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볕이 나고 따뜻해지면
오이 자라는 속도가 두배 세배 빨라지고
화색이 도는 동호씨는 더 많은 오이를 딴다
문학관은 빈손이라
해가 바뀌어도 더 줄 것이 없고
문학을 쓸고
문학을 닦고
저만치 동호 씨가 자전거를 타고 오고 있다
갈대들 길 양쪽으로 비켜나는데
오늘은
검은 소나기를 몰고 온다
문학관을 찾은 사람들이 멍하니 서서 쏟아지는 비를 보고 있다
지붕 아래 있어도 우리는
젖는다
〈'낮 동안의 일' 全文〉
-『동아일보/나민애의 詩가 깃든 삶』2024.03.23. -
사람만 집에 사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문학도 집에 산다. 그런 집을 우리는 ‘문학관’이라고 부른다. 예전에 한 할아버지가 운영하는 문학관을 방문한 적이 있다. 작가는 세상에 없고 육필 원고, 작가의 책상 같은 것만 남아 있었다. 문자와 정신과 흔적이 주인이 되어 앉아 있었고 할아버지는 산지기처럼 지키고 계셨다. 내가 죽으면 문학관은 어쩌나 하며 우셨던 것이 기억난다. 숲이며 문학이며, 아름답고 오래된 것을 지키는 것이 어려운 시대다.
그래서 이 시에 마음이 오래 남는다. 쓸릴 리 없는 문학을 쓸고, 닦일 리 없는 문학을 닦는 행동을 우리는 ‘사랑한다’고 읽는다. 내어 줄 것이라고는 책 냄새밖에 없는 문학관에 오이를 날라 주는 사람을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읽는다. 대가 없이 사랑하고 내가 좋아 사랑하는 일은 참 자연스러운 것이었는데 언젠가부터는 그리운 일이 되어 버렸다. 그래서 백오이와 동호씨와 길순씨가 만드는 이 문학관 이야기는 무척 자연스럽고 그립게 읽힌다.
익숙하고 그리운 풍경이다. 나에게도 작은 문학관을 지키며 사는 아버지가 있고, 그 아버지를 지키며 문학관 마루를 쓸고 닦는 어머니가 있다. 이 시를 품고 그곳에 가고 싶다.
〈나민애/문학평론가〉
농부는 흙과 바람, 비와 태양 사이에서 곡식과 열매를 키워내는 사람입니다. 그 수고롭고 고단한 노동이 많은 이들을 배불리 먹을 수 있게 하고, 힘든 하루를 보낸 사람에게 달콤한 과일을 대접할 수 있게 합니다.
농부의 삶은 그 자체로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람과 별을 노래하고 배고프고 지친 많은 이들에게 위로와 힘을 주는 게 시인의 일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