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0.7명, 53년 만에 최저치
작년 0.78명, 올해 더 떨어질 듯
올 2분기 (4~6월) 합계출산율이 0.7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숫자이다. 지난해 합계 출산율이 0.78명으로 추락해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줬는데 올해는 0.7명 선마저 깨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 동향'에 따르면, 2분기 합계출산율은 0.7명을 기록했다. 이는 통계청이 분기별 합계출산율 통계를 제공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한 작년 4분기 (0.7명)와 같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연도별 함계출산율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70년부터 봤을 때도 분기 기준 역대 최저 수준일 것"이라고 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상방기 (1~6월) 합계출산율은 0.76명을 기록했다. 통상 출생아 수는 ㅈ연초에 많고 연말로 갈수록 줄어드는 상고하저 추세를 보인다. 인구학 전문가인 최슬기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올 1,2분기 추이를 봤을 때 작년보다 떨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0.7명대나 0.6명대 모두 인구 전문가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숫자"라고 했다.
올 6월에 태어난 출생아는 1만 8615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6% 줄었다. 1981년 월간 통계를 작성한 이래 6월 기준으로 가장 적다. 출생아 수는 2022년 10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9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사망자는 2만6820명으로 1년 전보다 7.6% 늘었다. 한국 인구는 2019년 11월부터 44개월째 자연 감소중이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가장 낮다. 2021년 기준 OECD 회원국의 합계출산율 평균은 1.58명이다. 프랑스 (1.8명), 미국 (1.66명), 영국 (1.53명), 일본 (1.3명) 등 한국(당시 0.81명)을 제외한 37국이 모두 1명 이상이다.
출처 : 조선일보 23년 8월 31일 목요일 황지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