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메(밥) |
제삿밥으로 신위의 수대로 식기에 수북히 담고 뚜껑을 덮는다. 추석절에는 송편으로, 설날에는 떡국으로 대신한다. |
|
|
|
갱(국) |
신위의 수대로 대접이나 주반에 담으며 쇠고기와 무우를 네모로 납작하게 썰어서 함께 끓인다. |
|
|
|
편(떡) |
제사에 쓰는 떡은 현란한 색깔을 피하므로 팥고물도 껍질을 벗겨 가급적 흰색을 띄는 백편으로 한다. |
|
|
|
탕(찌게) |
양념에 파, 마늘, 고추 등을 쓰지 않고 1.3.5 등 홀수로 준비하며, 그릇에 담을 때 건데기만 추려담아 뚜껑을 덮는다. 육탕(쇠고기), 소탕(두부), 어탕(생선), 계탕(닭고기), 북어탕 등. |
|
|
|
전(부침) |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것으로 짝수로 준비한다. 동태전, 육전(쇠고기 다진 것), 배추전, 김치전, 녹두전 등 |
|
|
|
적(구이) |
엿날에는 육적, 어적, 계적의 3적을 세번의 술잔을 올릴 때마다 바꾸어 올렸으나 현대에는 한번에 준비하여 올리며 홀수로 준비한다. 육적, 어적(조기구이), 소적(두부), 계적 등 |
|
|
|
채(나물) |
숙채- 익힌 채소로 한접시에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나물 등 삼색 나물을 곁들여 담거나 한 접시씩 따로하여 뚜껑을 덮는다. 침채- 희게 담은 동치미, 백김치, 나박김치 등을 쓰며 고추가루는 쓰지 않는다. |
|
|
|
포 |
건포를 쪄서 익혀 사용하며 북어포, 대구포, 문어포, 상어포, 육포 등이 있다.
|
|
|
|
유과류 |
약과, 산자(흰색) 강정 등 |
|
|
|
과일 |
대추, 밤, 감 (홍시 또는 곶감), 배의 4종류에 계절에 따라 수박, 참외, 사과 등을 준비한다. |
|
|
제사음식에 쓰이는 삼실과의 의미 |
감: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이다. 그러나 감만은 그렇지 않다. 감 씨앗은 심은 데서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3~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 가지를 잘라 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
이 감나무가 상징하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는 생가지를 칼로 째서 접붙일 때처럼 아픔이 따른다. 그 아품을 격으며 선인의 예지를 이어 받을 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
밤: 다른 식물의 경우 나무를 길러낸 첫 씨앗은 땅속에서 썩어 없어져 버리지만, 밤은 땅 속의 씨밤이 생밤인 채로 뿌리에 달려 있다가 나무가 자라서 씨앗을 맺어야만 씨밤이 썩는다. 그래서 밤은 자기와 조상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한다. 자손이 수십 수백 대를 내려가도 조상은 언제나 자기와 연결되어 함께 이어간다는 뜻이다. 신주를 밤나무로 깍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
|
대추: 대추의 특징은 한 나무에 열매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열리며 꽃 하나가 피면 반드시 열매 하나가 열리고 나서 꽃이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 없다. 즉,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서 죽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제상에 대추가 첫 번째 자리에 놓인다.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뜻에서이다. |
| |
제사음식에서 피하는 몇 가지 음식: 과일로는 복숭아, 생선으로는 치로 끝나는 생선(예 : 멸치, 갈치, 삼치 등)은 피하고, 나물에는 마늘, 파, 고춧가루 등의 양념은 하지 않는다. (생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기타 양념은 무방함) | |
|
|
|
|
|
설날과 추석날 아침에 지내는 차례는 가문마다 집집마다 예절이 조금씩 다르다. 여기 소개된 차례상 차리기는 우리나라 향교에서 권장하는 가장 표준에 가까운 전통적인 제례를 소개 한것이니 가풍의 예절을 지켜 지내고 잘못된 것이 있으면 참조한다.
차례장소는 대청마루나 거실이 적당할 것이다. 복장은 한복차림이 좋으며 특히 설 차례는 색동저고리등 화려한 옷차림도 무관하나 한복을 입고 차례를 지낼 때는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예의이다.
