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회와 선행으로 선근을 심어야
/ 도선사 선묵 혜자스님
불교는 마음을 다스리는 종교이다.
대승불교의 최상의 경전인 『법화경』제 16장‘여래의 수명’편에 보면
진리의 절대적인 측면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게 설해져 있는데 이와 같이
부처님은 열반을 하신지 무려 2천5백여년이 지났지만, 우리 곁에 여전히
머무르며 병든 이와 어리석은 중생들을 교화하고 그 마음을 치유하고 계신다.
“모든 천신과 사람들 아수라들은 여래가 석가족의 궁전에서 나와
멀지 않은 도량에서 6년이란 고행 끝에 최상의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지만
비유컨대, 참으로 내가 성불을 이룬 것은 한량없고 그지없는
백 천만 억겁 나유타겁(셀 수 없는 긴시간) 이전이다”
부처님은 이미 숫자로도 알 수 없고 생각으로 미칠 수 없는
세계 이전에 성불을 하셨으며 그 인연으로 인해 또 다시
최상의 깨달음을 얻었다고 말씀하시고 있다. 우리는 이 경전에서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또 하나의 큰 진리를 발견 할 수 있는데
부처님의 존재는 생사를 뛰어 넘어
과거와 현재 미래에도 항상 머물러 계신다는 것이다.
“여래는 여래가 해야 할 일을 잠시도 쉬지 않았다.
성불을 한지도 헤아릴 수 없이 오래 되었으며 수명은 한량없는
아승지겁 동안에 머물러 멸하지 않는다. 다만, 여래가 열반을 하지 않고
산다면 박덕한 사람들이 선근(善根)을 심지 않아 가난하고 미천하여
오욕(五慾)락을 탐하고 허황한 소견에 빠질 것이다. 그러므로
박덕한 사람들은 한량없는 백천만 억겁이 지나도
여래를 보기도 하고 혹 보지 못하기도 한다.”
부처님은 비록 열반하셨으나 이는 생사의
어리석음을 가르쳐 주기 위한 하나의 방편에 지나지 않는다는 부분이다.
만약, 부처님이 열반을 하지 않고 살아계신다면, 생사를 모르는
박덕한 사람들은 선근(善根)을 심기는커녕, 오직 자신만의
부귀영화를 위해 온갖 나쁜 짓을 하게 되고 마침내는
여래의 진리조차 제대로 보지 못한다는 사실을 강조하셨다. 그럼,
누가 이 여래의 진리를 제대로 보고 그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인가?
남을 돕고 남을 위해 희생하는 삶, 항상 선근을 심는 사람만이
그 여래의 지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얼마나 깊고 아득한 진리의 말씀인가.
부처님은 끝으로 이 장에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여래를 만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중생들이 이런 말을 들으면
사모하는 마음들을 품어 여래를 갈망하고 선근을 심게 되므로
실제로는 열반하는 것이 아니지만 열반한다고 말한다. 모든
여래의 법도 모두 이와 같아서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것이므로
진실하여 허황하지 않다”
부처님이 말씀하셨 듯이
착한 마음이 준비되지 않은 사람은 결코 여래를 만날 수 없다. 하지만
누구든지 끊임없이 신심을 내고 선근을 심는다면 여래를 만날 수가 있다.
천만 다행스럽게도, 우리‘108산사 순례’회원들은 한 달에 한 번씩
불교성지 순례를 통해 여래를 만나고 있다. 또한 소년 소녀가장을 돕고
농촌을 사랑하고 병든 이를 도와주고 있다.
이것이 곧 『법화경』에 실린
부처님의 진리의 말씀을 있는 그대로 실천하고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만약, 모든 사람들이 남을 돕고 포용하는 보살의 삶을 산다면 누구나
부처가 되고 불보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법화경』의 위대한 진리이다.
불교는 앞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치유의 힘을 가지고 있다.
병든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것이 오늘날 중생들의 꿈이다.
병은 의사에게 치료하면 낫지만 병든 마음은 약으로 듣지 않는다.
오직 남을 위하는 선한 마음을 가지고
참회로써 선근(善根)을 실천하여야만 한다
이 계기를 부여하는 것이 바로 ‘108 산사순례'이다.
즉, 잃어버린 마음을 찾아나서는 길인 것이다.
지난 여름, 나는 대상포진 때문에 몸이 아파 치료를 받게 되었는데
그 때 병든 이의 고통을 알게 되었다. 108산사순례기도회창립
4주년을 계기로 병마로 고통 받는 이들을 돕기 위해
약사여래 보시금을 신설하기로 했다.
이 또한 부처님의 뜻이 아니겠는가!
- 선묵 혜자 스님 / 108산사순례기도회 회주·도선사 주지 -
1067호 [2010년 10월 13일 12:23]
▒ 혜자 스님 ▒
충북 충주에서 태어나 14세 때 청담대종사를 은사로 모시고
삼각산 도선사에서 출가, 청담 스님이 열반할 때까지 시봉하였다.
청담 스님 열반 후 통도사 강원, 송광사선원에서 수선안거를 했다.
동국대 불교대학원을 거쳐 최고경영자과정을 수료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문화부장,사서실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조계종 소청심사위원장·청담학원,혜명복지원 이사장.
인드라망 생명공동체,경제정의실천불교 시민연합,불교환경연대회 공동대표,
풍경소리 대표이사,불교귀농학교 교장,삼각산 도선사 주지를 맡고 있다.
노인복지 공로 대통령 표창(2002년), 모범사찰선정 총무원장 표창(2003년),
종정감사 모범사찰 선정 총무원장 표창(2004년)을 받았으며,
문화포교 공로로 유네스코 은관 문화상 (2004년),
재단법인전국소아암 협회 공로패(2004년),
필리핀 대통령 직속기관인 교육부로부터 교육문화대상(2005년),
캄보디아 정부로부터 금관문화훈장(2006년 6월),
팔라우 정부로부터 교육훈장(2006년 7월),
국회도서관으로부터 감사패(2006년 12월), 무궁화선양회로부터 불교선양부문
무궁화대상(2006년 12월)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
『사람노릇 하고 살기가 어디 그리 쉬운가』
『절에서 배우는 불교』 『산중 명상집』
『빈 연못에 바람이 울고 있다』 『캄보디아』
『마음으로 찾아가는 108산사』가 있으며,
엮은 책으로
『영원한 대자유』 『마음 꽃다발』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