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 태인면 태흥리 소재 항가산 중턱에 자리한 다천사(茶泉寺, 대한불교 태고종)와 익산 지방 국토관리청 및 시공사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다천사와 익산지방 국토관리청(이하 국토관리청)을 비롯한 익사 지방 국토관리청이 용역을 발주한 시공사간의 갈등은, 태인 - 원평간 도로건설공사(2공구) 터널공사를 위한 발파공사로 태인 다천사(茶泉寺) 대웅전의 서까래와 대들보가 일부 빠지고 천장부위의 앙토와 기와가 탈락되고 있는 상태로 시공사의 공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
다천사 등각 스님에 따르면 “익산 국토관리청이 시행중인 태인-원평 도로건설공사(2공구) 터널발파 공사로 인해 사찰(다천사) 건축물의 피해가 위험수위를 넘고 있지만 공사초기부터 전통사찰 보호법에 따른 사전 안전장치 없이 공사를 강행, 사찰 건축물의 피해가 커지고 있어 공사중지 민원과 함께 피해정도를 검증하는 계측을 요구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해 국토관리청은 ‘공사 진행과 시공사측이 추천하는 업체선정을 통해 계측을 수용하겠다.’고 입장을 밝히고 있어 “이제는 법적인 중재가 불가피한 입장”이라고 밝혀 사안의 법정공방 가능성을 시사했다.
지난 9월 22일, 익산 지방 국토관리청은 다천사 주지 등각스님이 제기한 민원회신을 통해 ‘ 시공사가 제시한 1개의 검증업체의 추천시(복수추천이 아닐 경우)에는 적정 용역비(예상금액 520만원 정도)의 공인기관 선정을 전제로 사찰 측 의견을 수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계측사 선정과 계측 비용을 둘러싸고 상호간 의견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정읍시 태인면 항가산에 소재한 다천사는 과거 절터로 구전되던 이곳에 1930년경, 당시 다천사의 주지이던 벽산(碧山)스님이 새로이 절을 창건한 이후 1990년에 42평의 요사채를 건립하고 1991년 대웅전을 목조기와 집으로 다시 지었던 사찰로 알려져 있다.
등각 스님에 따르면 다천사의 다천(茶泉)라는 이름은 1930년경 당시 이 사찰의 주지이던 벽산 스님이 절을 지으려할 때 절 앞마당에 자리한 수령 500년의 정자나무 아래를 청소하던 중 바위 밑에 다천(茶泉)이라 새겨진 글귀와 함께 샘이 발견돼 이후에 지어진 절 이름을 다천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지방자치시대 이후 지방 국토관리청의 노력으로 전국이 일일 생활권으로 단축돼 산간 오지 마을까지도 자동차 전용도로가 이어지는 생활의 편리를 가져왔다.
하지만 오늘날 도로공사로 인한 전국의 국토 점유율은 2000년도 이후부터 우리나라의 농토 점유율을 넘어서고 있어 자칫 우리나라가 ‘도로 공화국이 아닌가?’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
특히 신설되는 도로공사로 인해 야기되는 ‘로드 킬’ 현상과 ‘문화재와 전통사찰의 회손’ 등으로 이어지는 난(亂) 개발은 우리민족이 가져온 전통적인 토속미를 중화시켜 자연친화적인 우리국토의 본래 모습을 급격하게 변화시켜 왔다.
이것은 생활의 편리를 위해 정부와 지방 국토 관리청이 만들어온 거대한 돌연변이 자연 형태로 변형을 가져오고 있어 과연 인간을 위한 개발인지 도로를 위한 개발인지 의문을 갖게 한다.
자연과 생태의 변화를 통해 인간과 자연을 이어주는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존의 자연 환경에 대한 급격한 변화를 최소화 하고 선조들이 물려준 문화유산을 비롯한 전통사찰과 같은 민족적 정서를 이어오던 시설물들에 대한 안전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개발이 가속화 되면 ‘개발의 논리에 모든 작은 희생은 감수해야 한다.’는 여론에 밀리게 되는 현실이 가속화 되고 있다.
다천사의 경우가 바로 이러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전북과학대학 건축, 토목계열의 ‘다천사 사찰 건축물 현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다천사 건축물에 나타난 손상상태를 종합해 볼 때 피해의 발생원인은 터널굴착의 발파공사에 따른 지반진동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사료된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건축물 전체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도 있어 정밀한 진단을 통하여 건축물의 안전성 여부를 규명하여 그에 따른 보강대책을 수립하고 발파에 따른 영향성 및 공법을 검토해 피해가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초치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라고 밝히고 있어 익산 지방 국토관리청의 안전대책이 시급한 실정이지만 이러한 요구가 지켜지지 않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