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 심장부 부산지역 전법 주도
상월원각대조사 유훈 받들어 1만명 수용 전각 건립 대충대종사, 자비ㆍ지혜ㆍ광명 뜻 담아 사찰명 지어 신도 40만명 신행 생활하는 국내 최대 사찰 자랑
“부산에 천태일승묘법의 사상이 불길처럼 일어날 것이니, 1만 명 이상의 불자가 동시에 법회를 볼 수 있는 대규모 불교회관을 크게 건립해야 한다.”
감사원장 춘광 스님에 따르면 천태종 중창조 상월원각대조사는 1969년 10월 15일 부산 동구 좌천동 김정숙 씨 집에서 신도 150여명이 모인 가운데 봉행한 부산지부 신도회 창립법회에서 부산에 신도 1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도량 5곳을 건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한다. 이 유훈이 삼광사 건립의 출발점이 됐다.
삼광사의 역사는 신도회 창립연도를 기준으로 삼는다. 현 광명사에 부산지부 임시 종무실을 개설해 종단에서 파견한 스님들이 법회를 진행하면서 사찰건립을 계획했다. 1982년 정산 스님(전 총무원장)이 광명사 초대 주지로 부임하면서 초읍동에 3만 5,000여 평을 매입한 후 삼광사 불사의 터를 닦았다.
이후 1983년 6월 13일 2대 종정 대충대종사와 신도 3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토식과 대웅보전 기공식을 봉행, 본격적인 불사가 시작됐다.
정면 7칸, 측면 4칸의 대웅보전(100평 규모)은 1983년 6월 기공식, 1985년 5월 상량식에 이어 1986년 10월 낙성됐고, 삼존불이 봉안돼 천태불자들의 수행처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낙성식에 앞서 대충대종사는 사찰명을 ‘삼광사(三光寺)’로 명명했다.
1986년 취임한 1대 주지 기성 스님에 이어 춘광 스님이 주지 소임(1988년 9월~ 1997년 6월)을 맡으며 대대적인 불사를 진행했다. 1987년 요사채와 문화실, 종무행정과 신도회 사무실로 사용하는 1,700여 평의 문화당(현 법화삼매당)을 완공하고 낙성식을 봉행했다.
1989년 범종각 불사를 시작, 1991년 지관전(3,000여 평)과 함께 낙성했다. 또 1997년에는 세계인류평화와 남북평화통일을 발원하며 건립한 53존불 8면 9층 대보탑(33m)을 낙성했다.
53존불 대탑 건립 전 춘광 스님은 국내 전역을 다니며 자료를 수집했다. 국내 전문가들에게도 자문을 구하고 학술대회를 열기도 했다. 신도들도 스님과 함께 24시간 기도정진을 하며 탑 건립을 기원했다. 스님과 신도들의 염원이 한데 모아져 문화재급의 33m높이 팔면구층 53존불 대보탑이 완성됐다.
대보탑 기단부에는 미얀마, 티베트, 스리랑카에서 이운해 온 부처님 진신사리 11과를 비롯해 경전과 불자들이 시주한 다양한 공양물들이 봉안됐다.
춘광 스님은 “탑에 많은 양의 복장물을 넣었는데, 이는 후손들이 20세기의 불교문화를 알아볼 수 있는 일종의 타임캡슐”이라고 설명했다. 이 탑에는 지관선정(止觀禪定)을 닦는 정진의 마음과 우리민족의 역사적 정신, 그리고 신라 황룡사 구층목탑과 고구려 평양의 구층탑이 보여준 호국의 강한 의지와 민족통일에 대한 간절한 염원이 담겨 있다.
이후 2000년 지장전 낙성식, 2007년 지관전 ‘관음존상 및 만오십삼존불’ 개금불사 점안식, 선망부모와 조상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극락전 상량식, 2008년 53존불 8면 9층 대보탑 법화경 석경불사를 회향, 부산을 넘어 한국을 대표하는 대가람으로 변모했다.
