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력트랜스는 1차와 2차의 인피던스가 표기되어있는데...혹시, 어쩌다 구한 출력트랜스의
인피던스 정보를 모를때, 측정장비가 있다면 정확하게 인피던스를 산출 해 낼수있지만,
대게의 자작인이 그 여러가지 측정장비를 다 갖추고 있지는 않는것이 현실이다.
장비가 없을경우, 테스타기 하나로 간단히 인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1,2차간의 인피던스는 1,2차간의 권선비로 알수있는바, 권선비의 공식은
1차인피던스 나누기 2차인피던스의 값을 루트 한 값이라는 공식을 숙지하기바란다.
예로, 5k : 8옴의 권선비를 보자. 5000 나누기 8은 625, 여기에 루트를 하면 25가 된다.
이건, 8옴의 턴수에 비하여 5k의 턴수가 25배로 감겨있다는 뜻이다. 8옴에 100턴의 권선수로
감겨있다면, 5k는 2500턴의 권선수로 감겨있다는 말이다.
같은 공식으로, 2.5k : 8옴은 16.67 : 1, 3k : 8옴은 19.36 : 1의 권선비를 가지며, 그외 가상의
1차인피던스와 8옴 간의 권선비를 계산해보면 그 권선비를 알수있다.
그런데, AC전압의 전압비는 곧 1차와 2차간의 권선비로 나타난다.
예로, 110V, 220V의 승압트랜스나 다운트랜스의 승압비는 1 : 2 또는 2 : 1 이다.
자~ 그러면,
1... 내용을 알수없는 출력트랜스를 먼저 테스타로 저항 측정위치에 놓고, 1,2차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그러면 1차측은 100단위의 저항값이 나오고, 2차측은 0.단위나 1 단위의
저항값이 나온다
출력트랜스의 1차 임피던스는 LCR 메타로 제기보다는 보통 권선비로 측정 추정합니다.
1차측(pp 또는 싱글이면 PB 간)에 한 100볼트 정도를 넣고 2차측 전압 측정하면 그 비가 바로 권선비가 되고. 권선비의 제곱이 임피던스 비입니다.
가령 100볼트를 넣어서 8옴탭에서 4볼트가 나왓다면 권선비는 25:1(5K:8옴)이고. 그것의 제곱 625:1이 임피던스 비입니다..
2차를 8옴이라 햇으니 8*625=5000 즉 1차 임피던스는 5k 라는 이야기
7K:8옴=>29.5:1=3.39V
5K:8옴 => 25:1=4V
3.5K:8옴=>20.9:1=4.78V
2.5k : 8옴=>6.67 : 1=5.65v
1K:8옴 =>11,18:1=8.94V
600옴:8옴 => 8,66:1= 11.54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