의 매력을 반감시키면서 지난달 중국의 외환 유출이 가속화.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에 따르면 중국 국내 은행들은 고객들에게 392억 달러 상당의 외화를 순매도했는데, 이는 7월 이후 가장 큰 규모. “1월의 자본 유출은 주로 트럼프 취임식을 앞두고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위안화 약세 압력이 가중된 데 따른 것”이라고 ANZ는 진단. 외환 유출이 증가하면서 위안화에 대한 비관적 전망도 부각되고 있으며, 무역 긴장과 미-중 금리 격차 확대에 추가 위안화 약세 경고도 나오고 있음
(자료: Bloomberg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