삼광사는 1969년 부산진지회ㆍ동래지회ㆍ해운대지회 등 12개 지회, 1995년 연제ㆍ수영ㆍ사상지회를 설립해 지회 조직을 완성했다. 그리고 1974년 청년회와 원회, 1979년 부일회, 1985년 차문화연구보존회, 1990년 화엄합창단(1988년 결성법회), 1991년 봉사회, 1993년 교사불자회, 1995년 전통요리연구보존회, 1997년 관음회, 1999년 처사회, 2000년 지장회 등을 설립했다.
원회는 꽃 공양과 봉사활동, 부일회는 자원봉사, 차문화연구보존회는 육법공양, 화엄합창단은 음성공양, 봉사회는 삼광사 행사 및 복지시설 자원봉사, 지장회는 자원봉사, 전통요리연구보존회는 전통요리 연구 및 계승을 통해 사찰행사에 큰 도움을 주고, 포교에 앞장서고 있다.
덕수 스님, 도원 스님, 영제 스님 등 종단의 대덕 스님들이 주지를 맡아 삼광사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2009년 화산 스님이 9대 주지로 취임한 후 부산시민과 함께하는 가을 산사음악회를 시작, 대중들과 호흡하는 사찰로 변모하고 있다. 창건 이래 불교도시 부산을 대표하는 사찰에서 한국불교의 대표적 관음기도 도량으로 우뚝 선 삼광사. 2009년 신도회 창립 40주년 계기로 ‘시민과 함께하는 사찰, 세계인의 도량’을 기치로 내걸고 100년 대계를 설계, 재도약을 꿈꾸고 있다. 올 초 CNN이 선정한 ‘한국에서 가봐야 할 곳 50곳’에 선정되는 등 세계적인 사찰의 반열에 올랐다.
삼광사의 사찰 이름에는 부처님이 중생들에게 비추는 세 가지 빛인 자비(慈悲)ㆍ지혜(智慧)ㆍ백호(白毫)가 도량에 가득 차서 무명을 밝히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 있다.
‘자비광’에는 모든 만물에게 자비를 베풀어 고통을 없애고 즐거움을 주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지혜광’에는 일체중생의 무명을 능히 깨뜨리는 부처님의 지혜로 모든 이들이 깨달음을 얻기 바라는 마음이, ‘백호광’에는 오욕과 미움이 사라진 부처님의 맑은 기운의 빛이 시방세계에 비춰 뭇 중생들이 안락하길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
사찰명처럼 역사를 거듭할수록 삼광사는 부처님의 진리를 온누리에 전하는 동시에 현대인들의 심신을 정화해 진리의 세계로 나아가게 하는 세계 불교의 중심 도량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
 |
|
▲ 1991년 3월 28일 봉행된 지관전 낙성법회에는 대충대종사를 비롯한 종단 스님들과 전국 각지에서 모인 수만명의 대중들이 참석했다. |
|
 |
|
▲ 1983년 개토식과 법당 기공식을 봉행, 불사를 본격 시작했다. 사진은 삼광사 신도들이 대웅보전 기와를 올리고 있는 장면. |
|
 |
|
▲ 삼광사는 동짓날 대중들에게 팥죽공양을 한다. 지금은 없지만 몇 년 전만해도 팥죽을 끓이는 대형 가마솥이 있었다. |
|
 |
|
▲ 53존불 대보탑에 각종 공양물을 봉안하고 있는 당시 삼광사 주지 춘광 스님. |
역대 주지 스님 1대(1986년 10월 10일 임명) 기성 스님 2대(1988년 09월 12일 임명) 춘광 스님 3대(1989년 01월 17일 임명) 춘광 스님 4대(1993년 01월 20일 임명) 춘광 스님 5대(1997년 06월 01일 임명) 덕수 스님 6대(2001년 02월 01일 임명) 도원 스님 7대(2005년 02월 01일 임명) 도원 스님 8대(2006년 04월 01일 임명) 영제 스님 9대(2009년 02월 01일 임명) 화산 스님
