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동 Cycle의 원리
냉동 Cycle의 원리
압축기에서 흡인된 저온저압의 가스는 압축기용 모타의 회전 에 의하여 고온고압의 가스상태로 압축되어 토출관을 통하여 응축기로 유입되고 외부의 열을 방출하여 액화되며 액화된 가스는 모세관을 통과하면서 감압,팽창하여 증발기로 유입되며 증발기에서 기화, 증발하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동이된다.
기본 냉동 CYCLE
기본 냉동 CYCLE
에어컨의 종류
기능에 따른 분류
- 냉방전용
- 냉방, 제습전용
- 냉방, 히트펌프 난방겸용
- 냉방, 제습, 히트펌프 난방겸용.
- 냉방, 전열 장치 난방겸용
- 냉방, 제습, 전열장치 난방 겸용.
유니트 구성에 따른 분류
- 일체식
- 분리식
냉각방식에 따른 분류
- 공냉식
- 수냉식
설치형태에 따른 분류
• 일체형 – 창문형
• 분리형 – 천장형
- 벽걸이형
- 덕트형
- 입형
- 가변 팬코일형
실외기 구성도
각 기능별 동작 및 역할
압축기
증발기에서 증발한 냉매증기를 흡입하는 작용과 그 증기를 응축기의 포화압력까지 압력을 높여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즉 고온고압의 GAS를 만듬(RPM:3000~3600)
응축기
압축기로부터의 토출되는 냉매GAS를 받아들이고 응축시켜서 재 액화 시킴
즉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증기를 상온고압으로 응축액화함
응축기의 냉각작용이 크면 응축기내의 온도가 낮아지고 응축압력도 낮아짐
액화된 냉매는 보통의 응축온도보다 더 낮은 과냉각액체가 되어 응축기에서 나옴
(응축기에서 제거하는 열량=압축기가 한 열량+증발기에서 냉매가 흡수한 열량
각 기능별 동작 및 역할
STRAINER
응축된 냉매의 불순물을 걸러줌
DRYER
순환되는 냉매 GAS로 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냉매회로 막힘불량을 사전 방지함(수분은 제거하고 냉매함 통과시킴)
모 세 관(팽창장치)
응축기로부터 나오는 액체냉매를 교축,팽창시켜서 증발기로 보냄
즉 냉매의 흐름을 제한해서 압력을 낮게 유지해서 냉매가 증발되기 쉽도록 함
정상적인 운전상태에서는 CAP-TUBE입구에서는 액체의 냉매가 가득차게 되는 소위 액봉의 상태로 되어야 함
냉동 CYCLE의 고압측과 저압측의 경계선이 되는 곳임
과부하릴레이
과부하보호기(OVER LOAD RELAY)
에어컨 운전중에 입력전압이 정격전압보다 너무 낮거나 높을 경우,또는 에어컨을 정지후 3분이내 운전시킬경우에 입력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여 콤프레샤의 모터권선이 소손되어 불량이 원인이 된다.
이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OVER LOAD REALY를 사용하여 에어컨이 과전류가 흐를 경우,또는 콤프레샤가 과열될 경우 OVER LOAD REALY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전류을 차단시키므로 콤프레샤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OLP의 이해
OLP 의 역할 및 종류
OLP 의 역할
OVER LOAD PROTECTOR로서 압축기의 온도와 전류치를 감지하여 압축기의 ON/OFF를 제어하는 안전장치임
OLP 의 종류
① Internal OLP
압축기 내부에 장착하여 온도 및 전류치를 감지
대용량(2K Btu급 이상) 모델에 적용중
정확한 온도감지가 가능하나,압축기내부의 관리나 액냉매 유입등의 문제에 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있음
OLP 의 이해
OLP 의 종류
② External OLP
압축기 DOME에 부착되어 온도 및 전류치를 감지함
삼성 전모델 및 외자,LG,대우 중소형 압축기에 적용중
③Thermostat
자동 온도 조절 장치라하며 온도만을 감지함
Internal type 과 External type 2종류가 있다
에어컨에 사용되는 자동복귀형 고압 및 저압 압력차단 스위치
에어컨에 사용되는 자동복귀형 고압 및 저압 압력차단 스위치
자동복귀형 고압,저압 차단 스위치
자동복귀형 고압,저압 차단 스위치
고압 스위치
필터드라이어 (FILTER DRIER)
필터드라이어 (FILTER DRIER)
실내기 구성도
각 기능별 동작 및 역할
증발기
액체의 냉매를 증발시켜서 증발잠열에 의해 열을 흡수하여 저온을 생성함
수액기 (ACCUMULATOR)
COMP로 습냉매(액체냉매)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COM
P의 효율을 좋게함
교축작용
가스는 저항이 큰 곳을 통과 할때 마찰이나 흐름의 흩어짐으로 인하여 흐름 방향으로 압력이 강하한다.
