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귤, 강북 탱자
그 절에는 탱자나무가 길게 빙 둘러져 있다. 이런 생나무로 만들어진 울타리는 이제 일부러 찾아가야만 볼 수 있는 귀한 물건이 되었다. 봄이라고는 하지만 아직 산중은 겨울 기운이 채 가시지 않았는지라 잎 없이 뾰족뾰족한 가시들이 더욱 도드라져 담장이라는 본래 기능에 더없이 충실하다. 길바닥에는 지난해 떨어진 탱자 열매들이 메마른 채 여기저기 나뒹굴고 있다.
예전에는 한약재라고 하면서 일부러 익기를 기다렸다가 더러 다가고 하더니 이즈음은 떨어질 때까지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다. 물론 떨어진 이후도 마찬가지다. 열매가 제값을 못해도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춘삼월이 왔음을 아는지 여기저기 가지 끝에도 파아랗게 물이 오르기 시작한다.
서귀포에 위치한 그 절은 정원수가 모두 귤나무였다.
구멍이 숭숭 뚫린 나지막한 현무암 돌담으로 경계를 친 요사채의 큰 창문을 통해 밖을 보니 멀리 바다가 한눈에 들어온다. 눈을 돌려 이른 봄임에도 황금빛의 큼지막한 귤이 그대로 매달려 있는 것이 신기하여 한참 쳐다보았다.
그곳에 머물고 있는 도반과 함께 오랜만에 차상을 마주하니 십만 팔천 리 떨어진 강남으로 여행이라도 온 것 같은 느낌이다. 그이는 묻지도 않았는데 ‘하귤’이라고 대답했다. 육지에서 온 사람마다 모두 의아해하며 물어보는 모양이다. 겨우 내내 꽃처럼 나무에 매달려 동절기를 견디는 만생종이라고 부연 설명까지 해주었다.
며칠 전 두루마리 상태로 남아 있는 고려에서 처음 만든 경전들을 조사하기 위해 일본 남선사로 향하는 연구원들을 배웅했다. 그들은 일보다도 ‘호시절이라 교토 곳곳에 만개한 매화꽃을 볼 수 있겠다’라고 하면서 너무 좋아했다.
당나라 시인 두보는 이즈음의 강남 풍경을 ‘항상 강남의 삼월 풍경을 생각하니 새가 우는 곳에 온갖 꽃이 향기로우리라’고 했던가. 봄을 애써 기다리지 않아도 제주도건 일본이건 중국이건 남으로 달려가기만 하면 언제든지 봄을 만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 귤나무를 생각하니 ‘남귤북지’라는 말이 떠오른다.
물론 어원의 남북은 중국의 양자강을 중심으로 지역을 나눈 것이다. ‘강남의 귤 강북의 탱자’라고 했으니 같은 나무를 심어도 강 남쪽에는 귤이 열리는데, 강북에 심으면 탱자가 되므로 그 맛에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강남과 강북의 지리적 자연적 환경이 서로 다른 까닭이다. 하지만 귤과 탱자는 같은 운향과에 속한다. 그처럼 양자강은 남북을 갈라놓기도 하지만 또 강을 중심으로 서로를 함께 마주보도록 해주어 다시금 하나임을 일깨워준다.
강 남북의 기준을 양자강이 아니라 한강을 바꾸어 놓으면 또 다른 언어가 된다. 강남의 뚝섬 봉은사는 강북의 잘나가던(?) 상궁들이 나룻배를 타고서 갈대밭을 헤치며 기도하러 오가던 곳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화려한 고층빌딩의 숲 속에 둘러싸인 채 도심 속의 섬이 되어 버렸다. 이는 몇 십 년 만에 강남과 강북의 가치가 완전히 달라진 까닭이다.
이제 지하철 종각역 벽에는 ‘강남 같은 강북’ 혹은 ‘강북에서도 이제 강남을 느낄 수 있습니다’라는 광고가 심심찮게 나붙는다. 하지만 이것이 지역적 열등감의 역설적 표현만은 아닐 것이다. 모든 것은 언제든지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대변한 ‘말씀’으로 읽혀지는 한가한 토요일 아침, 송나라 야보도천 선사의 시를 가만히 읊조려 본다.
강북에는 탱자되고 강남에선 귤이지만
봄이 오면 모두 함께 같은 꽃을 피우는구나
강북성지강남귤
춘래도방일반화
출처 ; 원철 스님 / 모두 함께 꽃이 되네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