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가 지난 11월 29일 진행된 국무회의에서 가습기살균제 등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대책'을 보고하고 이를 확정•발표했는데 그동안 커졌던 국민 불안이 해소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그동안 가습기살균제 사고, 에어컨·공기청정기 항균필터 살생물질(OIT) 방출, CMIT/MIT 치약 등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 불안이 커짐에 따라 그간 국무조정실과 환경부 등 관계부처가 긴밀히 협의하여 대책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전관리대책의 주요내용을 보면 우선, 시장에 유통 중인 생활화학제품을 일제히 조사해(~'17.6) 위해성 평가를 추진해 위해도가 높은 제품은 즉각 퇴출 조치하고, 제품목록·위해여부 등을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생활화학제품 관리체계를 전면 개편해 부처별 전문성을 고려해 인체·식품에 직접 적용되는 제품(의약외품, 화장품, 위생용품 등)은 식약처, 살생물제와 물질의 유출 가능성이 높은 제품은 환경부, 유출 가능성이 낮은 제품은 산업부가 관리하도록 원칙을 정해 관리하고 앞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의 제품은 제품안전협의회에서 신속히 소관부처를 결정키로 했다.
이밖에 발암성, 돌연변이성 등 고위험물질의 제품 내 사용 제한을 강화하고, 제품 관리제도
이행기반 구축과 더불어 생활화학제품 정보 소통과 기업의 책임성도 강화할 방침이다.
< 이종국 과학전문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