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염 기술강의를 하는 이유는 누군가 죽염을 만들어보면서 문제가 생길때 제글을 보고 참고하라는 의미로 쓰는것입니다.
해보지도 않은 사람은 당장은 이말이 뭔말인고 싶을것입니다.
대분분에게는 별필요가 없고 그런가보다 하지만 죽염을 해본사람들은 조금 이해가 갈것입니다.
다음은 죽염 용융로의 측면 구조에 대하여 말씀드리것습니다.
용융로는 우선 원형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원형이 아닌걸 만들어 본사람도 없을것이나 저는 일단 해보고 깨닫는 스타일이라 네모로 만들어 보았더니 이리저리 다 찌그러지데요.
원형으로 만들어야 형태가 그대로 있으니 보기도 좋고 편합니다.
측면에 불길 들어가는 구멍을 내야하는데 소형일때는 용융로 지름 약 80cm 에 불길 공급구멍은 구경 150mm로 하는게 적당합니다.
인산선생님의 말씀을 참고하여 구멍을 확 좁혀주는 기술자들도 있는데 제가 보기엔 인산선생님의 말씀은 원리에서만 참고할만하지 기술에서는 별로라고 봅니다.
개고생하기 딱알맞게 알려준건지 아니면 자기도 모르면서 한소리인지는 좀더 두고 보아야지요.
불길공급 구멍은 바닥에서 5~10cm높이에 맞추어주어야 합니다.
너무 낮으면 바닥이 금방 구멍나고 너무 높으면 열효율이 떨어집니다.
불길은 위에 얹힌 죽염을 녹이는데 사용하는 불과 녹아내려온 죽염이 계속 맹물처럼 녹아서 그릇에 담기고 그대로 맹물상태를 유지하게 하는데 사용하는 불이 있습니다.
이비율이 서로 안맞아서 위로 불길이 치중되면 녹는속도는 빠르나 맹물처럼 안되어 죽염의 질이 떨어지고 아래로 너무 치우치면 맹물처럼 되기는 하나 녹는 속도가 느려서 효율이 떨어집니다.
그냥 불만 좋으면 끝나는게 아니다 이말이지요.
이게 말은 쉬운데 조절하기가 어찌나 힘든지 저처럼 변형을 수시로 하는놈은 아주 애를 먹습니다.
용융로 본체의 높이도 아주 중요한데 높이 20~40cm 까지 다양하게 해보면 높이가 낮으면 압력은 좋은데 금방 용융로가 터집니다.
40cm 로하면 압력은 낮아지나 오래 버티지요.
용융로 본체의 부피가 압력하고 관련이 있습니다.
용융로 내부의 불길을 공급해주는데 그냥 정면에서 공급해주는 방법과 약간 정면에서 빗겨난 면으로 공급하여 불길을 돌려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서로 장단점이 있습니다.
정면에서 바로 공급해주면 맞은편 용융로 벽체가 빨리 빵꾸납니다.
불길을 돌려주면 그런일이 없지요.
그리고 불길공급관이 정면일때는 관의 각도가 변형이 생깁니다.
돌려주는 방식은 그런게 발생하지 않고 발생해도 별영향이 없습니다.
불길이 약간 상향이나 하향으로 바뀌면 열효율에 상당한 차이가 생깁니다.
상향이면 위로 올라가는 불길이 강해져서 빨리 떨어지나 죽염의 품질이 떨어지고 하향되면 아래판이 빵구나고 녹는 속도는 떨어집니다.
불길공급관이 수평을 그대로 유지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