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권오현 교수의 언어와 문학 강의실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언어/문학 공부방 질의 리퍼테르에 관하여....
국현이 추천 0 조회 113 03.10.02 10:34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3.10.03 18:05

    첫댓글 미셀 리파데르는 구조주의적 원리에 입각해 독자의 관점에서 문체 사실을 연구하는 프랑스 구조문체론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문학적 능력'의 개념을 사용해 수용미학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으나, 지나치게 욕심을 부려 리파떼르에게 집착할 필요가 없습니다. 교재(pp.387-389)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입니다.

  • 03.10.03 17:30

    '문학적 능력'이란 것은 무엇인가, '문학적 능력'은 왜 필요한가, '하이포그램'이란 어떤 것들인가, '의미'와 '주형'은 어떻게 다른 것인가, 독서의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등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면 정리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 03.10.03 17:54

    굳이 덧붙인다면, 리파떼르는 독서를 할 때 언어학적 분석에만 의존하면 언어 요소에만 치중하게 되어 '문체 가치'라는 특수한 성격을 무시하게 되는 약점을 보완하려고 독자적인 방법론을 제시한 것입니다.

  • 03.10.03 17:49

    말하자면 '문체 과학'으로서 문체론을 정립시키는 것이 목적이었고, 랑그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탈피하여 빠롤의 실현 가치에서 문체 현상을 발견하려고 한 것이었습니다.

  • 03.10.03 17:57

    즉, 작가가 특별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언어 요소의 표현은 문체 단위를 이루는 것이고, 그것은 표준적인 체계의 잠재적인 가치가 아니라, 변별적 가치를 지닌 구체적인 언어적 실현이라는 것입니다. '초독자'의 개념은 이러한 문체의 변별적 특성을 찾기 위하여 제시한 원칙 중의 한 가지입니다.

  • 03.10.03 17:56

    참고로 리파떼르가 제시한 문체의 변별적 특성을 찾기 위한 원칙은 "① 초독자(archilecteur)의 기준. ② 규범(norme)에 대체된 문맥(contexte) 기준. ③ 문맥(contexte)과 대조(contraste) ④ 문체적 수렴(convergeance)" 등입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