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재편호(富在編戶)
재산(富)은 백성의 집에 고루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일컫는 말이다.
富 : 부유할 부(宀/9)
在 : 있을 재(土/3)
編 : 엮을 편(糸/9)
戶 : 집 호(戶/0)
출전 : 당견(唐甄)의 저서 잠서(潛書)
세금은 혈세(血稅)로도 불린다. 국민이 피땀 흘려 번 돈을 납세의무에 따라 정부에 납부하기 때문이다.
특히 소시민들은 유리지갑처럼 투명하게 파악되는 소득의 일정액을 꼬박꼬박 세금으로 내고 있다. 마땅히 당국은 국고를 헛된 곳에 쓰지 말고 국리민복을 위해 알뜰살뜰 써야 한다.
백성이 근심걱정 없이 풍요를 구가하는 사회가 바로 선진 일류국가이다. 백성은 가난한데 정부 곳간만 채우고, 일부 부유층만 잘사는 사회는 미래 희망이 없다.
청나라 학자 당견(唐甄)은 저서 '잠서(潛書)'에서, '부는 백성의 집에 있어야지, 나라의 창고에 있어서는 안된다(富在編戶 不在府庫)'고 했다.
이어서 '만약 백성의 집이 비어 있다면 비록 나라의 창고에 재물이 산처럼 쌓여 있다 해도 실로 곤궁한 것이지 강국의 정책이 아니다(若編戶空虛 雖府庫之財積如山丘 實爲貧困 不可爲國矣)'라고 강조했다.
묵자의 가르침은 시공을 넘는다. '적절히 사용해 낭비하지 않음으로써 백성을 이롭게 하는 것이 총명한 지도자의 대책이다(適切應時不浪錢 人民大利明王策).'
사회부조리에 대한 이해
현재 대한민국은 사회의 각 분야에서 모순이 쏟아져 나와서 총체적 난국에 있습니다. 사회발전을 위해서 축적된 경제가 개인의 주머니 속으로 들어가고, 사회적 의무를 회피하면서도 혜택과 권리는 누리고자 합니다.
경쟁이 지나쳐서 남을 밟고 올라서야 성공한 삶이라고 평가받고 이를 위해서 편법을 자행합니다. 정법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바보취급당하고 있습니다. 참으로 부조리하고 비합리적입니다.
요령 없이 살다가 현재에 가지지 못한 사람들은 부조리를 이용해서 이득을 취한 사람들을 인민재판에 넘겨 비난하고 끌어내리려고 안간힘을 씁니다. 이런 비판의식을 가진 사람들이 깬 사람들처럼 해석되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모두가 모순적입니다.
우리나라는 폐허 속에서 국가 조직을 만들고, 산업을 일으키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필사적 노력을 했습니다. 조직형성을 방해하는 세력이 있으면 힘으로 억눌렀고, 기업을 키우기 위해서 누군가의 희생을 자양분삼아 노동력과 자본력을 집중했습니다.
오직 먹고 살기 위해 GDP를 높이는 것을 삶의 기준으로 삼아서 뒤도 안보고 달렸습니다. 그래서 이룩한 사회는 여러 분야에서 결핍을 드러나고 있습니다.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교육을 꺼내놓지 못했고, 사람과 사람이 어울려 사는 자연의 질서가 무엇인지 연구하지 못했고, 필히 누군가의 희생이 있었기에 쌓인 에너지이지만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우선 간에 에너지를 쓸어 담고 쌓아 놓으면 자연스럽게 삶이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조직체도 없는 나라였기 때문에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 우선 정부조직에 권위를 세웠습니다. 국가에서 정한 것은 힘으로라도 강제하였고, 전체를 위해서 필요하다는 명분을 가지고 개인의 권리를 제한하기도 했습니다.
그 정도가 한계를 넘어 남용되는데도 우리는 적당히 타협을 하면서 살아왔습니다. 또, 자원이 없는 나라였기 때문에 산업을 일으키기 위해서 일부의 기업에 모든 힘을 몰아 줄 수밖에 없었습니다.
사업하기 수월하도록 법과 제도를 유리하게 바꿔 도움 주었고, 국민들의 노동력을 쥐어짜면서 합법이든 불법이든 끌어온 국제적인 자본력을 바탕으로 국민 기업을 키웠습니다.
국민들의 힘으로 함께 일어선 기업이, 일정 수준을 넘어갔음에도 희생한 국민들은 방치한 채 제 몸집 불리기만 합니다.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대기업을 선호합니다.
