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계법인 삼정KPMG에서 2023년 산업별 전망을 내놨습니다.
긍정적인 분야는 스마트폰, 자동차, 화학, 에너지, 제약, 항공, 관광, 게임, 미디어, 유통, 비생명보험 등입니다.
부정적인 분야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철강, 조선, 해운, 식품, 식당, 패션, 신용카드, 생명보험 등입니다.
내년에 기업들이 중점을 둘 Key Word는 디지털, 친환경, 저탄소, ESG 등입니다.
산업별 회계법인의 조언도 흥미롭습니다.
Smartphone, pharmaceutical, game industries to shine in 2023: report
2023년 스마트폰, 제약, 게임산업 밝은 전망
By Yoon Ja-young 윤자영 기자
Posted : 2022-12-21 15:56 Updated : 2022-12-21 15:56
Korea Times
Despite the current economic uncertainties, some industries will see more demand in the latter half of next year thanks to the recovery that is forecast to follow the shift to managing COVID-19 as endemic and an expansion of the market, Samjong KPMG noted in a report.
삼정KPMG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경제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엔데믹과 시장확대로 코비드19를 관리하면서 내년 하반기에 수요증가가 예상된다.
The accounting firm released its 2023 outlook for the major industries, Wednesday, where it gave a partially positive outlook for 12 industries. They are: smartphones, automobiles, petrochemicals, energy, pharmaceuticals, airlines, tourism, games, media, retail, cosmetics and non-life insurance.
수요일 한 회계법인이 2023년 주요산업전망을 발표했는데 12개 산업부문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들은: 스마트폰, 자동차, 화학, 에너지, 제약, 항공, 관광, 게임, 미디어, 유통, 비생명보험 등이다.
In case of the gaming industry, which is relatively less sensitive to macro-economic conditions, major game companies are scheduled to release new games, it noted. "The local gaming industry will diversify their platforms, with major game companies aggressively tackling overseas markets by releasing console games." It advised that investments and M&A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gaming industry for more diversity in platforms, regions and genres, as there will be moves to diversify income sources.
거시경제에 덜 민감한 게임산업의 경우 주요 게임회사들은 새로운 게임을 출시할 것을 주목했다. “국내 게임산업은 콘솔게임을 출시하면서 해외시장을 공격적으로 공략하며 플랫폼을 다양화하고 있다.” 지역이나 장르에 있어서 수입원을 다양화하면서 게임산업은 투자와 M&A를 고려할 것을 조언했다.
Despite negative consumer sentiment due to worries of an economic recession, the report expected exports of Korean content as well as investments to continue expanding. It recommended partnerships with overseas players as well as strengthening ICT capability for expansion into other industries.
보고서는 경제침체에 대한 우려로 부정적인 소비자정서에도 불구하고 한국 콘텐츠에 대한 투자와 수출을 기대하고있다. 해외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다른 산업으로 화장을 위한 ICT능력을 강화할 것을 조언했다.
Regarding smartphones, the market is expected to grow slightly in 2023. "With some negative facto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nd geopolitical risks easing, the market may grow on the release of new products such as foldable smartphones and wearable devices," it noted.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2023년에 약간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비드19 팬데믹과 지정학적 위험완화와 같은 부정적인 요인들과 함께 시장은 폴더블 폰과 웨어러블 기기 같은 신제품 출시로 성장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Demand for energy is expected to increase 2.2 percent next year here. The accounting firm expected renewables and nuclear to lead the energy consumption increase, while demand for gas will inch down on the unprecedentedly high prices. It advised investments in next-generation nuclear power plants, as well as diversifying gas imports for a stable energy supply.
내년에 에너지수요는 2.2% 증가가 예상된다. 이 회계법인은 재생 에너지와 원자력이 에너지 소비 증가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고, 반면 가스 수요는 유례없이 높은 가격을 밑돌 것으로 예상했다. 이 법인은 안정적인 에너지공급을 위한 가스수입을 다양화하고 차세대 핵발전소에 대한 투자를 조언했다.
The non-life insurance industry saw its loss ratio fall thanks to the extension of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s, and the industry is expected to continue growth in 2023. Samjong KPMG, however, stressed that they should focus on maintaining the soundness of their assets amid the economic slowdown as well as use channels that are efficient in the digital era.
비생명보험은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으로 손실율의 감소를 보이고 있어서 2023년에도 계속 성장할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삼정 KPMG는 디지털시대에 효과적인 채널을 사용하면서 경제침체속에 자산건전성유지에 초점을 두어야한다고 강조했다.
Meanwhile, semiconductors, displays, steel, shipbuilding and the marine industry, the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fashion, banking, credit cards and life insurance were cited as industries with a negative outlook next year. Noting that the global semiconductor market is feared to see negative growth next year, the report advised redesigning the global value chain as well as managing risk by monitoring the semiconductor industry development plans of major countries.
한편, 내년에 반도체, 디스플레이, 철강, 조선, 해운, 식품, 식당, 패션, 신용카드, 생명보험은 부정적으로 전망하고있다. 보고서는 내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마이너스 성장이 우려된다는 점에 주목해 주요국의 반도체 개발계획을 모니터링해 리스크 관리는 물론 글로벌 가치사슬 재설계를 권고했다.
Local display companies are expected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displays while withdrawing from the LCD market. The report advised setting up new competition strategies such as the further development of OLED technology and premium display lineups while strengthening stability by expanding supply chains to numerous global firms.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LCD 시장에서 철수하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OLED 기술과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라인업의 추가 개발 등 새로운 경쟁 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공급망을 다수의 세계적인 기업으로 확대해 안정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expected to see a downturn in 2023 as the government has slashed the social overhead capital budget for infrastructure investments while the interest rate is rising, adding to financing costs. It stressed that firms invest into digital processes as well as nurture their competitive edge in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ally friendly, low-carbon methods.
건설업계는 금리가 오르는 가운데 정부가 인프라 투자를 위한 사회간접자본 예산을 대폭 삭감하면서 2023년에는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업들은 환경친화 적이고 저탄소 산업으로 전환하여 경쟁력을 키우고 디지털 프로세스에 투자할 것을 강조했다.
"Despite extreme global uncertainties, there do exist recovery factors. Local businesses are advised to closely monitor policy changes in each industry, and advance into the global market while strengthening digital and ESG strategies for improve their competitive edge," it noted.
“세계적으로 대외적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회복요인들도 있다. 국내산업은 각 산업의 정책변경을 면밀히 검토하고 경쟁력을 키우는 디지털과 ESG전략을 강화하면서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것을 조언했다.”고 발표했다.
#스마트폰 #자동차 #화학 #에너지 #제약 #항공 #관광 #게임 #미디어 #유통 #비생명보험 #반도체 #디스플레이 #철강 #조선 #해운 #식품 #식당 #패션 #신용카드 #생명보험 #디지털 #친환경 #저탄소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