즉 기체가 임의의 가는 구멍을 통과할 때에는 흐름의 교량으로 압력이 내려간다. 이와 같이 압력이 저하되고, 엔탈피가 일정한 변화를 교축팽창(Throtting Expansion)이라고 한다.
01년 냉방능력 표기 방법
01년 출시 제품 냉방능력 표기 방법
기존(“00년이전): Kcal/h, 변경(“01년): W
적용 모델: “01년 출시 전 제품
변경 사유: KS규정 개정에 따른 변경
설명 요약: “00년 이전 제품 냉방능력 표기 시 Kcal/h를 사용 “01년 이후 제품은 W 로 표시
상담 요령: 고객 Kcal/h 및 평수 문의시 응대방법
경험치에 의한 용량 선정의 예
*경험치 (실평수 : 각 사 에어컨 업체의 표기 평수)
- 열기구를 쓰는 식당, 고기집 등은 실평수의 최소 2배이상 용량의 에어컨 선정.
예) 업소평수 20평 : 종엄원 3명, 개방된 주방, 식탁용 가스렌지 8개 (식탁수), 업소용냉장고, 삼겹살 구이집, 평상시 손님 테이블수 4테이블 이상일 경우 적정에어컨 용량 40평형 이상 권장
- 노래방, PC방, 사무실, 비디오방은 실 평수보다 최소 1.5배 선정
예) 사무실 평수 15평 : 근무인원 8명, 복사기1, 팩스1, 컴퓨터나 TV1, 냉장고1, 있는 경우 적정 에어컨 용량으로는 20~25평형 권장
- 아파트 , 가정집의 에어컨 선정
20~30 평형 : 15평형 에어컨
30~40 평형 : 18평형 에어컨
40~50 평형 : 25평형 에어컨
50평 이상 : 전체냉방 (거실 및 각방)
에어컨 전기 용량
- 벽걸이형의 경우 220v 약 1㎾의 전기 용량이 사용.
- 스탠드형은 220v 약2~3㎾의 전기 용량이 사용.
- 사무실, 업소용 에어컨중 40평 이상은 380/220v 3상전원 5㎾이상이 되어야 설치가 가능합니다. (관리실이나 전문가의 확인 요망)
- 아파트 및 가정집(주로 생활하는 공간이 거실 및 주방 쪽입니다.) 거실에 설치할경우에는 33평형의 경우 약 20평형 정도가 적당합니다. 그러나 더위를 많이 타는 분이 게시거나,식구 수가 많고 유난히도 햇빛이 많이 들어오는 위치에는 25평형 정도를 선택 바랍니다.
★ 주의 사항
- 에어컨 설치시 에어컨의 전용 개폐기에 전선을 연결해 주시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 업소용 에어컨을 설치시에는 차단기의 용량이 에어컨의 기동전류보다 큰 차단기를 설치하여 주십시오.
- 3상 전기를 사용시에는 신호선을 연결할때 주의 하여 연결하여 주십시오.
1)실내기 및 실외기 설치 위치 선정
- 설치 위치 및 서비스 공간 확보
2) 배관
- 표준배관, 허용배관길이, 추가 냉매 봉입량
- 오일 트랩 및 액루프
- 배관 가공 및 접속, 드레인 설치
- 용량별 전기 배선 선정 방법
벽면가공
벽면가공
배관 작업
3) 냉매배관은 완료 후 필히 단열작업을 실시합니다. 각각의 배관을 단열재를 이용하여 단열합니다.
4) 실내, 외기의 플레어 접속은 필히 두개의 스패너를 사용하여 함께 조입니다.
배관작업시 주의 사항
1. 단열재 작업시 두께가 5mm 이상인 단열재를 사용 할것.