차례의 특징은 기제사와 달리 축문이 없으며, 술은 한번만 올리는 단잔으로 하며 술대신 차를 올려도 된다고 한다. 그리고 메(밥)대신 설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올린다. 제물은 가정형편에 맞게 준비하고 정성을 담아 장만하는 것이 좋다.
차례음식 조리할 때
조리하기전 몸 가짐을 단정히 하여 정갈하게 조리를 한다. 차례에 쓰지 않는 음식; 복숭아, 꽁치, 삼치, 칼치, 고추, 마늘 등 식혜, 탕, 면 등은 건데기만 사용한다. 설 차례는 메 대신 떡국을, 추석차례는 메 대신 송편을 올린다.
차례 지내는 순서
진설(進設); 북쪽에 병풍을 치고 병풍앞에 신위를 모실 교의를 마련한 다음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린다. 진설이 다되면 사진 혹은 미리 써둔 지방을 교의의 신위함에 붙인다.
과일을 놓는 줄 (그림의 1번 줄); 조율이시라하여 좌측부터 대추, 밤, 배(사과), 감(곶감)의 순서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나무 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유과)류를 놓는다.
반찬을 놓는 줄(그림의 2번 줄); 좌포우혜라하여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쓰며 우측 끝에는 수정과를 쓴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고, 고사리, 도라지나물등을 쓰기도 하며 청장(간장) 침채(동치미, 설명절)는 그다음에 올린다.
탕을 놓는 줄(그림의 3번 줄);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 탕), 소탕(두부 채소류 탕), 어탕(어패류 탕)의 순으로 올리며, 5탕으로 할 때는 봉탕(닭 오리탕), 잡탕등을 더 올린다. 최근들어 한가지 탕으로 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적과 전을 놓는 줄(그림의 4번 줄); 대개는 3적으로 육적(육류 적), 어적(어패류 적), 소적(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로 올린다. * 적 :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 * 전 : 재료에 밀가루를 뭍혀서 번철에 지진 음식(부침개).
술잔과 떡국(설), 송편(추석)을 놓는 줄(그림의 5번 줄); 앞에서 보아 떡국(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 그림은 양위를 모시는 모습. 시접(수저와 대접)은 단위제의 경우에 앞에서 보아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에는 중간 부분에 올린다.
향로 향합등; 향상에는 축문, 향로, 향합을 올려 놓으며 그 밑에 모사그릇, 퇴주그릇, 제주(술)등을 놓는다.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
좌포우혜;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놓는다.
어동육서; 동쪽(앞에서 보아 우측)에는 어류, 서쪽에는 육류를 놓는다.
동두서미; 생선의 머리가 동쪽으로 꼬리가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은 서쪽으로 놓는다.
조율이시; 좌측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올린다. 또는 조율시이의 순서로 하기도 한다.
분향강신(焚香降神); 제주는 꿇어 앉아 향을 살라 향로에 꽂고 재배한다. 왼쪽집사가 제주에게 강신잔을 주면 오른쪽 집사가 술을 따른다. 제주는 모사 그릇에 세번에 나누어 모두 따른다. 왼쪽집사가 강신잔을 받아 오른쪽 집사에게 건네주어 제자리에 놓게한다. 제주는 재배한다.
참신(參神); 제주와 참석자 모두 재배한다. 요즘은 여자도 재배를 하나 원래는 4배였다.
진찬(進饌); 주부가 설 차례에는 떡국을, 추석 차례에는 송편(혹은 메)을 제상에 올린다.
헌다(獻茶); 왼쪽집사로부터 잔을, 오른쪽 집사로 부터 술(또는 茶)을 받아, 먼조상 남자조상 순으로 올린다. 기제사와 달리 한번만 올린다.
개반(開飯); 주부나 집사가 떡국그릇의 뚜껑을 열고 적을 올린다. 순서는 좌측부터 조부 조모순이다. 가정의례준칙에서는 제례는 부모와 조부모등 2대 봉사만 하도록 권장하고있다.
