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변속기 점검 및 정비
1) 앞변속기[프론트 드레일러] 점검 및 정비
1. L, H 볼트를 이용한 조정
① 먼저 체인이 제일 작은 스프라켓에 걸리도록 한다.
② 앞 변속기에는 L이라 표기된 볼트와 H라 표기된 볼트 두 가지가 있다. L이라 표기된 볼트는 변속기를 작은 체인링으로 조정하며, H라 표기된 볼트는 변속기를 가장 큰 체인링으로 조정하는 볼트다.
③ 체인이 가장 작은 체인링에 내려오지 않으면 L볼트를 B방향(반시계) 으로 풀어준다.
체인이 너무 내려와 가장 작은 체인링에서 이탈되면 L볼트를 A방향으로 조여준다.
④ ③항을 반복하면서, 드레일러 바깥쪽판이 체인과 0~0.5mm 정도의 간격으로 맞춘다. 너무 붙이면 체인이 닿아서 소리가 나게 되고, 간격을 넓히게 되면 작은 체인링으로 변속이 잘 안된다.
⑤ 체인이 가장 큰 체인링에 올라가지 않으면 H볼트를 B 방향으로 풀어 준다. 체인이 가장 큰 체인링에서 이탈되면 H볼트를 A 방향으로 조여 준다.
⑥ ⑤항을 반복하면서 드레일러 바깥판이 체인과 0.5mm 정도의 간격이 되도록 잘 맞춘다
⑦ 이상 6항으로 저절이 충분하지만 참고로 중간 체인링을 맞추는 방법을 살펴보면, 텐션조절기를 사용하여 드레일러의 바깥쪽판과 체인의 간격이 0 ~0.5mm 로 하면 되는데, 조절기를 조이면 케이블이 늘어나서 작은 체인링쪽으로 변속이 잘되고 큰쪽으로 잘 안되고, 조절기를 풀게 되면 반대로 됨을 이해하여 큰쪽이나 작은쪽 모두 변속이 잘되는 적당한 점을 찾으면 된다.

2. 텐션 조절기의 사용
- 텐션조절기를 너무 조으면 LOW 나 HIGH 나 움직임이 적어지면서 LOW나 HIGH로 다 변속이 안된다. 너무 풀게 되면 LOW나 HIGH 쪽 모두 바깥쪽 체인링으로 벗어난다.
※ 텐셜 조절기를 조이면 케이블의 라인이 길어지고, 풀어주면 라인이 짧아지면서 텐션을 조정하게 된다.
2) 뒷 변속기[레어 드레일러] 조정방법
※ 드레일러 헹어가 휜경우는 아무리 세팅을 해도 안되니 행어부터 편 다음에 조정한다.
※ 행어가 휘었을 때의 증상 - 힘을 주고 주행하는데, 갑자기 티딕하는 소리와 함께 어느 한 스프라켓에 체인이 올라가지 않음.
1. L, H 볼트를 이용한 조정
① 뒷 변속기에도 L이라 표기된 볼트와 H라 표기된 볼트 두 가지가 있다.
② L이라 표기된 볼트는 변속기를 가장 큰 스프라켓으로 조정하며, H라 표기된 볼트는 변속기를 작은 스프라켓으로 조정하는 볼트이다.
③먼저 페달을 회전시키면서, 핸들 오른쪽에 있는 뒷 변속기 조정레바를 앞쪽으로 완전히 밀어서 체인이 가장 작은 기어로 내려 오는지 확인한다. 이때 변속기 와이어를 잡아보아 느슨하면 텐션 조절기를 왼쪽으로 풀어주시면 와이어가 타이트하게 조정된다.
④ 체인이 가장 작은 기어에 내려오지 않으면 H로 표기된 볼트를 제일 작은 스프라켓하고 폴리하고 일직선이 되는 지점에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 주면 된다.
⑤ 체인이 가장 작은 기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신 후, 페달을 회전시킨다.
⑥ 앞 체인링은 중간링뒤 스프라켓은 젤 큰 스프라켓쪽으로 변속을 하고 만약 체인이 가장 큰 스프라켓까지 올라가지 않으면, 변속기의 L로 표기된 볼트를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주면 된다.
⑦ 상기 조정방법으로 조정한 후 페달을 회전시키면서 오른쪽 변속기 조정레바를 밀거나 당기면서 변속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면 조정이 완료된다.
⑧ 미세한 조정이 필요하다.
2. 자체 스프링의 텐션을 조정하는 나사
- 제일 큰 스프라켓과 폴리와의 간격이 6미리 정도로 맞추면된다.
3. 텐션 조절기(뒷 드레일러)를 이용한 조절
① 크랭크를 빙빙 돌리면서 변속을 한다.
② 보통의 경우 제일 작은 스프라켓에서 바로 위로 잘 안 넘어간다.
③ 그럴 경우, 케이블 텐션 조정기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한바퀴나 반 바퀴씩 돌리면서 맞추어 보면서 체인이 잘 올라가는 체인이 잘 올라가는 지점을 찾는다.
④ 그 다음에는 각각의 스프라켓에서 미세조정을 한다. 조금 덜 올라가는 것 같으면 텐션 조정기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조금 덜 내려가는것 같으면 텐션 조정기를 시계방향으로 조정을 하다보면 가장 무난한 점을 찾을 수가 있다.
⑤ 잘 안될 경우에는 드레일러의 텐션조정기를 다 시게방향으로 조은 다음, 조금씩 풀어가면서 맞추도록한다.