2. 가스관에 단열재 처리를 하지만, 벽걸이 형이나 멀티형등 팽창밸브
가 실외기에 있을경우 액관에도 단열처리 할것.
3. 마감보호 테이프를 작업할때 실내기쪽 부터 작업할것.
4. 배관 밴딩작업 및 설치 작업은 실내기쪽 부터 연결하여 실외기쪽은
마지막에 연결할것.
5. 배관을 벽면 통과할때 배관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할것.
6. 에어컨 설치시 비오는 날이나 습기가 많은날은 작업을 하지 말것.
7. 배관의 밴딩 작업이 가능한한 적게 할것.(밴딩회수가 5회 미만)
8. 배관길이가 수직으로 10m 이상이면 오일 트랙을 설치할것.
9. 배수관에 찌그러지거나, 꺽이는 부분이 없게 할것.
메니폴드게이지 연결법
메니폴드게이지의 사용법
① 압력계는 엄밀한 검사하에 내부를 정확하게 조정해서 봉인한 것이므로 뚜껑을 열거나 분해 조작을 삼가 하십시오.
② 고저압의 오 접속이 없도록 하십시오.
③ 연결 호스의 L형으로 굽어진 쪽 너트 내부에 고무패킹이 없으면 냉매가 누설되므로 반드시 확인하여 사용 하십시오
④ 연결 호스를 연결시 호스내의 공기 (불응축 가스)를 완전히 배출하여 사 용하십오.(단 진공시는 관계 없슴)
즉, 연결 호스의 반대편 너트나 밸브를 조금 열어두어 유니트 내부의 압력 에의해 호스내의 공기가 빠져 나가도록 해두고 연결 호스를 완전히 연결 한 다음, 공기가 다 배출되었다고 생각 될때, 반대편 밸브나 너트를 완전 히 닫아준다. (에어 퍼지)
⑤ 보관시 압력계를 제로로 하고 연결 호스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연결 호스 너트를 밸브 뒤의 접속 나사부에 연결시켜 두십시오.
서비스밸브의 종류 및 구조
실외기 냉매를 이용한 방법
1. 실내, 외기 배관을 연결한다.
2. 서비스 밸브의 캡을 연다.
3.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돌린후 10초 정도 에어퍼지를 한 후에 다시 시계방향으로 90。돌려 잠근다.
4. 니이들 밸브 캡을 열고 니이들 밸브를 3초간 3회 반복하여 눌러 가스를 빼낸다.
(이 과정에서 공기를 완전히 빼냄)
5. 가스측, 액측 서비스밸브를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완전히 연다.
6. 각 밸브의 캡을 씌운다.
7. 밸브누설을 확인한다.
드레인 설치
실내기의 드레인 배관은 벽걸이는 좌, 우방향, 입형은 우, 후방향으로 가능합니다.
드레인 배관은 설치자재에 포함된 드레인 호스를 사용합니다.
※ 아래 사항에 주의하여 배관을 합니다.
최종배출구까지 드레인 호스의 중간에 올라가는 부분이없도록 배관합니다.
연장 드레인 호스가 실내에 있거나 응축수가 떨어져서는안 될 경우는연장 드레인
호스부분을 단열 처리합니다.
(단열재는 폴리에칠렌 폼을 사용하고,두께는 5mm이상 이어야 한다.)
드레인 배관의 전체구배는 하향으로 1/2~1/100 사이의 구배가 되도록 배관
하여야 합니다.
드레인 배관이 완료된 상태에서 드레인판에 물을 투입하여 드레인 상태
및 누수부분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오결선 CHECK 방법 및 조치방법
오결선 Check 방법
일반 테스터기 사용
R – S S – T T – R 단 Check시 380v
N + R N + S N + T Check 시 220v
※기동과 동시에 SET OFF 되면 N 단자 오결선임,동작 순간에 N 단자 전압을 CHECK 후 220v 확인요.