삽시(揷匙); 주부나 집사가 시접에 담겨있는 숟가락을 떡국에 꽂고 젓가락은 시접위에 가지런
히 걸쳐 놓는다. 젓가락의 손잡이는 서쪽(왼쪽)을 보게 놓는다. 흔히 젓가락을 세번 굴리고
여기 저기 제물위에 올려 놓기도 하지만 시접위에 가지런히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주는 재배한다.
사신(辭神); 모든 참석자는 조상이 진지를 드는 동안(수분동안) 조용히 서서 생전의 조상을
생각한다. 주부가 약한 기침을 하고 숟가락을 거두어 시접에 담그고 젓가락은 시접아래 내려놓
고 모두가 재배한다. 신위는 제자리에 모시고 지방인 경우에는 향로위에서 사른다.
음복(飮福); 제물을 제상에서 거두고 옷을 입은 그대로 조상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나누어 먹는것으로 차례는 끝난다.
|
|
|
제사의 중 기제(忌祭)란 고인이 돌아가신 날(忌日)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오늘날 보통 제사라고 불리는 것이 기제다. 기제의 봉사(奉祀)대상은 과거에는 [주자가례]에 따라 4대조까지였으나 요즘에는 가정의례준칙에 의거, 2대조까지와 후손이 없는 3촌 이내의 존. 비속에 한해서만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제사시간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정부터 새벽1시 사이 모두가 잠든 조용한 시간에 지냈었다.
그러나 요즘은 시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그 날 해가 진 뒤 어두워지면 적당한 시간에 지낸다. [주자가례]나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에는 기일을 맞은 당사자 한 분
만을 모신다고 되어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두분(兩位)을 함께 모셔왔으므로 이
관습을 무시할 수 없다. 가정의례준칙에서도 부모가 모두 별세하였을 경우 합설(合設)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차례(茶禮)란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에 간단히 지내는 제사.
차례: 원래 '다례'라고 하였다. 요즈음에는 정월 초하룻날과 추석에만 행하는 것이 관례로 되
었다.
연시제(年始祭) : 정월 초하룻날(설날) 아침에 드리는 제사로서 봉사대상은 원래 4대조 까지 하였으나 요즘은 2대조까지만 하기도 한다. 차례 드리는 방법은 봉사 대상이 되는 여러 분을 한꺼번에 모신다. 지방은 합사(合祀)하는 경우 한 종이에 나란히 쓴다. 메(밥)는 떡국으로 대신
한다.
추석제 : 음력 8월 보름(추석)에 지내는 제사이다. 차례를 지내는 봉사 대상은 모두 직계
조상으로 하며, 제수는 새로 익은 햇곡식과 햇과일로 한다.
사시제 : [사제편람]에는 시제야말로 제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되어 있지만,
요즈음에는 이 시제를 거의 지내지 않는다.
묘제(墓祭)란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 묘사를 비롯하여 시향(時享), 절사(節祀)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
묘사(墓祀) : 고조까지의 조상을 제사 지내는 것으로 절차는 가제와 같으나 다만 초헌에
숙수(熟水) 만을 진설하고 유식(侑食)이없다.
시향(時享) : 통상 요즈음 묘사라고 많이 알고있는 것으로 매년 음력 10월에 5대조이상의
친진묘(親盡墓)에 지내는 제사. 시사(時祀) 또는 시제(時祭)라고도 한다.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이나 부녀자들은 참례하지 않으며 이름 높은 선조의 시향에는 많은 후손이 모여
성대하게 제사를 지낸다.
절사(節祀) : 고례에는 없으나 서울을 중심으로한 여러 지역에서 한식 혹은 청명과 추석에
산소에 가서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 5대조 이상의 묘에는 지내지 않으며 먼저 산신제를
지내야 한다.
한식(寒食)성묘: 한식은 청명(淸明) 다음날로 동짓날로부터 계산해서 105일째 되는 날이다.
이 날은 예로부터 조상께 제사를 지내고 성묘를 가는 것이 관습이었다. 한식이란 말은 옛날
중국에서 비와 바람이 심해서 불을 때지않고 찬밥을 먹었다는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제란 고대에는 매년 계추(음력9월)에 아버지 사당에서 지냈으나 근래에는 일부지방에서 부모님 생신에 큰아들의 집에서 위패를 정청에 모시고 지내는 곳이 있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