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새벽에 우연히 떠오른 생각인데 너무 신비로운 마음에
이렇게 글을 적게 됩니다.
소리이론의 글을 쓰면서 자음의 의미를 깊게 생각하게 되었고
결국 모든 자음의 의미를 제 개인적으로는 풀었다고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결국 풀고 나니 자음들의 의미가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짝을 이루고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처음에 이 구도를 보고 어찌나 놀라웠던지
그리고 왜 아직 아무도 이 구조를 풀지 못하였나
의야한 생각도 들었습니다.
저 같은 멍청이가 이 구조를 발견한 것도 이해가 안돼고 참 생소한 형태인데
볼수록 신비롭고 누군가의 의도에 의한 구조인지 우연한 구조인지도
모르겠더라구요.
이제부터 제가 자음의 의미를 풀면서 나온 답을 가지고
자음들과의 관계들을 써보겠습니다.
["ㅇ→ㄷ", "ㅅ↑ ㄴ↓", "ㅂ↔ㅁ", "ㄱ↔ㅍ", ㄹ]
■ "ㅇ" 소리와 "ㄷ"소리
"ㅇ" 소리의 의미 = "원(原:근원)"
("ㅎ" 소리는 "ㅇ"소리의 강조음)
예) 아(兒,我), 아이, 아기, 아버지, 어머니, 인간, 입, 할아버지, 할머니, 우리, 얼, 알, 왕, 얼굴, 영,
혼, 한, 효, 황제, 일(日), 양, 에너지, 원자, 해, 핵, 환(煥), 환하다, 원, 아담, 여호와, 엘로힘, 알라,
알, 이치, 원(原), 하나님, 하늘, 한얼, 하나, 열, 환인, 힘등
"ㄷ" 소리의 의미 = "다음(도달)"
("ㄸㅌ" 소리는 "ㄷ" 소리의 강조음)
예) 다달음, 도달, 도착, 더듬다, 당도함, 뒤, 달, 딸, 땅, 토(土), 도(道), 돈(錢), 다리, 닫다, 뒤, 등,
똥, 답, 뜻, 뛰다, 닿다, 되었음, 됐다, 드디어, 다짐, 디지다, 두르다, 덮다, 뜸드림, 땜빵, 띠, 때,
뜨거워, 두드림, 딩동댕, 똑똑, 탁탁, 덩덕쿵, 땡땡땡, 톡, 터치, ~들, ...등,.......다, 다(전부)등
※ 관계
[ㅇ] [ㄷ]
↓ ↓
원(原:근원) 다달음,도착
해 ----> 달
인간 ----> 땅, 뜰, 토
하나 ----> 둘
아들 ----> 딸
형 ----> 동생
얼굴 ----> 다리
열림 ----> 닫힘
앞 ----> 뒤
음식 ----> 똥
원래 ----> 다름
일요일 ----> 토요일
원 ----> 탠(영어의 숫자 시작이 "ㅇ"소리로 시작되었고 끝 자음 소리가 "ㅌ" 소리로 끝남)
에이 ----> 제트(아파벳도 동일하게 "ㅌ" 소리로 끝남)
오픈 ----> 앤드
東[E:이] ----> 西[W:떠블유]
■ "ㅅ"소리와 "ㄴ"소리
"ㅅ" 소리의 의미 = "솟음(↑)"
("ㅈ소리는 "ㅅ" 소리의 약화음 "ㅊ" 소리는 "ㅅ" 소리의 강조음)
예) 솟음, 쏘다, 사내, 사나이, 숫컷, 성기, 자지, 좃, 초, 총, 산, 솔, 소나무, 소나기, 손, 손꼬락, 섬, 삽, 침, 숨, 소금, 춤,
생명, 사랑, 사람, 소리, 시작, 씨, 씹, 싹, Sex등
"ㄴ" 소리의 의미 = " 내림(↓)"
예) 내림, 내리다, 내려놓다, 눕다, 느러짐, 나른함, 누르다, 눈, 누에, 네(川), 논(畓), 녀(女), 누나, 누이, 언니,
노인, 늙은이, 늙다, 녹다, 녹슬다, 느림, 누다, 노음, 놓다, 낳다, 넣다, 앉다, 날다, 널려있다, 노랑, 누렇다등
※ 관계
[ㅅ] [ㄴ]
↓ ↓
솟음 내림
사내 <--------------> 녀자
솟은 형태 <--------------> 누운형태
(산,손,솔,삽) (네,눈,누에)
상(上) <--------------> 낮음
서다 <--------------> 앉다
세우다 <--------------> 내리다, 놓다
승리 <--------------> 난관, 나쁜
속(速) <--------------> 느림
南[S:싸우스] <--------------> 北[N:노오쓰]
