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9월 15일에 전국적으로 발생한 정전 사건. 과거 십수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도 이러한 정전사태는 없었다. 시대를 역행하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었으며, 더군다나 원인도 없고 (신뢰할) 피해보고도 없어 두고두고 회자될 만한 사건이다. 국가기반시설이 이렇게 간단히 셧다운 된다는 것은 굉장히 심각한 문제이다. 그런데도 내려진 조치는 에너지 절약 캠페인 뿐. 물론 산업체 강제 셧다운도 진행되긴 했었다.
정전이 일어난 지역은 상당히 불규칙적이었다. 같은 구 내에서도 어떤 곳은 정전이 발생했는 데 어떤 곳은 정전같은 것이 없었다고 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는 아래에도 나와 있지만 워맥이 전력소모량에 따라서 매우 칼같이 전력을 날려버린 탓에 벌어진 일이다. 아파트 단지에 변압기가 2개 있으면 1W라도 많이 쓰는 쪽을 날려버렸다.
2011년 9월 15일은 기록적인 늦더위를 기록한 날로 서울 최고기온이 31도를 기록하는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상태였다. 이로 인한 에어컨 과다 사용으로 예비전력량이 떨어졌다는 것이 한전 측의 공식적인 발표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발전소가 셧다운 되어 있던 것이 화근이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1082, 1083, 1084 번째 원자력 발전소 정비를 위해 각 한빛 원자력 2호기, 한울 원자력 2호기, 4호기가 정지되어 있었으며[1], 사태를 일으킨 주 원인인 한국 남부발전 하동발전소의 터빈 불량으로 인해 긴급정지된 것.[2] 지식경제부 장관의 제한 송전 명령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사실은 서버에서 자동으로 내리는거라 명령 이전에 날렸을 것이다. 폭염으로 전력수요량이 폭증했고, 이를 예측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비를 실시하다 사고까지 발생해서 일어난 복합적인 사태.
18일 지경부장관은 "전력거래소에서 전력공급능력에 관해 허수를 포함[3]시켜 허위보고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2013년 12월 3일 이 일로 징계를 받은 지경부 공무원의 징계취소 소송에서 전력거래소가 10년 동안 지경부와 한국전력의 모니터상에 나오는 수치에는 즉시 가동할 수 없는 발전기 용량이 포함돼 있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과는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숨겨가면서 운영했다고 밝혀졌다. 그리고 사태가 일어난 9월 15일에는 예비전력이 0kW를 기록하여 블랙아웃 직전까지 몰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한국전력 서대구지사에 따르면, 본래 전력차단은 컴퓨터가 알아서 전기가 많이 들어가는 곳부터 날리는데, 이후 광역전력관리시스템(워맥)이 작성하는 계획정전 시간표가 지사에 전송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로인해 EAS 로 알람 입력이 들어가지 않았고, 정전예고를 발생하지 못했다.[6]
.
.
.
이 때 일하다가 건물 전체 정전되서 남자 직원 몇명만 남고(거기에 저도 포함 -_- ...) 다 퇴근
게다가 이 시기 전후로 전기 아낀다고 여름에 냉방기, 겨울에 난방기 사무실별로 교대로 틀게 했던 -_- ...
첫댓글 배추 파동이라고 국가가 나서서 양배추김치 홍보하던 시절
저 고3때였는데 저녁먹다 불꺼져서 집에간다고 좋아했던 기억이 나네요
늘 빠지지않는 북한소행ㅋㅋ
저때도 탈원전 하고 있었나 보죠
저도 그때 어렴풋이 생각나네요..
저때 낮 4시인가 퇴근하고, 7시쯤부터 전기들어왓던걸루 기억남
저사건 이후 에너지절약한다고 에어컨 안틀어서 직원들 냉동실에 얼려서 쓰는 방석, 조끼 공동구매하고 난리도 아니었음...
난 왜 기억이 전혀 안나지? 했다가 다시 생각해보니 그때 한국에 없었네요. 흠..
집에 에어컨도 없는데 에어컨 많이 켜서 정전 ㅜ
덴마가 며칠뒤 이걸 패러디해서 그렸죠. 절묘하게 시기가 맞아떨어지긴 했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