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세 늦깎이로 삭발 출가하여 우리나라 불교의 대표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 종정까지 지내신 효봉(曉峰)스님은
구산(九山)스님과 법정(法頂)스님의 은사로 잘 알려져 있다.
1888년 평안남도 양덕군에서 태어난 스님은 일본 와세다대학 법학부를 나와 조선인으로는 최초로 판사가 되었고
평양 복심법원에 근무하다가 ‘사형선고’ 내린 것에 회의를 품고 홀연 가출했다
부귀영화를 미련 없이 내던지고 엿장수로 변신하여 3년여를 떠돌다가
나이 38세에 금강산 신계사 보문암에서 석두화상을 은사로 삭발 출가하였다.
평생토록 무(無)자 화두를 들고 참구했던 효봉스님에게는
‘엿장수 중’,
‘판사 중’,
‘절구통 수좌’,
‘너나 잘해라 스님’등
별명도 많았는데,
별명 마다에는 다 그만한 사연이 있다
첫 번째 얻은 별명
‘엿장수 중’은
효봉스님이 평양에서 잠적, 가족에게도 행방을 알리지 않은 체 서울로 내려와 양복을 벗어서 판돈으로 엿판을 마련하고 엿장수가 되어 정처 없는 방랑길을 걷다가 나중에 엿판을 짊어진 체 금강산에 들어가 삭발 출가해 얻은 별명.
스님은 출가 당시 당신의 학력과 과거 행적을 완전히 숨기고 오직
‘못 배운 엿장수’였다고 자신을 소개했으므로
모두들 스님을 ‘엿장수 중’으로 불렀다.
그 후 같은 법원에 근무했던 일본인 판사가 관광차 절에 왔다가 우연히 스님과 조우, 그동안 숨겨왔던 판사 전력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때부터 스님은 ‘판사 중’으로 불리게 되었고 사찰의 법률문제만 생기면 효봉스님을 찾게 되었다.
이에 스님은 이 일이 번거로워 금강산을 떠나 남행길에 오르게 되었고
그 덕택에 남북분단 후 이 나라 불교계의 지도자가 되었다.
‘절구통 수좌’라는 별명은, 수행을 했다 하면 절구통처럼 꼼짝하지 않고 철저히 했으므로 엉덩이가 짓물러 깔고 앉은 방석이 엉덩이에 달라붙을 정도였다. 그래서 지독한 수좌라는 뜻에서 절구통 수좌로 불렀다.☔
이 땅에 6·25 동란이 일어난 후 해인사에까지 인민군의 발길이 뻗쳐 왔다. 모두들 피난을 갔지만 효봉스님과 효봉스님을 모시던 구산, 법흥, 원명, 보성 등 효봉스님의 문도들만 해인사에 남았다.
제자들이 피난을 가자고 말씀드려도 스님은 한사코 당신이 해인사를 지키고 있을 것이니 제자들에게만 피난을 가라고 하였다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퇴로를 차단당한 인민군들이 산속으로 숨어들어 비정규적인 유격전을 벌이느라 사찰이나 암자까지도 무사하지 못했다.
“스님, 어서 피난을 가십시다요.”
“늙은 중이야 별일 있겠느냐. 너희들이나 어서 피하거라."
“스님께서 떠나지 않으시면 저희들도 피난가지 않겠습니다.”
“이것 보아라. 우리 해인사에서 키우던 소, 저 소를 버리고 어찌 사람만 피난을 갈 수 있겠느냐? 나는 절에 남아서 저 소 여물을 쑤어 먹이고 있을 것이니 너희들이나 어서 떠나거라."
이렇게 한사코 피난을 거부했다.
그리고 결국 그날 밤 해인사는 패잔병들의 습격을 받고 문제의 그 소를 빼앗겼다. 패잔병들이 잡아먹기 위해 총으로 위협, 소를 빼앗아 산속으로 끌고 가버렸다.
소를 돌보기 위해 피난도 가지 않던 효봉스님은 망연자실…
다음날 별 수 없이 제자들의 성화에 이끌려 피난길에 나서게 되었는데 효봉스님은 몇 번이고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 소가 우리 대신 죽었구나. 그 소가 우리 대신 죽었어.”
효봉 스님은 제자들과 함께 피난길에 올라 부산을 거쳐 배를 타고 전라도로 가기로 했다.
부산에서 배를 타고 통영 여수를 거쳐 해남 대흥사로 갈 작정이었다.
그런데 도중에 뱃멀미를 하게 된 스님이 도저히 견딜 수 없어 통영에서 일단 배를 내려 쉬어 가기로 했다. 그런데 통영 용화산에 도솔암이라는 암자가 마침 비어 있었다.
이 도솔암에서 며칠 쉬었다갈 요량이었는데 주저앉은 김에 아주 눌러 살게 되었다. 참으로 묘한 인연이었다.
효봉스님이 구산, 원명, 보성, 법흥, 인각 등 제자들과 함께 이 도솔암에서 머물며 정진하고 있으니
뒤이어 소문을 듣고 완산, 경산, 범용, 경운, 탄허, 성수 스님 등 한국불교계의 거물들이 줄줄이 내려와 머물게 되었으니 통영 도솔암은 한국 불교계의 거봉을 배출한 요람이 된 셈이다.
[출처] 효봉 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