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호주 인스턴트 라면 수입 전년대비 40% 가량 증가 -
- 간편 조리식품 수요 증가 및 아시안 인구 유입으로 인스턴트 라면 인기 -
□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인스턴트 라면
◦ HS Code: 190230 (Pasta, Prepared, Nesoi)
□ 시장규모 및 동향
◦ 세계 인스턴트 라면 협회인 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에 따르면, 2017년 호주의 인스턴트 라면 소비량은 3억9천만개 가량으로 전 세계에서 19위를 차지하고 있음. 이는 세계 전체 수요의 0.4%에 그치는 수준이나 지난 5년 호주의 인스턴트 라면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한편, 세계 최대의 라면 소비국은 중국/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등이며, 한국은 8위임(연 37억4천만개 가량 소비).
◦ 호주의 라면(Noodles) 시장 규모는 2017년 기준 약 3억5,510만 호주달러로 지난 5년간 4% 가량 성장함. 이중, 인스턴트 라면(Instant Noodles)은 2억8,480만 호주달러로 규모로 호주 전체 라면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 5년 동안 약 4%의 성장률을 보임. 컵라면은 3% 가량 성장함.
2017년 호주의 라면, 파스타, 쌀 제품 매출액 및 성장률
자료원: Euromonitor
◦ 유로모니터(Euromonitor) 자료에 따르면, 지속적인 아시아 인구의 유입 및 즉석요리(Ready Meal)에 대한 수요 증가로 호주의 인스턴트 라면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2년에는 전년대비 3% 가량 성장한 3억3,580만 호주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2017년 호주 인스턴트 라면 매출액 및 성장 동향
(단위: AUD 백만)
자료원: Euromonitor
◦ 현재 호주 인스턴트 라면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고 있는 브랜드는 Maggi, Fantastic, Indomie 등으로 Coles, Woolworths와 같은 호주 내 주요 대형마트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세계적인 FMCG 기업 Nestle 브랜드인 Maggi 라면은 호주 인스턴트 라면 시장의 선두주자로 1980년대부터 주로 10~20대 연령을 대상으로 높은 인기를 끌어왔으며, 컵라면의 경우 식사 대용 뿐 아니라 어린이 간식으로도 애용되고 있음.
◦ 최근에는 한국 N사 라면이 호주 최대 아시아 식품 유통사인 Oriental Merchant Pty Ltd를 통해 호주 전역으로 유통되면서 현지 시장에서의 입지를 점차 넓혀가고 있음. 이외에도 싱가폴의 Trident 라면 및 태국의 Wai wai 라면 등이 인기가 있음.
◦ 호주에서 인스턴트 라면은 아시아계 이민자 및 국제 학생을 중심으로 주로 소비되고 있으며, 현지 대형 마트 뿐 아니라 아시안 마트 및 중소 규모의 한인 식료품점에서 다수 판매되고 있음.
□ 수입 규모 및 동향
◦ HS Code 190230 인스턴트라면에 대한 호주의 수입 규모는 2017년 기준 총 1억 1,785만 호주달러로 지난 3년간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2017년에는 전년대비 38.9% 가량 증가함.
◦ 동 제품 전체 수입의 40% 이상이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및 한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으며 이외 대부분은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중국 등 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수입되고 있음. 이는 대부분의 인스턴트 라면 소비자가 아시아계 인구임과 동시에 해당 국가에서 생산하는 라면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기 때문임.
◦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지난 3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2017년에는 1,534만 미달러에 달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163% 가량 증가한 수치임. 최근 한국 라면 생산 기업 N사에서 각종 팝업 스토어 및 이벤트, 프로모션 행사 등을 통해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벌이면서 한국 라면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으며, 이것이 수출 증가에 적잖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임.