오결선 초기증상
Comp 에서 불규칙하고 심한 이상소음 발생(역회전 소음)
→ 3상 R . S . T 단자 오결선 확인
압력게이지 변화는 있으나 고저압 차이가 없음
→ 3상 R . S . T 단자 오결선 확인
SUCTION PIPE 의 온도가 상승함
→ 3상 R . S . T 단자 오결선 확인
Key Point
AIR PURGE를 하지 않을시 Set에 미치는 영향
불응축가스 다량 함유
※불응축 가스 혼입시 Set에 미치는 영향
①침입된 공기의 분압만큼 응축압력이 상승한다
②응축압력 상승으로 토출가스온도가 상승하여 실린더가 가 열된다
③실린더 과열로 윤활유가 탄화 및 열화하여 윤활불량의 우려가 있다
♣ AIR PURGE실시 방법
자체 에어퍼지
봄베를 이용한 PURGE
진공 PUMP를 이용한 PURGE
Key Point 1-1
진공불량시 CYCLE 에 미치는 영향
1)불응축 가스 다량 혼입으로
토출가스 온도 상승
응축압력 상승
장치내 수분 다량 함유
※ 장치내 수분 존재시 미치는 영향
① 팽창밸브 동결 폐쇄
② 동 부착 현상(Freon) (염산,불화수소산 등의 생성)
③ 윤활유의 열화촉진
Key Point 1-2
진공불량시 CYCLE 에 미치는 영향
※토출가스 온도 상승이 CYCLE 내에 미치는 영향
① 압축비 증대로 소요동력 증대
② 토출가스 온도 상승
③ 실린더 과열로 오일열화 및 탄화
④ 체적효율 감소로 인한 냉동능력 감소
⑤ 윤활불량으로 피스톤링 마모
⑥ 축수하중 증대
⑦ 냉동능력당 소요동력 증가
Key Point 1-1
GAS 누설시 발생시 Check 사항
증발기 입구에 성에낌, 온도 낮음
출구는 이슬이 맺히지 않음
소비전력이 낮다(정상 전류치의 80% 미만이다)
고·저압이 낮다
압축기의 토출 온도가 매우 높다(정상온도 80~100℃)
Key Point 1-2
GAS 누설시 발생시 Check 사항
증발기에 이슬이 맺히지 않는다
CAPILLARY에서 증발기까지 성에낌
압축기 흡입 PIPE가 따뜻하다
※냉매압은 주위온도와 배관길이에 영향이 받으며 특히 고압의 경우 심하므로 영향이 덜한 저압을 측정해야 오차 적음
실내측 풍량하고 압력은 비례(풍량이적으면 압력도 떨어짐)
온도와 GAS 압력은 비례
Key Point
불응축 GAS(공기) 혼입시
고압측 압력과 운전전류가 높아짐
실외기 진동 및 소음과다
냉방능력 저하
동도금 현상 발생
산화물 형성에 의해 전기절연 파괴 CYCLE내의 전기저항을 저하시켜 압축기 모타가 소손됨
Key Point
COMPRESSOR 압축불량 발생시
고저압 압력차가 거의없다(GAS 충전하면 충전안됨)
압축기 토출 온도가 매우낮다(50℃ 이하)
냉각팬을 정지하고 운전하여도 고압측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다 <압축기 토출관을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운전전류가 정상치 1/2 정도이다
펌프다운을 하여도 저압이 0㎏ 이하가 되지 않는다
※냉매 누설과 현상이 비슷하므로 CYCLE 내의 냉매 유무를 반드시 점검
Key Point
냉매 과충전(OVER CHARGING) 발생시
고압,저압 압력이 함께 높다
소비전력(운전전류)이 높다
증발기 출구 온도가 낮다
SUCTIN PIPE 이슬맺힘(성에)이 심하다
Key Point
COMPRESSOR 기동 불량 발생 원인
입력전압이 낮다(정격전압 10% 이내)
전압 불균형(상간)
콘덴서 불량
OVER LOAD RELAY 동작(토출측과 흡입측 압력이 모두 높다)
THERMOSTAT 조절불량
ROTARY S/W 접점 불량
압축기 권선소손(내부의 마모 기름등의 없어 LOCK 된 경우)
※냉동기유 채취 변색 유무와 냄새로 확인(자극성이 있거나 흑색이면 불량)
고장 증상별 Check Point ①
전원불량
배전반 전원 상태 확인
실내외 연결배선
실내기에서 실내 외 콘트롤선 1번(적색) + 2번(백색)간 전압 체크 (정상전압 220V)
1)전압이 출력되면 실내기 불량(파워 트랜스,메인 피시비,판넬 피시비)
2)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면 실내 외 연결선 및 실외기쪽 불량
팬 모터 과부하 릴레이 작동 여부 (3상 제품)