■ "ㅂ"소리와 "ㅁ" 소리
"ㅂ"소리의 의미 = "벌려나감"
예)벌림, 빛, 별, 번개, 불, 반짝, 밝음, 빨강, 붉음, 볼, 뺨, 부(夫), 밭, 부끄럽다, 방끗, 보다, 방위, 바람, 변화, 발사,
발산, 보냄, 벌리다, 뱉다, 부수다, 뿌리다, 바지, 뿌리, 뿔뿔히등
"ㅁ" 소리의 의미 = "모임"
예)모임, 멈춤, 모임, 뭉침, 만남, 마중, 머무름, 만듦, 막다, 먹음, 맞이함, 묶음, 말다, 물, 몸, 머리, 목, 무릅, 모(母),
마마, 할머니, 마당, 음부, 묽다, 뭉개구름, 무지개, 물다, 묵직함, 만지다, 먹다, 맛, 먹음다등
※ 관계
[ㅂ] [ㅁ]
↓ ↓
발산 뭉침
분리 <--------------> 묶음
보냄 <--------------> 만남
맞춤 <--------------> 벗어남
버리다 <--------------> 모으다
불 <--------------> 물
부(夫) <--------------> 모(母)
부시다 <--------------> 만들다
밝음 <--------------> 묽음
발생 <--------------> 멈춤
뿔뿔히 <--------------> 뭉치다
뱉다 <--------------> 먹다
배웅 <--------------> 마중
봄 <--------------> 무시
바람(愛) <--------------> 미움
■ "ㄱ"소리와 "ㅍ" 소리
"ㄱ"소리의 의미 = "굽음(꺽음)"
("ㅋ" 소리는 "ㄱ" 소리의 강조음)
예)구부림, 꺽임, 각, 꺽음, 굽음, 고임, 곡선, 고캥이, 고개, 길, 끄덕, 까닥, 강함, 까시, 꼭지, 꼭대기, 깍두기
꼭지점, 꼬추, 꼬임, 꼬불꼬불, 깨치다, 꼴, 끄트머리, 끝, 껄끄러움, 거칠음, 기울다, 꾹, 쿡, 커브, 캡, 꿈치,
어깨, 코, 겨드랑, 귀, 궁뎅이등
"ㅍ"소리의 의미 = "펼침"
예)펼침, 피다, 펴다, 편안, 평화, 평등, 평균, 평행선, 편안함, 풀다, 풍부함, 편지, 파도, 포, 피자, 팔, 표출, 파헤침
파괴, 피부, 팔방, 풀, 잎등
※ 관계
[ㄱ] [ㅍ]
↓ ↓
굽음 펼침
꺾다 <--------------> 펴다
곡선 <--------------> 평행선
꼬이다 <--------------> 풀리다
꺼칠다 <--------------> 평평하다
고개길 <--------------> 평지
각진 물체 <--------------> 평평한 물체
(고캥이,까시,꼬추) (판,피자,파도,평행봉)
■ "ㄹ" 소리
"ㄹ" 소리의 의미 ="울림(탄생)"
("ㄹ" 소리는 소리와 소리의 연결을 부드럽게 하여주기 위하여 주로 종성소리에 사용됨)
예) 알, 얼, 술, 꿀, 삶, 열다, 방울, 알음등(주로 종성소리로 사용됨)
이상 자음의 의미와 두 자음과의 대응관계를 살펴보았습니다.
간단하게 마무리 요약하여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ㅇ" 소리 원(原:근원)과 "ㄷ" 소리 "다음(도달)"
"ㅅ" 소리 "솟음↑"과 "ㄴ" 소리 "내림↓"
"ㅂ" 소리 "발산"과 "ㅁ" 소리 "뭉침"
"ㄱ" 소리 "굽음"과 "ㅍ" 소리 " 폄"
"ㄹ" 소리 "울림(생명)"
우리들이 사용하는 한글 자음의 의미는
[ㅇㄷ]근원의 시작과 다음
[ㅅㄴ]솟고 내리고
[ㅂㅁ]벌리고 모이고
[ㄱㅍ]굽고 펴고
[ㄹ]울리는
의미입니다.
위 [ㅇㄷ, ㅅㄴ, ㅂㅁ, ㄱㅍ, ㄹ] 기본 9자음으로 거의 모든 의미를 다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처음에는 생소하여 가슴에 잘 와 닿지 않겠지만 생각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이론이라고 생각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66D80214A39E30C7A)
전세계 한민족 커뮤니티의 중심 '한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