2015-17년도 호주 인스턴트 라면(HS Code 190230) 수입규모
순위 | 국가명 | 수입액(USD만) | 점유율(%) | 증감률(%)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2017/2016 |
전체 | 6,951 | 8,489 | 11,785 | 100.00 | 100.00 | 100.00 | 38.9 |
1 | 뉴질랜드 | 1,140 | 1,499 | 1,691 | 16.4 | 17.7 | 14.4 | 12.9 |
2 | 인도네시아 | 1,386 | 1,410 | 1,649 | 20.0 | 16.6 | 14.0 | 17.0 |
3 | 한국 | 222 | 584 | 1,534 | 3.2 | 6.9 | 13.1 | 162.8 |
4 | 태국 | 688 | 896 | 1,447 | 9.9 | 10.6 | 12.3 | 61.6 |
5 | 말레이시아 | 1,572 | 141 | 1,414 | 22.7 | 16.6 | 12.0 | 0.4 |
6 | 싱가포르 | 394 | 679 | 1,244 | 5.7 | 8.0 | 10.6 | 83.2 |
7 | 중국 | 559 | 714 | 1,161 | 8.1 | 8.5 | 9.9 | 62.6 |
8 | 대만 | 62 | 174 | 379 | 0.9 | 2.1 | 3.3 | 117.8 |
9 | 베트남 | 117 | 174 | 306 | 1.7 | 2.1 | 2.6 | 76.4 |
10 | 이탈리아 | 405 | 482 | 303 | 5.9 | 5.7 | 2.6 | -37.2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호주 인스턴트 라면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은 Clearlight Investments Pty Ltd 사로 파스타 브랜드인 San Remo와 인스턴트 라면 브랜드인 Fantastic Snacks를 운영하고 있음. 당사는 유일하게 라면 및 파스타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호주 라면 시장의 30%를 점유하고 있음. Fantastic Snacks는 호주 라면, 파스타 및 쌀 시장에서 4.6%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음.
브랜드명
| 제품사진
| 시장점유율(%)
| 매출규모(USD)
|
Fantastic Noodles
(San Remo Macaroni company)
|
| 4.6
| 2,336만
|
자료원: Fantastic Snacks 홈페이지, Hoovers
◦ 수입 업체 중에서는 글로벌 소비재 및 식품 기업인 Nestle 사의 Maggi 제품이 가장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Maggi 라면은 호주 라면, 파스타 및 쌀 시장에서 6.2%의 점유율을 차지함.
브랜드명
| 제품사진
| 시장점유율(%)
| 매출규모(USD)
|
Maggi (Nestle Australia)
|
| 6.2
| 16억5,698만
|
자료원: Maggi 홈페이지, Hoovers
◦ 이외도 인도네시아 Indofood 사 인스턴트 라면 브랜드인 Indomie가 전체 시장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해 그 점유율을 넓혀가고 있음. 당사 제품은 호주 최대 아시아 식품 유통사인 Oriental Merchant Australia에서 유통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브랜드명
| 제품사진
| 시장점유율(%)
| 매출규모(USD)
|
Indomie (Indofood Indonesia)
|
| 4.5
| 51억7,701만
|
자료원: Indomie 홈페이지, Hoovers
◦ 한국 제품의 경우, 농심이 유일하게 호주의 라면, 파스타, 쌀 브랜드 시장에서 2%대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017년 호주의 라면, 파스타, 쌀 브랜드 시장 점유율
자료원: Euromonitor
□ 유통구조
◦ 호주에서 Coles, Woolworths, IGA 등 현지 대형마트로 인스턴트 라면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현지 전문 유통사를 통해 진입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임. 이는 대부분의 대형마트가 재고 관리, 통관 문제 등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간 유통사를 통한 제품 구매를 선호하는 편이기 때문임.
◦ 호주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아시안 식품은 일부 유력 아시아 식품 유통업체(Oriental Merchant, Ettason, Rockman Australia 등)를 통해 들어오며, 이러한 유력 아시아 식품 유통업체의 경우, 대부분이 중국계 기업이기는 하나 중국 식품 외에도 일본, 태국, 한국 등 다양한 아시아 국가 식품도 다수 수입하여 공급하고 있음.