중산층, 부유층으로 올라서려는 욕심을 이루어줄 발판정도로 인식하면서 부조리한 행태를 보여도 적당히 묵인하고 넘어갔습니다. 열심히 일한 근로자층은 삶에 치여 질량의 지식을 흡수하지 못하면서도 지식인과 지도자들을 뒷받침하기 위해 희생을 자처했습니다.
잘 배운 자식하나가 집안을 일으킬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부모와 형제가 희생을 했습니다. 잘 배운 자식은 경쟁적인 사회에서 더 높은 지위를 차지하려고 희생한 사람들을 돌아볼 여유가 없습니다.
지식인으로 성장했으면 너를 키우기 위해 피땀 흘린 사람들을 돌봐야 한다는 교육한번 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어떻게 살지 모릅니다. 그래서 공권력을 휘둘러 국민을 소 보듯 닭 보듯 하는 정치인이 생겼습니다.
국민을 위한 공복이 무엇인지 못 배운 공무원이 무사안일의 태도를 보입니다. 국민을 선동해 제 편 가르기를 합니다. 기업은 더 큰 사업을 펼치기보다 제 덩치에 안 맞는 손쉬운 상권장악으로 돈벌이를 합니다.
사람을 키우기보다 일 하는 노예를 부리다 필요가 다하면 사회에 내던집니다. 사람들은 부를 얻고자 편법도 눈감으며 경쟁에 뛰어듭니다. 힘이 있으면 법도 바꿀 수 있는 세상을 이용하면서 군 면제도 받고, 부정입학도 합니다. 그런 힘을 얻고 싶어서 노력하며 삽니다.
지식인들은 더 높은 자리로 가려고 제 알량한 지식을 늘어 놉니다. 우리가 성장할 수 있도록 돕지도 않는 지식인들을 보면서도 우리보다 더 많이 안다고 주눅 들어 할 말도 못하고 삽니다. 그래서 현재의 대한민국이 이 판국이 되었습니다.
단기간에 우뚝 일어난 우리 사회가 자랑스러운 만큼 사회적으로 결핍된 부분이 모순이 되도록 방치한 것도 우리의 작품입니다. 그러니 누구를 탓하고 원망하는 행동자체가 모순입니다. 내 얼굴에 침 뱉기를 하는 격입니다.
각 계층이 성장하여 해야 할 의무에 대한 교육이 없었습니다.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는 인성교육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인류사회에 어떤 설계를 내놓아야하는지 연구를 열지 않았습니다. 지금부터라도 하면 됩니다.
사회의 모순이 나와야 무엇을 개선할지도 정리되는 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사회의 부조리를 받아들이는 것이 우리가 첫째로 할 일입니다.
나는 바르게 살았고, 너는 위법적이라고 손가락질하는 상황이 계속되면 사회는 분쟁을 지속하면서 해결방안을 내놓을 수 없습니다. 남 탓을 잠시 멈추고, 정체된 현실을 냉철하게 직시하면서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토의를 열어야만 이 상황을 넘어설 수 있습니다.
개인은 나를 바로잡아야 합니다. 먹고사는데 급급해서 비틀리게 정착한 상식들을 부수고, 하루라도 바르게 사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봐야합니다. 그래야 모순을 바로잡을 명분이 서게 되고 사회에 필요한 것을 함께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지식인들은 사람들을 위해서 어떤 일을 해야 할지 연구를 펼쳐야합니다. 한 층 높은 설계를 내놓을 지식을 갖춘 자이기 때문입니다. 국민기업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아무도 할 수 없던 창의에 도전해야합니다. 애시 당초 기업의 것은 없습니다. 모두 사회의 에너지이고 부가 형성된 것입니다.
제 역할을 하지 않을 때, 아무리 대기업이라도 자연이 힘을 걷습니다. 각자가 제 역할을 해낼 때, 미래가 밝아집니다. 그런 일이 일어납니다. 질량을 높이는 공부를 해야 하겠습니다.