역대 신도회장 1대(1988년 03월 10일 임명) 김동필 2대(1988년 12월 16일 임명) 김찬권 3대(1992년 01월 14일 임명) 김찬권 4대(1995년 01월 06일 임명) 김찬권 5대(1998년 01월 01일 임명) 안영일 6대(2001년 01월 01일 임명) 안영일 7대(2005년 07월 01일 임명) 김형태 8대(2007년 01월 01일 임명) 김석조 9대(2010년 01월 01일 임명) 김석조
삼광사 略史 1969년 10월 15일 부산 동구 좌천동 김정숙 씨 집에서 부산 신도회 창립법회. 1971년 10월 27일 상월원각대조사님 초량동 소재 교육회관 법회서 부산에 1만명 수용할 수 있는 불교회관과 대가람 건립 부촉. 1982년 12월 31일 부산 진구 초읍동 산131번지 사찰임야 34,950평을 매입, 이전 등기. 1983년 6월 13일 초읍동 산131번지 사찰 건립 개토식 및 법당 기공식 1985년 4월 8일 지관전 기공식 1985년 5월 10일 법당 상량식 1985년 9월 11일 문화당(현 법화삼매당) 기공식 1986년 8월 25일 새부산예식장서 대웅보전 삼존불 조성권선대법회 1986년 10월 16일 천태종 부산지부를 삼광사로 이전 1986년 10월 26일 법당 낙성식 및 삼존불 봉안식 1987년 7월 15일 법당 및 요사채 준공 허가 받음 1987년 7월 28일 지관전 상량식 1987년 10월 26일 문화당 낙성식 1988년 5월 15일 삼광 한글학술상 운영위원회 설립 및 제1회 삼광 한글학술상 시상식 1989년 8월 5일 종각 기공식 및 대범종 설치 1991년 3월 8일 지관전 관세음보살 존상 이운식 1991년 3월 14일 지관전 만불단에 1만 부처님 이운식 1991년 3월 28일 지관전 낙성식 및 국태민안기원 대범종각 타종식 1991년 12월 14일 대충 대종사, 문화당을 법화삼매당으로 개명 1992년 4월 3일 제1회 삼광한글학교 입학식 1992년 11월 17일 평화통일기원 불탑 기공식 1993년 4월 3일 부산철도참사 희생자 위령천도재 1994년 9월 1일 세존사리봉안 호국호법기원 53존불탑 원만조성 기원법회 1995년 1월 25일 상월원각대조사 진영 및 관세음보살 인등 봉안식 1995년 9월 10일 부처님 전신사리 4과 이운(본산→삼광사) 1995년 11월 20일 9층 53불 대보탑 부처님 진신사리봉안 대법회 1997년 4월 19일 53존불 8면 9층 대보탑 낙성 법요식 1998년 4월 20일 부설 광명유치원 증축 봉불 및 낙성식 2000년 10월 18일 지장전 낙성식 2002년 10월 5일 미얀마 전통불상 53佛 기증 기념법회 2003년 4월 10일 극락전 기공식 2004년 2월 29일 53존불 대보탑 공덕비 제막식 2007년 4월 15일 지관전 개금불사 회향법회 2007년 6월 15일 극락전 상량 대법회 2007년 12월 27일 화엄합창단 창단 20주년 기념 합창제 2008년 11월 12일 법화경 석경불사 회향대법회 2009년 10월 31일 제1회 산사음악회 2009년 11월 1일 삼광사신도회 창립40주년 기념대법회 2009년 12월 1일 지관전 관음존상 개금불사 점안식 2011년 3월 2일 제20회 삼광한글학교 입학식 2012년 4월 3일 삼광한글학교 20주년 창립법회 및 학예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