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몸 받았을 때 성불하라 / 수월 대선사
도를 닦는다는 것이 무엇인 고 허니, 마음을 모으는 거여.
별거 아녀.
이리 모으나 저리 모으나 무얼 혀서든지 마음만 모으면 되는 겨.
하늘 천 따 지를 하든지 하나 둘을 세든지,
주문을 외든지 워쩌튼 마음만 모으면 그만인 겨.
나는 순전히 ‘천수대비주’로 달통한 사람이여.
꼭 ‘천수대비주’가 아니더라도 ‘옴 마니 반메 훔’을 혀서라도
마음 모으기를 워찌깨나 아무리 생각을 안 하려고 혀도
생각을 안 할 수 없을 맨 큼 되는 겨.
옛 세상에는 참선을 혀서 깨친 도인네가 많았는디
요즘에는 참 드물어. 까닭이 무엇이여?
내가 그 까닭이 무엇이여?
내가 그 까닭을 말한 것인게 잘 들어봐.
옛날 스님들은 스스로 도를 통하지 못했으면
누가 와서 화두참선법을 물어도 “나는 모른다”며
끝까지 가르쳐주들 않았어.
꼭 도를 통한 스님만이 가르쳐주었는디,
이 도통한 스님께서 이렇게 생각하신단 말여.
‘저 사람이 지난 생에 참선하던 습관이 있어서
이 생에도 저렇게 참선을 하려고 하는구나.
그러면 저 사람이 전생에 공부하던 화두는 무엇이었을까?’
도를 통했으니께 환히 다 아실 거 아니여.
혀서 ‘옳다.
이 화두였구나’ 하고 바로 찾아주시거든.
그러니 그 화두를 받은 사람은 지난 생부터
지가 공부하던 화두니께 잘 안하고 배길 수가 있남.
옛날 사람들은 화두 공부가 잘 되지 않더라도 화두를 바꾸지 않고
“나는 열심이 모자라니께 열심히만 정진하면 꼭 성취할 것이다”는
한 생각으로 마음을 몰아 붙여 오로지
한길로만 애쓰다가 도를 통하기도 혔어.
그러나 요즘 사람들은 그게 아니여.
무엇이든지 한 가지만 가지고 끝까지 공부혀야 하는디
이것이 꼭 밥 먹기와 매 한 가지여.
똑같은 반찬이라도 어떤 사람은 배불리 맛있게 먹지만
어떤 사람은 먹기 싫고, 또 어거지로 먹으면 배탈이 나는 뱁이거든.
공부도 마찬가지여.
염불을 열심히 혀야 할 사람이 딴 공부를 하니 잘 안 되는 겨.
“한 집안에 천자 네 명 나는 것보다
도를 깨친 참 스님 한 명 나는 게 낫다.”
예부터 이런 말을 많이 들었지.
만일 중이 되어 도를 통할 것 같으면
그 공덕으로 모든 조상영령들과 시방삼세의 중생들이
다 이고득락(離苦得樂)할 것이니 이 얼마나 좋으냐 말여.
이 세상이라는 게 중이 되면
머리가 있고 없고 글이 있고 없고가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것이여.
차라리 그런 것들은 없는 게 훨씬 나아.
참으로 사람 되기가 어렵고,
천상천하에 그 광명이 넘치는 불법 만나기가 어려운데 말이지,
사람 몸 받아가지고도 참 나를 알지 못하고
참 나를 깨치지 못하면 이보다 더 큰 죄가 워디 있을 겨.
부처님께서도 “나도 너를 못 건져준다.
니가 니 몸 건져야 한다” 하셨어.
그러니 참 그야말로 마음 닦아가지고
니가 니 몸을 건지지 못하고 그냥 죽어봐라,
이렇게 사람 몸 받고도 공부를 이루지 못하고 그냥 죽어봐라,
다 쓸데없다.
어느 날에 다시 이 몸을 기약할 것인가.
-------------
수월 대선사
수월 음관(水月 音觀, 1855~1928) 대선사는 혜월, 만공 대선사와
더불어 '경허의 세 달'이라고 불릴 만큼 뛰어난 면모를 보인
경허 대선사의 3대 제자 중 한 분으로 머슴 생활을 하다
서른이 가까워서야 충남 서산 천장암에서 출가했습니다.
그 후 금강산과 묘향산 등 현재의 북한 지역의 사찰에서 수행하다
간도에 초막 같은 송림산 화엄사를 창건해
그 지역으로 흘러든 조선의 유민들과 독립군들까지 거두었습니다.
1928년 여름 안거를 마친 스님은 화엄사 옆 개울에서
짚신을 머리에 얹고 단정하게 열반에 들었습니다.
[출처] 나홀로 절로 | 작성자 성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