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원리의 이해 |
|
|
|
|
|
|
|
① 사이드 심 용접(Side seam welding)이란 |
|
|
|
|
|
캔의 용접에는 스포트(spot) 용접, 심(Seam) 용접, 프로젝션(Projection) 용접이 있으며, 그 중에서 스리피스 |
|
캔의 사이드 심 용접(Side seam welding)방법에는 스위스의 솔드로닉사(Soudronic AG CO.)의 위마 |
|
(WIMA, Wire mash)방식과 미국의 컨티넨탈 캔사(Continental Can Co., C.C.C)의 코노웰드 |
|
|
(conoweld)방식 등이 있으나 위마(WIMA) 방식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
|
이 방식은 1959년 위아래의 회전 롤(Roll)을 용접전극으로 하고 이 롤의 표면에 홈을 만들어 이 홈 속에 중간전극이 |
되는 동선을 주행시켜 이동전극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용접한 주석이나 그 산화물 같은 불 |
순물은 중간전극인 동선에 부착되어 전극롤 자체는 오손되지 않고, 품질이 균일한 용접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
이 후 1975년에 용접부분의 폭을 아주 좁게 하는 위마방식으로 발전하여 스리피스 캔의 전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 |
였다. 용접이 처음에는 반자동이었으나, 그 후에 점차 개선되어 가장 발전된 기술인 레이져 용접의 경우에는 용접측 |
이 0.2mm에 이른다. 그러나 레이져 용접은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는 않고 있다. |
|
|
|
1980년에 개량된 방식인 슈퍼 위마(Super WIMA) 용접기술은 사이드 심의 강판의 겹침 용접폭이 0.4mm, |
|
전류 주파수는 150∼540Hz로 분당 55m의 용접이 가능하다. |
|
|
|
|
용접은 교류전류의 점 저항용접 방식으로 전압, 전류, 용접속도, 용접압력, 냉각, 동선, 용접부의 청결유무에 따라서 |
용접특성이 달라지며, 용접기는 반자동과 자동이 있다. |
|
|
|
|
용접기는 전자제어 회로 컨트롤 박스, 전극 롤, 동선, 에어(Air)장치, 냉각수 순화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
|
용접의 기준은 용접으로 생기는 덩어리인 너겟(Nugget)의 간격이 1.7mm 정도로 용접부위의 색깔은 흑청색으로 |
균일하며, 서포터(Spotter)에 의한 버(Burr)가 없고, 용접강도 테스트에서 합격하여야 한다. |
|
|
0.40mm
약 1.4t
t
주 석 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사이드 심 용접(Side seam welding)의 원리 |
|
|
|
|
|
위마(WIMA)방식의 사이드 심 용접(Side seam welding)은 저항 용접의 원리(그림1), 즉 강판에 전류를 |
|
흘릴 때 동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재료일 때는 전도저항이 작아서 잘 발열되지 않으나 철판은 전도성이 나빠서 |
전도저항이 크기 때문에 발열하기 쉽다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
|
|
|
|
Upper전극롤
주석도금강판
동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2와 같이 강판은 두 개의 회전하는 용접롤을 통과하는데 이 용접 롤은 전류Ⅰ의 전달, 용접압력 F의 전달, |
|
강판의 반송력 VS의 전달의 세 가지 역할을 한다. |
|
|
|
|
|
또 트렌스 포머(Trans former)에서 공급되는 교류의 저전압 고전류 Ⅰ는 도체 ①과 용접롤 ②, 용접롤 ②와 |
|
용접될 강판 ③, 용접될 강판 ③과 용접 롤 ④, 용접롤 ④와 도체 ⑤의 경로로 교호로 흘러 다시 Trans former |
|
로 되돌아 간다. 이 때 전도저항이 높은 용접될 강판 ③ 의 겹쳐진 부분이 전류 Ⅰ에 의하여 고온으로 가열되어 |
|
전류 파형의 + - 피크 Ip에 의하여 용접된다. 이렇게 용접된 겹쳐진 강판은 용접압력 F에 의하여 가압되어 융착, |
냉각되어 균일하게 용접된다. |
|
|
|
|
|
|
강판을 용접할 때 도금한 주석이나 그 산화물 등이 전극표면에 부착되어 오염되면 용접성능이 떨어지고 균일한 |
용접이 되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전극으로 동선을 사용한다. 동선은 용접롤과 용접될 강판 사이를 |
위 아래로 새로운 동선이 연속적으로 용접롤의 홈을 따라 공급되기 때문에 한 너겟(Nugget)마다 새로운 전극에 |
의하여 용접되는 결과가 되므로 아울러 구리로 만들어진 도체인 용접롤은 내부에 냉각수로 강제 순환으로 냉각시키 |
므로 저항에 의한 발열이나 용접되는 강판으로부터의 전도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일은 없다. |
|
|
|
|
|
|
|
|
|
|
|
+Ip
도체 ①
Upper 전극롤
-Ip
Lower 전극롤
③
도체 ⑤
Vs
Transformer
②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사이드 심 용접(Side seam welding)방법 |
|
|
|
|
|
스택커에 적재된 Body blank는 한 장씩 트렌스포트 롤(Transport roll)에 의하여 옮겨져 원통상태로 성형 |
|
된다. 원통으로 성형된 바디 브랑크는 컨베어 체인(Conveyor chain)과 푸쉬 인 핑거(Push in finger)에 |
|
의하여 웰딩 스테이션(Welding station)으로 옮겨져 용접되며, 용접부의 겹쳐지는 폭은 제트 바(Z-Bar) 및 |
|
캘리브레이팅 링(Calibrating ring)에 의하여 정확히 조정된다. |
|
|
|
|
용접된 바디는 테이크 웨이 벨트(Take way belt)로 이송되어 용접부 외면 보수도장공정, 용접부 내면 보수도 |
|
장공정을 거쳐 넥카(Necker)공정으로 넘어간다. |
|
|
|
|
|
용접된 바디가 웰딩 스테이션을 통과할 때 모든 너겟(Nugget)에 대하여 용접상태를 자동 점검하여 한 너겟이라 |
도 이상이 있을 때에는 Blow off 장비에 의하여 라인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
|
|
|
한편 중간전극으로 사용되는 동선은 보통 단면이 원형인데 와이어 프로파일링 롤(Wire profiling roll)에 의 |
|
하여 평평하게 되도록 성형하여 사용한다. |
|
|
|
|
|
이와 같이 동선을 평평하게 성형하는 것은 동선을 견고하게 하여 용접 중에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균일한 용접을 |
하기 위해서이며 동선이 공급 중에 처지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텐션(Tension)장치로 장력이 조정 |
|
되고 있으며(그림3), 사용된 동선은 잘게 절단되어 회수되거나 winder system(동선감김장치)에의해 원통형으로 감겨져 회수되어 재처리 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