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지역 주민 반대로 진통을 거듭해오던 중견 향토기업 부산주공(주)의 부산 귀환이 확정됐다. 자동차부품을 주로 생산하는 부산주공은 지난 2008년 용지난 등으로 인해 울산시 울주군으로 이전한 바 있다.
부산시는 부산주공 측이 기장군 장안읍 반룡리 일원에 실수요자 방식으로 추진 중인 신소재 일반산업단지 계획에 대해 최종 승인키로 하고 이 같은 내용을 16일 시보를 통해 고시키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신소재 일반산업단지는 전체 26만 ㎡ 규모로 전기장비(풍력발전 설비),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등이 들어서게 된다. 앞서 시는 신소재 일반산단 심의위원회를 열고 승인을 결정했다. 서면으로 진행된 심의에는 29명의 위원 중 21명이 참가했으며, 2명을 제외한 19명이 찬성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시보를 통한 승인 고시는 산업단지 계획 승인을 위한 행정절차가 최종적으로 마무리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부산주공은 1967년 부산 남구 용호동에서 철강기계부품 생산 기업으로 첫발을 내디뎠으며, 현재는 조향장치나 제동장치 등 자동차부품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1975년 기업공개 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수중소기업이며 특히 2006년에는 부산시가 처음으로 선정한 50개 향토기업에 포함되기도 했다. 그러나 2008년 말 사세 확장에 따라 공장(당시 사상구 학장동) 이전에 나섰으나 마땅한 부지를 확보하지 못했고, 결국 울산 울주군 온산국가산업단지로 이전을 결정했다.
최근엔 국내 완성차업계의 전례 없는 호황을 타고 물량이 급격히 늘면서 또다시 문제가 생겼다. 공장 등 증설이 불가피하게 됐고, 새로운 공장 입지로 기장군을 선택했다.
하지만 부산주공의 부산 귀환은 산업단지 예정지 인근 주민들이 반대를 하고 나서면서 난관에 부딪혔다. 이 때문에 사업 신청 이후 승인까지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다. 현재도 일부 주민들의 반발이 여전하다.
부산시 측은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법적인 문제는 전혀 없지만 주민 민원을 최소화하면서 사업을 추진해줄 것을 요청해놓은 상태라고 언급했다.
부산주공의 종업원 수는 700여 명, 연매출은 5000억 원 정도다. 부산주공 측 관계자는 "공해 없는 첨단시설의 산업단지를 만들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