▶️ 富(부유할 부)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갓머리(宀; 집, 집 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畐(복; 술 단지에 물건이 가득 차 있다)로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富자는 '부유하다'나 '성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富자는 宀(집 면)자와 畐(가득할 복)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畐자는 항아리에 술이나 물건이 가득 차 있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가득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가득하다'라는 뜻을 가진 畐자에 宀자를 결합한 富자는 집안에 재물이 가득하다는 뜻이다. 그래서 富(부)는 집에 재산이 넉넉하고 많다는 뜻으로 ①부유하다 ②가멸다(재산이 넉넉하고 많다) ③성하다(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④풍성풍성하다(매우 넉넉하고 많다) ⑤어리다 ⑥세차다 ⑦부자(富者) ⑧행복(幸福)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가난할 빈(貧)이다. 용례로는 부유한 나라를 부국(富國), 넉넉하고 강함을 부강(富强), 재물을 많이 가지고 있음 부유(富有), 부자가 많이 사는 마을을 부촌(富村), 부잣집을 부호(富戶), 농토와 농사의 규모가 크고 수입이 많은 농가나 농민을 부농(富農), 부자답게 생긴 골격을 부골(富骨), 재물이 풍성함을 부성(富盛), 가멸고 번영함을 부영(富榮), 가난함과 넉넉함을 빈부(貧富), 재물을 모아 부자가 됨을 치부(致富), 큰 부자를 거부(巨富), 넉넉하고 많음을 풍부(豐富), 첫째 가는 부자를 갑부(甲富), 살림이 넉넉함을 요부(饒富), 부유한 나라와 강한 군사라는 말을 부국강병(富國强兵), 나라를 풍요롭게 하고 국민을 편안하게 함을 일컫는 말을 부국안민(富國安民), 재물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침을 일컫는 말을 부귀공명(富貴功名), 부귀는 하늘이 부여하는 것이라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을 부귀재천(富貴在天), 온 천하의 재부를 모두 혼자 차지했다는 말을 부유천하(富有天下), 겉으로 보기에는 가난한 듯하나 속은 부유함을 이르는 말을 내부외빈(內富外貧), 뜬구름같이 덧없는 부귀라는 뜻으로 옳지 못한 방법으로 얻은 부귀를 이르는 말을 부운부귀(浮雲富貴) 등에 쓰인다.
▶️ 在(있을 재)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흙 토(土; 흙)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재(자; 才의 변형; 풀의 싹 모양)의 뜻이 합(合)하여 있다를 뜻한다. 흙으로 막아서 그치게 하다, 멈추어 있다, 살아 있다, 존재하다의 뜻이 있다. ❷회의문자로 在자는 '있다', '존재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在자는 土(흙 토)자와 才(재주 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才(재주 재)자는 새싹이 새로 돋아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이전에는 才자가 '존재하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후에 才자가 '재주'와 관련된 뜻으로 쓰이게 되면서 금문에서는 여기에 土자를 더한 '존재하다'라는 뜻을 대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在(재)는 (1)돈이나 물건 따위의 쓰고 난 나머지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있다, 존재하다 ②찾다 ③보다, 살피다 ④안부를 묻다 ⑤제멋대로 하다 ⑥곳, 장소(場所) ⑦겨우, 가까스로 ⑧~에, 처소(處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있을 존(存), 있을 유(有)이다. 용례로는 학적이나 호적이나 병적 등에 적혀 있음을 재적(在籍), 창고에 쌓아둔 물건을 재고(在庫), 전부터 있어 내려옴을 재래(在來), 임금의 자리에 있음 또는 그 동안을 재위(在位), 직무에 있음 또는 그 자리에 있는 동안을 재임(在任), 직장에 근무하고 있음을 재직(在職), 학교에 다니는 중임을 재학(在學), 외국에 있음을 재외(在外), 집에 있음 또는 집에 있으면서 중처럼 도를 닦음을 재가(在家), 초야에 파묻혀 있음을 재야(在野), 고향에 있음을 재향(在鄕), 어떤 자리에 있는 물건을 재물(在物), 어느 직장에 근무하는 일을 재근(在勤), 한동안 머물러 있음을 재류(在留), 세상에 살아 있음을 재세(在世), 지금 이때를 현재(現在), 현존하여 있음 또는 있는 그것을 존재(存在), 속에 숨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음을 잠재(潛在), 그곳에 있지 아니함을 부재(不在), 있는 곳 또는 있는 바를 소재(所在), 현실에 존재함 또는 그것을 실재(實在), 한 곳에 머물러 있는 것 또는 직무 상으로 파견되어 그곳에 머물러 있는 것을 주재(駐在), 어떤 사물이나 범위의 안에 있음을 내재(內在),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을 산재(散在), 남아 있음을 잔재(殘在), 건강하게 잘 있음을 건재(健在), 이것과 저것의 사이에 끼어 있음을 개재(介在), 나타나 있음을 현재(顯在), 이 한번으로 담판을 짓는다는 뜻으로 단 한 번의 거사로 흥하거나 망하거나 끝장을 냄을 일컫는 말을 재차일거(在此一擧), 집에 있으면서 독서함을 이르는 말을 재가독서(在家讀書), 바삐 돌아 다니느라고 집에 있는 날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재가무일(在家無日), 어떠한 일에서 벗어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을 재소난면(在所難免), 자기가 소속된 바에 따라 처신을 하게 마련이라는 말을 재소자처(在所自處), 사람의 목숨이 경각에 달렸음을 일컫는 말을 인명재각(人命在刻),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을 풍사재하(風斯在下), 뜻이 천리에 있다는 뜻으로 뜻이 웅대함을 이르는 말을 지재천리(志在千里) 등에 쓰인다.
