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을 발행하고 있는 타임사와 3대 영화사에 속하는 워너 브러더스의 모회사인 워너 커뮤니케이션사가 합병, 자산규모 1백89억달러의 세계최대의 언론-흥행 통합 메머드 회사를 설립한다고 두 회사가 1989년 3월 4일 공동발표했다. 타임워너로 명명되는 이 거대 회사는 출판, 케이블TV, 영화, 음악 등 언론과 흥행에 관련된 거의 모든 사업체를 거느리게 돼 한해 수입만도 1백억 달러에 이르는 이 부문 세계 최대의 회사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타임은 타임 외에 라이프, 포천,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피플 등의 잡지류로 전세계에 총 3천만부의 발행부수와 1억 2천만명의 독자를 자랑하고 있다. 타임은 이외에도 리틀 브라운, 타임-라이프북스 등의 출판사를 가지고 있고, 미 유선TV업계의 선두주자인 홈 박스 오피스(HBO) 등 유선TV망 2개까지 거느리고 있어 1988년의 경우 총수입이 45억 달러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워너사 역시 약 40억 달러의 자산에 지난 1987년 총매출 34억 달러, 순익 3억2천8백만 달러를 올린 미국 유수의 영화 및 TV 제작 흥행회사로, 미국 최대이자 세계 제2위의 음악 녹음 및 출판업체에다 워너 브러더스 영화사, 워너 브러더스TV, 그리고 워너 케이블 커뮤니케이션사 등의 방계 회사를 가지고 있다. 타임워너사는 2000년 1월 다시 대형 인터넷 그룹인 아메리카 온라인(AOL)과 사상최대인 3500억달러 규모의 합병을 합의해 끊임없는 변신과정을 보여주었다.
![]() | |
---|---|
2003년 | 조선일보 강인선 기자, 이라크전 취재 차 쿠웨이트 급파 |
2003년 | 필리핀 다바오 국제공항 폭탄테러, 19명 사망 114명 부상 |
2002년 | 이브라힘 루고바, 코소보 초대 대통령에 당선 |
2002년 | 조요한 전 숭실대 총장 별세 |
2001년 | 서울 홍제동에서 진화작업을 하던 소방관 6명 사망 |
1995년 | 한국-체코 과학기술협력협정 체결 |
1989년 | 근로자 주44시간 노동제 결정 |
1983년 | 미국, 북한UN대표 재입국 허용 |
1982년 | 사병 복부기간 30개월로 단축키로(84년까지 단계적) |
1980년 | 아프가니스탄 회교반군 파키스탄에 망명정부 구성 |
1979년 | 미국-중공간 7개년 통상협정 체결 |
1977년 | 루마니아를 비롯한 발칸반도 강진으로 1541명 사망 |
1977년 | 세이무어 크레이, 프레온 냉각방식을 적용한 크레이-1 슈퍼컴퓨터 개발 |
1977년 | 특허국, 특허청으로 승격 |
1976년 | 북한 모잠비크에 군사고문단 파견 |
1975년 | 찰리 채플린 기사 작위 수여 |
1973년 | 제주 우도 무장간첩사건 |
1973년 | 일요일 우편 배달제 폐지 |
1971년 | 한미 합동공수기동훈련(프리덤볼트작전)개시 |
1966년 | 일본 하네다 공항서 캐나다 여객기 폭발 , 64명 사망 |
1962년 | 미국 남극 원자력발전소 조업 개시 |
1958년 | 충북선 명암터널 개통 |
1957년 | 세레베스도 반군, 인도네시아 정부에 자치권 요구 |
1956년 | 모로코, 메뚜기떼와의 전쟁 |
1956년 | 영국회사, 알래스카 석유 채굴 |
1951년 | 제1회 아시아경기대회 인도 뉴델리서 개막 |
1949년 | 소련 외무장관 몰로토프 퇴임, 후임에 비신스키 |
1933년 | 루스벨트 제32대 미국 대통령에 취임 |
1913년 | 윌슨 미국 대통령에 취임 |
1909년 | 민적법(현행 호적법의 효시) 공포 |
1892년 | 이광수 출생 |
1889년 | 청나라, 서태후 들어앉고 덕종제친정 |
1889년 | 미국 카톨릭 성직자 스펠만 출생 |
1883년 | 미국 정치가 알렉산더 스티븐스 사망 |
1866년 | 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으로 프랑스 신부 베르네 순교 (병인박해) |
1852년 | 러시아 작가 니콜라이 고골리 사망 |
1832년 | 이집트학의 비조로 꼽히는 프랑스 문헌학자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사망 |
1789년 | 미국 연방의회 뉴욕시에서 개원되고 연방헌법 발효 |
1678년 | 이탈리아 작곡가 비발디 출생 |
1394년 | 포르투갈 항해왕자 엔리케 출생 |
[출처] 본 게시물은 조선닷컴에서 가져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