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ant와 -mant는 '-를 가진, -를 지닌'의 뜻이다.
명사 격변화 표는 21번 표에 해당한다.
앞서 공부했듯이 빠알리어에서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모두가 격변화를 한다.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 수, 격에 따라 격변화한다.
-vant / -mant 로 끝나는 형용사는 성에 따라 격변화 형태가 다르다.
(남성) Guṇavant: 덕이 있는
| 단수 | 복수 |
주격 | Guṇavā, Guṇavanto | Guṇavanto, Guṇavantā |
호격 | Guṇavā, Guṇava | Guṇavanta, Guṇavanto, Guṇavantā |
목적격 | Guṇavantaṃ | Guṇavanto, Guṇavante |
도구격 | Guṇavatā, Guṇavantena | Guṇavantehi, Guṇavantebhi |
탈격 | Guṇavatā, Guṇavantamhā, Guṇavantasmā | Guṇavantehi, Guṇavantebhi |
여격 | Guṇavato, Guṇavantassa | Guṇavantaṃ, Guṇavantānaṃ |
소유격 | Guṇavato, Guṇavantassa | Guṇavantaṃ, Guṇavantānaṃ |
처소격 | Guṇavati, Guṇavante, Guṇavantasmiṃ, Guṇavantamhi | Guṇavantesu |
-vant 형용사 중 가장 대표적인 단어는 bhagavant 이다.
bhaga는 '행운'이라는 뜻이고, bhagavā로 쓰이면 대부분 '세존께서는'이라고 주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2.
중성 -vant, -mant 형용사는 경전에 거의 나타나지 않아 중요도는 떨어진다고 한다.
(중성) ojavant: 생기를 주는, 자양분이 충분한
| 단수 | 복수 |
주격 | Ojavantaṃ | ojavantāni |
목적격 | ojavantaṃ | ojavantāni |
마치 -a로 끝나는 중성명사처럼 단수와 복수가 각각 -ṃ, -āni로 끝난다.
나머지 격변화는 위 남성 형용사 격변화와 같다고 한다.
3.
여성 -vant, -mant 형용사는 명사표 8번 -ī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같이 격변화한다고 한다.
Guṇavatī, Guṇavantī와 같은 방식이다.
4.
-vant와 -mant로 끝나는 형용사 단어들은 다음과 같다.
명사로 쓰면 '-를 가진 자'의 뜻이 된다.
5.
Balavantehi bhūpatīhi arayo parājitā honti.
힘을 지닌 왕들에 의해 적들은 패배되었다.
Mayaṃ cakkhūhi bhānumantassa suriyassa rasmiyo oloketuṃ na sakkoma.
우리는 눈들로 빛나는 태양의 빛들을 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