▶️ 編(엮을 편, 땋을 변)은 ❶형성문자로 辮(변)과, 辫(변)은 동자(同字), 编(변)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 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죽간(竹簡)의 뜻을 나타내는 扁(편)으로 이루어졌다. 글자를 쓴 죽간을 실로 얽어서 하나로 만드는 뜻이 전(轉)하여 엮다, 짜다, 서적을 만들다 따위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編자는 '엮다'나 '짓다', '편집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編자는 糸(가는 실 사)자와 扁(넓적할 편)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扁자는 널빤지에 글이나 그림을 그려 문 위에 걸어 놓던 편액(扁額)을 표현한 것으로 '넓적하다'나 '두루'라는 뜻을 갖고 있다. 그런데 갑골문에 나온 編자를 보면 본래는 冊(책 책)자와 糸자가 결합한 모습이었다. 冊자는 죽간을 엮어 만든 책을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서의 이렇게 冊자에 糸자를 결합해 여러 개의 죽간을 실로 '엮는다' 라는 뜻을 표현했었다. 소전에서 冊자가 扁자로 바뀐 것은 발음요소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編(편, 변)은 (1)노래 곡조(曲調)의 한 가지 (2)인명(人名), 단체(團體) 등의 아래에 붙이어 편찬(編纂)의 뜻을 나타내는 말 등의 뜻으로 ①엮다 ②짓다 ③얽다 ④매다 ⑤만들다 ⑥꾸미다 ⑦편집하다 ⑧창작하다 ⑨배열하다 ⑩조직하다 ⑪편성하다 ⑫날조하다 ⑬책끈 ⑭책, 편 ⑮편제(編制) 그리고 ⓐ땋다(변) ⓑ섞어짜다(변) ⓒ얽다(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모을 찬(纂), 엮을 철(綴)이다. 용례로는 엮어서 만드는 일이나 엮어 모아서 책을 이룸을 편성(編成), 얽거나 짜 넣음을 편입(編入), 여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책을 만듦을 편찬(編纂), 여러 가지 자료를 수집하여 책이나 신문 등을 엮음을 편집(編輯), 낱낱을 모아 단체로 조직함을 편제(編制), 뜨개질을 편물(編物), 책을 편집하고 수정하는 일을 편수(編修), 편집하여 저술함을 편저(編著), 대오를 편성함 또는 편성된 대오를 편대(編隊), 관례를 하기 전에 머리를 땋아 늘이던 일 또는 그 머리를 편발(編髮), 원고를 모아 정리하여 책을 만듦을 편마(編摩), 띠로 이엉을 엮음을 편모(編茅), 장정을 군대에 편입시켜 징발함을 편발(編發), 뺑대쑥으로 이엉을 엮음 또는 그 이엉으로 이은 집을 편봉(編蓬), 긴 나무 토막이나 대 토막을 엮어서 배를 만듦을 편주(編舟), 번호를 차례로 매김을 편호(編號), 단체의 조직 따위를 고치어 편성함을 개편(改編), 조각조각 난 문장이나 연속되지 못하고 따로 떨어진 짧은 글을 단편(斷編), 두 사람 이상이 함께 책을 엮음을 공편(共編), 두 편 이상의 글이나 책을 합쳐서 엮음을 합편(合編), 꼬챙이로 물건을 꿰어서 엮음을 천편(串編), 원래의 편집된 책을 원편(原編), 금빛이 나는 실로 맴 또는 그것으로 맨 책을 금편(金編), 서책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을 운편(芸編), 재산은 백성의 집에 고루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일컫는 말을 부재편호(富在編戶), 종이가 없던 옛날에는 대나무에 글자를 써서 책으로 만들어 사용했었는데 공자가 책을 하도 많이 읽어서 그것을 엮어 놓은 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단 데에서 비롯된 말로 한 권의 책을 몇 십 번이나 되풀이 해서 읽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위편삼절(韋編三絶) 등에 쓰인다.