냉매 누설 (저압 S/W 가 있는 모델)
고장 증상별 Check Point ①
실내기 동작불량
예약 상태 확인
CONTRON PCB 동박 또는 리모컨 모듈 불량
MAIN PCB
고장 증상별 Check Point ①
실외기 동작불량
사용 전압과 제품의 회로가 맞는지 확인 (배선변경)
인입전선 규격 확인
전원 전압 확인 (정격 10%이내)
선간 전압 편차 3% 이내
실내 외 CONTRON선 오결선(냉방램프는 점등되나 실외기 동작불량)
실외 SENSOR선 접속 확인 (AS-650)
고장 증상별 Check Point ①
MAGNET S/W 접촉 불량
3상 제품 모듈 및 인터넬 센서 단선
실내 외 연결단자 2번(백색) 과 3번(흑색)을 쇼트시켜 실외기 동작여부 CHECK
1)실외기가 동작하면 : 실내기 불량 또는 실내외 연결선(흑
색선 단선)
2)실외기가 미동작 하면
M/G S/W 를 강제로 눌러서 동작시켜 본다
M/G S/W를 눌러서 실외기가 동작하면 M/G S/W 불량
고장 증상별 Check Point ②
가동중 오동작 1
상세증상
초기 전원은 정상이나 실외기 동작 수초 또는 수분동작하다 전원 off 후 ON
GAS 소량 누설 (저압 S/W OFF)
실외기 FAN MOTOR 소손시 과부하 릴레이 OFF(3상 제품)
실외기 COVER 가 벗겨져 있는지 확인
GAS OVER CHARGING
고장 증상별 Check Point ②
가동중 오동작 2
상세증상
실외기 동작 수분 또는 수십분 동작하다 off 후 ON
설치 환경(실외기 남쪽,남서쪽 또는 직사광선이 비치는 곳에 설치)
외기온도가 높다 토출구 통풍 장애
응축기 핀 이물 낌 음이온 발생 장치 고압누설
GAS OVER CHARGING or 불응축 GAS
고장 증상별 Check Point ②
냉방불량
GAS 누설 or 막힘
불응축 GAS (AIR PURGE or 진공불량)
COMPRESSOR 압축 불량GAS OVER CHARGING
3상 모델 실내 FAN MOTOR 오 결선 (풍량부족)
사용환경 (냉방과부하) 연결배관이 길다
온도조절 불량 배관 단열 불량
허용 배관 길이 및 높이 초과
냉방 불량 상세 Check Point ①
불응축 GAS
고압측 압력과 운전전류가 높아짐
실외기 진동 및 소음 과다
냉방능력 저하
⊙ 동도금 현상 발생
⊙ 산화물 형성에 의해 전기절연을 파괴하고 CYCLE 내의
전기저항을 저하시켜 압축기 모터가 소손 됨
☞ CYCLE 압력 CHECK시 압력 게이지 바늘이 심하게 움직
인다
냉방 불량 상세 Check Point
CAPILLARY 막힘
정상인 경우 따뜻한 냉매가 흐르지만 막힌 경우 증발기 입구가 동결됨
증발기 입 출구 온도차가 없다
운전시 손으로 만져 보고 냉각되지 않는 부위가 있으면 그 곳에 해당하는 CAPILLARY TUBE 의 용접 해체 수리
냉매 과충전
고 저압 압력이 함께 높다 소비전력(운전전류)이 높다
증발기 출구 온도가 낮다 SUTION PIPE 이슬 맺힘이 심하다
냉방 불량 상세 Check Point
COMPRESSOR 압축불량
고 저압 압력차가 거의 없다 (GAS 충전하면 충전 안됨)
압축기 토출 온도가 매우 낮다 (50℃ 이하)
냉각팬을 정지하고 운전하여도 고압측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다
–압축기 토출관을 잡을 수 있다
펌프 다운을 하여도 저압이 0㎏ 이하가 되지 않는다
운전 전류가 정상치 보다 낮다
☞냉매누설과 현상이 비슷하므로 CYCLE 내의 냉매 유무를
반드시 점검 요망
냉방 불량 상세 Check Point
COMPRESSOR 기동
입력 전압이 낮다 (정격전압 10% 이내)
전압 불균형 (상간 전압 3%)
콘덴셔 불량 THERMOSTAT 조절 불량
OVER LOAD RELAY 동작(토출측 흡입측 압력이 모두 높다)
ROTRAY S/W 접점 불량
압축기 권선 소손(내부의 마모 기름등이 없어 LOCK 된 경우)
☞냉동기유 채취 변색 유무 와 냄새로 확인(자극성이 있거나
흑색이면 불량)
매니폴더게이지 없이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 없이 판정하기
실내기의 증상
바람이 전혀 시원하지 않고 증발기가 하나도 냉각되지 않는다.