◦ 호주 시장에 초기 진입 할 경우, 처음부터 현지 대형 유통사들과 거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호주 내 한인마트나 소형 중국 마트를 타겟으로하여 직접 진입하는 방법도 있음.
◦ 이외 직접 진출을 통한 유통 방법도 있으나 보수적인 호주 시장에서는 장기간의 거래를 통해 이미 어느 정도의 신뢰가 쌓여있거나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조사가 대형마트와의 직접 거래를 진행하기는 쉽지 않은 바, 현지에 탄탄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식품 유통 업체를 잘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됨.
□ 관세율
◦ HS Code 190230에 대한 호주의 對韓 수입 관세율은 0%임. 기존 5%의 관세율을 가지고 있었으나 2014년 한국-호주 FTA 체결 직후 무관세로 변경됨.
◦ 이외 해당 제품 최대 수입국인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역시 호주와의 자유무역협정 체결로 HS Code 190230에 대한 호주 수입 관세율은 0%임.
◦ 한편, HS Code 190230에 대한 호주의 일반 수입 관세율은 5%임.
◦ 부가가치세: 호주로 수입되는 모든 품목에는 기본적으로 10%의 부가가치세 (GST, Goods and Services Taxes)가 부과됨.
□ 수입규제
◦ 호주로 인스턴트 라면을 수출하기 위해 취득해야하는 특별한 인증은 없으나, 한국의 경우 라면 스프에 한국산 소고기 분말이 들어가 있을 경우, 수입이 불가함.
◦ 호주는 까다로운 식품 라벨링 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호주 식품기준청에서 규정한 한 식품라벨 표기 방법은 아래와 같음.
식품 라벨링 방법
자료원: 호주 뉴질랜드 식품기준청
□ 전망 및 시사점
◦ 최근 호주 대형마트에서 아시아 식품 코너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특히 각종 소스, 라면, 스낵 종류가 주를 이루고 있음. 이는 호주 내 아시아 인구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국적의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아시아 식품 중에서도 현지인들이 가장 접근하기 쉬운 제품인 과자, 라면 및 간편조리 식품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호주 공중파 요리방송에서 최근 태국, 중국, 일본 음식 등 다양한 국적의 음식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 늘어나면서 호주인들의 아시아 식품에 대한 관심도 지속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다만, 아직 호주인들에게 한국 음식은 타 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음식에 비해 덜 친숙한 실정으로 꾸준한 홍보와 미디어 노출을 통해 한국 음식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관심을 이끌어 내는 노력이 필요함.
◦ 인스턴트 라면으로 호주 소비자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현지인의 입맛에 맞는 제품의 선별이 중요함. 현재 호주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Maggi, Indomie 제품은 치킨 스프를 사용해 맵지 않은 하얀 국물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중량 역시 70g 내외로 한국 제품(120g 내외)에 비해 크게 낮음. 이처럼 호주에서 일반적으로 인기가 높은 제품은 맵고 자극적인 맛 보다는 어린이들이 먹어도 무리가 없을 정도의 순한맛과 중량의 제품임을 알 수 있음. 아시안 인구를 포함한 현지인들에도 어필하기 위해서는 기본 라면 제품 외에도 다양한 맛, 조리법 등으로 승부를 둘 필요가 있음.
◦ 건강에 민감한 소비자를 위해 라면 스프에 들어간 명확한 성분 및 재료 표기가 중요함. 호주에서는 라면을 스낵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어 종종 아이들의 간식으로 소비되기도 해, 식품에 어떤 재료가 들어갔는지가 제품을 선택에 중요한 조건으로 자리잡고 있음. Maggi 인스턴트 라면 영양 담당자 Vanessa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보다 소비자가 이해하기 쉬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즉, 고객이 성분을 확인했을 때 대부분의 재료가 집에 있을법 한(건강한) 것들로 만들어져 고객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 언급하기도 하였음.
자료원: News.com.au, Euromonitor, Hoovers, Global Trade Atlas, 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Maggi, Indomie, Fantastic Snacks 홈페이지 및 KOTRA 시드니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