▶️ 戶(집 호/지게 호)는 ❶상형문자로 戸(호)는 통자(通字), 户(호)는 간자(簡字)이다. 門(문)의 반쪽을 본뜬 글자이다. 護(호)와 음(音)이 같으므로 입구(入口)를 수호(守護)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❷상형문자로 戶자는 '지게'나 '출입구'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戶자는 외닫이 문을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戶자를 보면 작은 방으로 들어가는 외닫이 문이 그려져 있었다. 양 문을 열고 들어가는 대문이 門(문 문)자라면 戶자는 집 안에 있는 작은방으로 들어가던 문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戶자에서 말하는 '지게'라는 것은 짐을 옮기는 도구인 '지게'가 아닌 '외짝 문'을 다르게 부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戶자는 '외짝 문'을 그린 것이지만 부수로 쓰일 때는 '출입구'나 '집' 또는 집에 거주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肩(어깨 견)자처럼 단순히 글자의 모양만 빌려 쓰는 예도 있다. 그래서 戶(호)는 (1)행정상 사회 조직의 단위인 집. 곧 호적상의 가족으로 구성된 집 (2)칠사(七祀)의 하나. 출입(出入)을 맡은 궁문(宮門)의 작은 신(神) (3)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집 ②지게 ③구멍 ④출입구(出入口) ⑤주량(柱梁: 기둥과 대들보) ⑥방 ⑦사람 ⑧막다 ⑨지키다 ⑩주관(主管)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집 당(堂), 집 우(宇), 집 택(宅), 집 실(室), 집 가(家), 집 궁(宮), 집 옥(屋), 집 저(邸), 집 원(院), 집 사(舍), 집 헌(軒), 집 각(閣), 집 관(館)이다. 용례로는 홋수와 한 집안의 식구를 적은 부책을 호적(戶籍), 한 집안의 주장이 되는 주인을 호주(戶主), 호적 상으로 집의 수효와 사람의 수효를 호구(戶口), 집의 수효 또는 호적 상의 집수를 호수(戶數), 하나 하나의 모든 집을 호호(戶戶), 집집마다 나서서 하는 부역을 호역(戶役), 집마다에 배당된 몫을 호당(戶當), 술을 몹시 많이 마시는 사람을 호대(戶大), 한 집안의 주장이 되는 주인을 호두(戶頭), 봄가을의 두 철로 집집마다 무명이나 모시 따위를 물리어 받던 구실을 호포(戶布), 집으로 드나드는 문을 문호(門戶), 썩 많은 집을 만호(萬戶), 호적 상의 집 또는 작은 촌락의 집 수를 세는 말을 가호(家戶), 가난한 백성을 하호(下戶), 장사하는 사람의 집을 상호(商戶), 창과 문의 통칭을 창호(窓戶), 농사를 짓는 집을 농호(農戶), 사람이 넉넉하고 식구가 많은 집안을 대호(大戶), 세금이나 추렴 따위를 다른 집의 반만 내는 집을 반호(半戶),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집이라는 뜻으로 빈집이 아닌 사람이 사는 집이라는 연호(煙戶), 집집마다 찾아 다닌다는 뜻으로 마마媽媽를 일컫는 말을 호구별성(戶口別星), 집집마다 찾아 다님을 호별방문(戶別訪問), 앓은 사람이나 늙은이가 겨우 마당에까지만 드나든다는 호정출입(戶庭出入), 각 집이나 집집마다 또는 모든 집을 일컫는 말을 가가호호(家家戶戶), 문을 닫은 선생이라는 뜻으로 밖에 나가지 않고 집에 틀어박혀 독서만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을 폐호선생(閉戶先生), 마음대로 드나들게 터놓음을 일컫는 말을 문호개방(門戶開放), 집집마다 알려주어 알아듣게 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다 아는 것을 이르는 말로 가유호효(家喩戶曉), 문벌이 서로 어슷비슷함 또는 결혼 조건이 갖추어진 상대를 일컫는 말을 문당호대(門當戶對), 한 겨레 붙이나 또는 한 무리 속에서 서로 패가 갈리어 각각 나누어서 따로 문호를 세움을 일컫는 말을 분문열호(分門裂戶), 문을 닫은 선생이라는 뜻으로 밖에 나가지 않고 집에 틀어박혀 독서만 하는 사람을 폐호선생(閉戶先生)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