4. 텐션 조절기(변속 레버)를 이용한 조절
① 주행 중에 조정할때 사용. 주행 중 변속이 위로 잘 안 올라갈 경우 시계반대방향으로 조이면 된다
② 참고로, 앞 드레일러 변속기에 달린 것도 마찬가지로 주행 중에 손을 볼 수 있다.
체인이 너무 내려와 가장 작은 체인링에서 이탈되면 L볼트를 A방향으로 조여준다.
④ ③항을 반복하면서, 드레일러 바깥쪽판이 체인과 0~0.5mm 정도의 간격으로 맞춘다. 너무 붙이면 체인이 닿아서 소리가 나게 되고, 간격을 넓히게 되면 작은 체인링으로 변속이 잘 안된다.
⑤ 체인이 가장 큰 체인링에 올라가지 않으면 H볼트를 B 방향으로 풀어 준다. 체인이 가장 큰 체인링에서 이탈되면 H볼트를 A 방향으로 조여 준다.
⑥ ⑤항을 반복하면서 드레일러 바깥판이 체인과 0.5mm 정도의 간격이 되도록 잘 맞춘다
⑦ 이상 6항으로 저절이 충분하지만 참고로 중간 체인링을 맞추는 방법을 살펴보면, 텐션조절기를 사용하여 드레일러의 바깥쪽판과 체인의 간격이 0 ~0.5mm 로 하면 되는데, 조절기를 조이면 케이블이 늘어나서 작은 체인링쪽으로 변속이 잘되고 큰쪽으로 잘 안되고, 조절기를 풀게 되면 반대로 됨을 이해하여 큰쪽이나 작은쪽 모두 변속이 잘되는 적당한 점을 찾으면 된다.
2. 텐션 조절기의 사용
- 텐션조절기를 너무 조으면 LOW 나 HIGH 나 움직임이 적어지면서 LOW나 HIGH로 다 변속이 안된다. 너무 풀게 되면 LOW나 HIGH 쪽 모두 바깥쪽 체인링으로 벗어난다.
※ 텐셜 조절기를 조이면 케이블의 라인이 길어지고, 풀어주면 라인이 짧아지면서 텐션을 조정하게 된다.
2) 뒷 변속기[레어 드레일러] 조정방법
※ 드레일러 헹어가 휜경우는 아무리 세팅을 해도 안되니 행어부터 편 다음에 조정한다.
※ 행어가 휘었을 때의 증상 - 힘을 주고 주행하는데, 갑자기 티딕하는 소리와 함께 어느 한 스프라켓에 체인이 올라가지 않음.
1. L, H 볼트를 이용한 조정
① 뒷 변속기에도 L이라 표기된 볼트와 H라 표기된 볼트 두 가지가 있다.
② L이라 표기된 볼트는 변속기를 가장 큰 스프라켓으로 조정하며, H라 표기된 볼트는 변속기를 작은 스프라켓으로 조정하는 볼트이다.
③ 먼저 페달을 회전시키면서, 핸들 오른쪽에 있는 뒷 변속기 조정레바를 앞쪽으로 완전히 밀어서 체인이 가장 작은 기어로 내려 오는지 확인한다. 이때 변속기 와이어를 잡아보아 느슨하면 텐션 조절기를 왼쪽으로 풀어주시면 와이어가 타이트하게 조정된다.
④ 체인이 가장 작은 기어에 내려오지 않으면 H로 표기된 볼트를 제일 작은 스프라켓하고 폴리하고 일직선이 되는 지점에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 주면 된다.
⑤ 체인이 가장 작은 기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신 후, 페달을 회전시킨다.
⑥ 앞 체인링은 중간링뒤 스프라켓은 젤 큰 스프라켓쪽으로 변속을 하고 만약 체인이 가장 큰 스프라켓까지 올라가지 않으면, 변속기의 L로 표기된 볼트를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주면 된다.
⑦ 상기 조정방법으로 조정한 후 페달을 회전시키면서 오른쪽 변속기 조정레바를 밀거나 당기면서 변속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면 조정이 완료된다.
⑧ 미세한 조정이 필요하다.
2. 자체 스프링의 텐션을 조정하는 나사
- 제일 큰 스프라켓과 폴리와의 간격이 6미리 정도로 맞추면된다.
3. 텐션 조절기(뒷 드레일러)를 이용한 조절
① 크랭크를 빙빙 돌리면서 변속을 한다.
② 보통의 경우 제일 작은 스프라켓에서 바로 위로 잘 안 넘어간다.
③ 그럴 경우, 케이블 텐션 조정기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한바퀴나 반 바퀴씩 돌리면서 맞추어 보면서 체인이 잘 올라가는 체인이 잘 올라가는 지점을 찾는다.
④ 그 다음에는 각각의 스프라켓에서 미세조정을 한다. 조금 덜 올라가는 것 같으면 텐션 조정기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조금 덜 내려가는것 같으면 텐션 조정기를 시계방향으로 조정을 하다보면 가장 무난한 점을 찾을 수가 있다.
⑤ 잘 안될 경우에는 드레일러의 텐션조정기를 다 시게방향으로 조은 다음, 조금씩 풀어가면서 맞추도록한다.
4. 텐션 조절기(변속 레버)를 이용한 조절
① 주행 중에 조정할때 사용. 주행 중 변속이 위로 잘 안 올라갈 경우 시계반대방향으로 조이면 된다
② 참고로, 앞 드레일러 변속기에 달린 것도 마찬가지로 주행 중에 손을 볼 수 있다.
첫댓글 숙지합니다.
좋은 정보입니다^^
전 돌아서면 이쟈 먹으버려서리~~~~
요건 숙지 하는거보다는
잘안될때 올리신분한테 해달라는게 좋은 방법일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