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
|
회의문자 |
물을 담은 대야와 臣(신☞크게 뜬 눈)의 변형과 내려다보고 있는 사람으로 이루어짐. 사람이 물 그림자를 보다, 전(轉)하여 비추어 본다는 뜻 |
획순 보기 |
|
|
활용 단어 |
監(감) ①감독(監督)을 하는 구실, 또는 그 구실을 맡아 하는 사람 ②군 직제(職制)의 하나. 감실(監室)의 장(長) ③종친부(宗親府)의 정6품(正六品)과 숭의전(崇義殿)의 종6품(從六品) 벼슬 ④고려(高麗) 태조(太祖) 때 서경 분사(西京分司)의 관아(官衙)에 둔 벼슬 ⑤고려(高麗) 31대 공민왕(恭愍王) 때 사재감(司宰監)의 종3품(從三品) 벼슬 ⑥고려(高麗) 때 사진감(司津監)의 종4품(從四品) 벼슬로, 25대 충렬왕(忠烈王) 때 사재시(司宰寺)의 경(卿)을 고친 이름 ⑦고려(高麗) 때 군기감(軍器監)ㆍ비서성(秘書省)ㆍ사천대(司天臺)ㆍ소부감(小府監)ㆍ장작감(將作監)ㆍ전중성(殿中省)ㆍ태의감(太醫監)에 둔 종3품(從三品) 혹은 정4품(正四品) 벼슬 ⑧신라(新羅) 공장부(工匠府)ㆍ채전(彩典)ㆍ좌사록관(左司祿館)ㆍ우사록관(右司祿館)ㆍ전사서(典祀署)ㆍ신궁(新宮)ㆍ동시전(東市典)ㆍ서시전(西市典)ㆍ남시전(南市典)의 장관(長官) ⑨신라(新羅) 사천왕사 성전(四天王寺成典)의 경(卿) 다음 벼슬인 적위(赤位)와 영흥사 성전(永興寺成典) 대내마(大奈麻)를 고친 이름 ⑩신라(新羅) 전읍서(典邑署)의 차관(次官) ⑪신라(新羅) 내성(內省)의 경(卿) 다음의 벼슬 ⑫신라(新羅) 28대 진덕(眞德) 여왕(女王) 때의 시위부(侍衛府) 장군(將軍)의 이름 ⑬신라(新羅) 어룡성(御龍省)의 버금 벼슬로 어백랑(御伯郞)을 고친 이름 ⑭중국(中國) 진(秦)나라ㆍ한(漢)나라의 지방관(地方官)의 하나. 지방관(地方官)의 감찰(監察)을 맡았음 監客(차자) 차탄(暖歎) 監考(감고)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궁가와 각 관아(官衙)에서 금곡이나 물품(物品)의 출납(出納)과 간수를 보살피고, 혹은 잡무에 종사(從事)하던 사람. 도감고의 준말 監工司(감공사) 조선(朝鮮) 시대(時代) 26대 고종(高宗) 19(1882)년에 설치(設置)한 관청(官廳). 통리 군국 사무 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 안에 두어 토목(土木)을 관리(管理)하였음 監官(감관) 관청(官廳)이나 궁가에서 돈. 곡식(穀食) 따위의 출납(出納)을 맡아보던 관리(官吏) 監觀(감관) 경계(警戒)하여 살펴 봄 監館事(감관사) 감춘추관사의 준말 監國(감국) ①옛날 중국(中國)에서 왕이 국외(國外)로 나갔을 때 서울에 남은 태자(太子)를 일컫던 말 ②천자(天子)가 일시적(一時的)으로 권한(權限)을 대행시키던 기관(機關) 監軍(감군) 밤중에 도성(都城)의 안팎을 순행(巡行)하며 군사(軍士)의 행순(行巡)을 검독(檢督)하던 임시(臨時) 벼슬 監軍牌(감군패) 감군이 밤중에 돌며 순찰(巡察)할 때 가지고 다니던 패. 한쪽에는 '감군(監軍)'이라 쓰고 다른 쪽에는 화인을 찍었는 데, 날마다 신시(申時)에 대궐(大闕) 안에서 받아 가지고 이튿날 아침에 도로 바쳤음 |
첫댓글 감사해용~.. 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