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은 설명할 수 없는 신비다. 내 것이라 여겼으나 내 것이 아닌 불가항력의 흐름이며, 일 년 열두 달 밤낮을 흐르면서도 실체를 알 수 없는 미스터리다. 저절로 오고 가건만 누가 훔쳐 가기라도 하는 양 곧잘 강박감으로 덮치는 불가사의다. 겁나게 빠른 그 분초(分秒)의 위력에 아이들이 자라서 청년이 될 동안 어른들은 늙어서 노인이 된다.
한쪽 다리에 깁스를, 한 노인이 절뚝절뚝 힘든 걸음을 옮기고 있다. 노인 곁에는 제법 커다란 덩치의 견공이 나란히 동행한다. 희한한 것은, 다리에 아무 이상이 없다는 견공도 한쪽 다리를 절뚝이며 주인과 걸음나비를 맞춘다는 거다. TV 뉴스 장면인데 신기하면서도 왠지 짠한 그들의 행보가 가슴에 꽂힌다. 사람이든 동물이든 상호 이어진 관계는, 더구나 따뜻한 관계는 생명의 끈이 될 수도 있는 터, 오랫동안 쌓아 왔을 도타운 정과 그들만의 신뢰가 엿보인다. 비록 애완견일망정 사람의 이름값을 하는가 싶다.
그렇더라도 ‘노인과 반려견’은 아무래도 고독한 현대사회의 외로운 이름들 같다. 세상과 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고 관계 단절이 통증을 견디고 있는 존재로 와닿는다. 가파른 세월의 속성에 펄펄하던 청춘의 진취성도 삶의 순수성도 멸하고 기력이 쇠잔해진 내 이름 때문인가.
세월은 사람 이름 위에도 곱다시 마법을 부려 놓는다. 나만의 고유명사가 점점 퇴색하고 아주머니, 이모님, 선생님이라는 명사로 호명되면 짙푸르고 불꽃 튀는 날들은 아련해져 간다. 색깔마저 희끗한 할머니로 불리면 자신을 한껏 주창하던 이름도 마침내 쓸쓸해져 뼛속으로 파고든다. 무람없이 날뛰던 야망조차 은근히 겸허해진다.
움츠린 내 이름을 데려와 원고지 위에 반듯이 앉혀 본다. 자신을 가다듬고 삶을 다듬어야 할 글 길에서다. 글 제목 아랫줄 한쪽에 이른 석 자 올려놓으며 글 문을 연다. 나와 함께 태어난 이름에게 미안하지 않도록 마음을 다잡고 세상과 소통할 글제에 집중한다. 작가란 요동치는 세상살이에 덜컹거리는 이름만은 지킬 수 있도록, 아니 낯선 내가 낯익은 나를 찢고 나오도록, 혼신으로 글을 쓰는 자. 답 없는 물음 앞에서도 무너지지 않는 자일 수도 있다.
이름은 자신을 비추는 거울이다. 이름을 부르면 심장이 빨리 뛴다. 그러면서 우여곡절의 세월도 쌓여 간다. 이름을 부르고 불리며 환희와 슬픔의 마디마디를 붙이고 자르고 지워 내는 게 인생이므로.
자판을 두드린다. 이름 하나 이름 둘 이름 셋 부르며 글 길을 몬다. 눈물 글썽거려지는 이름을 부르고 단호히 돌아섰던 이름도 나긋이 불러준다. 너무 오래 부르지 않아 낯설어진 이름도 있다. 이름을 불러 본다는 건 그리움이 깔린 둔덕을 걷는 일. 이름들을 이어 놓으면 내가 살아온 날들이 보인다.
‘큰언니’는 또 하나의 내 이름이다. 들을수록 왜 눈물이 날까. 어려운 시절을 타고난 맏이는 그 이름을 꽉 붙들고 용맹정진해야 할 책무를 스스로 진다. 어린 동생들에게 버팀목이 되어 줄 ‘큰 언니’라면 쉽사리 주저앉거나 함부로 눈물을 흘려서는 아니 된다. 스스로 길을 내기 위해 피멍이 드는 당금질도 각오해야 한다. 기댈 데가 없는 곳일수록 온몸으로 헤쳐 나아가야 하고, 비바람이 세찬 날일수록 용기가 꺾이지 않아야 한다. 어둠도 덤덤히 익혀야 한다. 본줄기가 기능을 잃으면 덩이뿌리들도 자랄 수 없다는 절박함. 그만큼 절실한 ‘이름 지키기’였으며 세상을 향한 숨찬 가지 뻗기였는지도 모른다. 가족은 예기치 못한 시련에도 살 맞대고 살아갈 지극한 연줄 이리라.
한 존재는 세상의 꽃이다. 호락호락할 리 없는 생존 현장에서 저마다의 이름들이 눈물겹도록 진지한 꽃으로 피고 진다. 한 송이, 풀꽃에도 하늘과 바람과 햇살아, 땅속 깊은 샘물이 깃들어 있다. 꽃은 필 때가 아름답지만 사람 꽃은 ‘필 때보다 어떻게 지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세월이 내게 가르쳐 주느라 무수한 지층을 넘어왔나 보다. 크고 작은 비구름은 얼마나 많이 흘러갔는가. 그러기에 어떤 이름은 시공간을 뛰어넘어 가슴에서 복원되기도 한다. 이름이 마음속 등불이 되어 주는 이유다.
이름들의 뜻을 다시 새겨 담는다. 풍진세상을 쫏아가느라 편히 기대지 못한 이름들. 고단한 시간 줄을 잡고있는 저 벌판의 풀은 각박한 터전이라고 주눅 들지 않는다. 바람 불어 흔들린들 뭐 대수냐며 굳이 등 돌리지도 않는다. 자랑도 비굴함도 없다. 풀꽃은 때로 그냥 ‘풀’이듯이 사람은 그냥 ‘사람’인 것만으로도 뭉클하다. 보고 듣고 말할 수 있고, 슬픔에 울고 기쁨에 웃을 수 있고, 그리움이 있고 설렘이 있다. 거기에 글 쓸 수 있어 행복한 수필가는 수필을 쓰면서 삶을 긍정하며, 시인은 시를 지으면서 생을 다독이고 노래한다.
글 길을 몰아간다. 간간이 새로운 이름을 불러오고 드물게는 세상 밖으로 가 버린 이름을 얼얼한 심정으로 보내 준다. 언젠가는 내 이름이 영 사라질 거라, 생각하니 이름 하나하나가 문득 애틋해진다.
길을 잇는다. 시리고 뜨거운 이름들이 덜컥덜컥 와닿는 글 길로, 늑골 뻐근한 사람 하나 종일토록 가고 있다.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