실외기의 증상
저압파이프에 이슬맺힘이 없으며 고압파이프의 온도가 대기온도 같으며 팬모터의 토출바람도 차갑다
단 에어컨 운전조건이며 콤프 가동중일것
조치방법
냉매가스의 완전누설로 가스주입전 반드시 누설부위를 수리하여야 한다. 반드시 진공을 시켜야 한다
매니폴더게이지 없이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 없이 판정하기
실내기의 증상
바람이 조금 시원하며 에바는 1/2 또는 2/3 정도만 냉각되어 물방울이 맺힌다
실외기의 증상
저압 파이프에 약간의 이슬이 맺히고 팬모터 토출바람이 약간 뜨겁다
단 에어컨 운전조건이며 콤프 가동중일것
조치방법(냉매 보충)
실내기 및 실외기의 연결부위를 누설체크 하고 가스 보충을 실시한다
매니폴더게이지 없이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 없이 판정하기
실내기의 증상
바람이 시원한 것 같지만 정상보다는 덜 시원함 증발기의 중간중간이 냉각되지 않아 이슬이 맺히지 않고 건조한 상태임. 저압이 낮다.
실외기의 증상
저압파이프에 이슬이 맺히며 고압파이프는 정상보다 약간 더 뜨겁다 그리고 팬모타의 토출바람은 정상보다 조금 덜 뜨겁다
단 에어컨이 운전조건이며 콤프 가동중일것
조치방법
실내기의 캐피라리튜브(모세관)이 일부 막힌 증상이며 모세관의 막힘부위 점검
매니폴더게이지 없이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 없이 판정하기
실내기의 증상
전체적으로 이슬이 맺히며 바람도 시원한것 같지만 조금 덜 시원하며 고객은 예전과 같지 않다고함
실외기의 증상
고압 및 저압모두 정상반응을 하지만 팬의 토출바람이 정상보다 뜨거우면서 약하며 바람의 각도가 180도에 가깝게 나온다
단 운전조건이며 콤프 가동중 일것
조치방법
실외기 설치조건이 악조건이거나 응축기의 핀 사이에 먼지등이 낀것으로 고압의 수도로 세척 또는 봄베를 이용하여 가스로 불어냄
매니폴더게이지로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로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 상태
고압 및 저압의 압력이 기준보다 낮다(저압 3㎏/㎠ 이하, 고압 13㎏/㎠ 이하)
실외기의 동작상태
실외기의 바람이 뜨겁지 않고 저압측 서비스밸브에 성에가 착상될수 있다
판정 및 조치사항
가스의 일부 누설로 실내외 연결부위를 체크후 가스주입
매니폴더게이지로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로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 상태
저압의 압력은 대기압 이하고 고압은 대기압과 같거나 약간 높음(저압 - 0㎏/㎠ 이하 고압 0~3㎏/㎠ 이하)
실외기의 동작상태
저압 및 고압의 온도변화가 없고 실외기의 바람이 차가움
저압스위치가 채용된 모델에서는 콤프기도후 1분이내에 정지됨
판정 및 조치사항
가스의 완전 누설로 반드시 누설부를 체크 수리후 가스를 주입하여야 한다
매니폴더게이지로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로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 상태
고압과 저압의 압력게이지 지침이 동일한 방향을 나타내거나 거의 비슷하다(가스의 잔량에 따라 지침이 다를수 있음)
실외기의 동작상태
저압 및 고압의 반응이 정상과 흡사하여 판정이 어렵고 가스과충전으로 오인할수 있으나 가스를 방출하면 낮은 압력에서 동일한 방향을 지침이 가르킨다
판정 및 조치사항
고압과 저압의 압력에 차이가 없는것은 콤프불량으로 압축이 원할하지 않다
매니폴더게이지로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로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 상태
콤프기동후 저압의 압력은 빠르게 내려가고 고압의 압력은 빠르게 올라간다
실외기의 동작상태
고압파이프가 상당히 뜨겁고 실외기의 바람도 상당히 뜨겁다그러나 저압은 거의 냉기를 느낄수 없다
고압스위치 채용모델에서는 콤프기동후 1분이내에 정지됨
판정 및 조치사항
