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가 되어버린 기러기 / 雁(안)
雁
기러기(안)3
아주 옛날, 집에서(厂) 사람과(⺅) 더불어 살았던(隹)
厂 언덕(한) / 바윗집(엄)
人( 亻) / 隹 새(추)
기러기는(雁)
雁書(안서); 편지
기러기 → 오리
應
응할(응)4
주인의 마음과(心)
广(厂) / 應(応)
잘 호응하여(應), 반응(反應)을 곧잘하는 새이다.
呼應(호응) 應答(응답)
鷹
매(응)2
매(鷹)도 길을 잘 들이면 호응을(應) 잘하는
鷹揚(응양)
새로(鳥) 키워
鳥 새(조)
膺
가슴(응)1
내 품의(月)
月(육달월) / 肉體(육체)
가슴에(膺) 안기우게 할 수 있다.
膺懲(응징)
* 춘향이가 이 몽룡에게 보낸 편지
春香(춘향)
雁 隨 海(안수해) / 기러기는 바다를 따르고
隨行(수행) / 따를(수)
蝶 隨 花(접수화) / 나비는 꽃을 따르며
胡蝶(호접) / 나비(접)
蟹 隨 穴(해수혈) / 게는 구멍을 따른다.
蟹 게(해) 穴구멍(혈)
安
편안할(안)6
외출했던 딸이(女) 집에(宀) 돌아와 있으니,
마음이 便安(편안)하다 / 편안할(安)
宀 집(면) / 家 집(가)
女 계집(녀) / 嫡 아내(적)
외출한 딸이(女) 아직 집에(宀) 돌아오지 않으니,
不安(불안)하다.
安全(안전) / 온전할(전)
安寧(안녕) / 편안할(녕)
案
책상(안)5
나무로(木) 된 책상 앞에 편안하게(安) 앉아서
아이디어를 고안해내다(案)
考案(고안) / 상고할(고)
案件(안건) / 사건(건)
나무로(木) 된 책상 앞에 편안하게(安) 앉아
안내를(案) 맡아보다.
案內(안내) / 안(내)
按
누를(안)2
심신이 안정을(安) 되찾을 수 있도록
스트레스 받은 부위를 손으로( 扌)
安靜(안정) / 고요할(정)
按舞(안무) / 춤출(무)
눌러(按) / 按摩(안마)하다.
摩擦(마찰) / 문지를(마)
摩天樓(마천루) / 빌딩
宴
잔치(연)3
(밤 늦도록)
집(宀) 안을 환하게 밝히어(日) 기녀와(女) 노는
宮(宀) / 阿房宮(아방궁)
잔치(宴) / 宴會(연회) / 祝賀宴(축하연)
壽宴(수연) / 長壽(장수)
披露宴(피로연)
시치미
출처: 스토리텔링 벽운한자 원문보기 글쓴이: 벽운
첫댓글 추석 잘 보내셨는지요 감사합니다 선배님
추석 연휴 잘 보내고 있습니다..ㅎㅎ그 어느 때보다도길고 풍성한 추석 연휴입니다.새 기운 충전 잘하시고늘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첫댓글 추석 잘 보내셨는지요 감사합니다 선배님
추석 연휴 잘 보내고 있습니다..ㅎㅎ
그 어느 때보다도
길고 풍성한 추석 연휴입니다.
새 기운 충전 잘하시고
늘 행복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