싸이클 내부가 막혔을 경우이다 배관의 꺽임이나 모세관을 확인하고 배관을 연장하였다면 고압용접부의 내부가 막혔을수도 있다
매니폴더게이지로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로 판정하기
매니폴더게이지 상태
펌프다운을 실시하여도 저압이 대기압이하로 내려가지 않음
실외기의 동작상태
콤프의 압축불량을 확인할수 있는 방법으로 펌프다운을 이용할수 있다
펌프다운시 배관의 길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겠지만 저압의 압력이 대기압 이하가 안되면 압축불량이다
판정 및 조치사항
펌프다운이 완료되더라도 1시간이내에 저압이 대기압과 같거나 높으면 누설부위를 찾아야 한다
냉매의 종류와 용도
냉매와 냉매종류
냉매란
냉동기의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냉동 CYCLE을 형성하고 저온에서 증발함으로써 주위로 부터 열을 흡수해서 냉각 작용을 하는 매체
냉매의 종류
일반냉매: R-11, R-12, R-22, R502, 암모니아(R-717)등
특수냉매: R13, R-113, R-114, R-502등
냉매의 용도 및 열역학적 성질
냉매의 종류와 용도
냉매의 용도 및 열역학적 성질
기타 용어
오일포임(Oil Foaming)
압축기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Crank Case 내 압력이 높아지고, 온도가 저하하면 Oil은 그 압력과 온도 에 상당하는 양의 냉매를 용해하고 있다가, 압축기가 재기동시 크랭크 케이스 내입력이 급격히 떨어지 면, Oil과 냉매가 급격히 분리되며, 이때 튜면이 약동하고 심하게 거품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함
오일 포밍 현상이 일어나면
OIL hammer의 우려가 있다.
장치중의 응축기,증발기 등에 OIL이 유입되어 전열을 방 해 한다.
크랭크 케이스 내에 OIL부족현상을 초래,윤활불량으로 활동부의 마모 및 소손 우려가 있다.
냉동 관련 용어 및 단위
OIL HAMMERING
Oil Foaming둥의 이유로 Oil Cylinder내로 다량 흡입되어 비압축성인 Oil을 압축하므로서 Cylinder Head부에서 충격음이 발생되고 이러한 현상이 심하면 장치내로 다량의 Oil이 넘어가 Oil부족으로 압축기가 소손됨
CRANK CASE HEATER
처음 또는 장기간 운전을 정지할 때 주위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갑자기 운전시에는 OIL FOAMING에 의한 기계의 무리를 초래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 하부를 예열시킴으로써 OIL중에 용해된 냉매를 자연스럽게 분리하여 기동시 무리가 없도록 하는 기능임
냉동 관련 용어 및 단위
OIL BACK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회수되는 Oil이 Crank Case 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압축기로 돌아오는 현상
동도금(Copper Plating)현상
프레온을 사용하는 냉동Cycle에 수분이 침입하여 냉매와 반응. 산이 생성되어 침입한 공기중의 산소 와 화합하여 동에 반응 금속표면에 다시 도금되는 현상
액백 (Liquid Back)
증발기에 유입된 액냉매중 일부가 증발하지 못하고 액체 상태로 압축기로 흡입되는 현상
액 분리기 ( Accumulator,Suction Trap)
압축기로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 목적으로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흡입배관에 부착
압축기 권선단자
압축기 권선 찾는법
옴 테스터기로 권선을 찾는법
CR - 침이 적게 움직인다
CS - 침이 더 적게 움직인다
RS - 침이 더 더욱 적게 움직인다
CR - 저항이 적으므로 전류가 많이 간다
CS - 저항이 중간이므로 전류가 중간정도
RS - 저항이 많으므로 전류가 적게 흐른다
에어컨 증상별 압력 변화표
|
첫댓글 좋은자료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