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TV를 VOD(Video on Demand)로 보는 시청자가 늘었다.하지만 여전히 프로그램의 인기를 따지는 척도는 시청률.그렇다면 과연 시청률과 인터넷 다시보기의 접속률은 일치하는 걸까.
대답은 노(NO)! 큰 흐름은 비슷하지만 개별 프로그램으로 들어가면 종종 순위가 뒤바뀐다.TNS 미디어 코리아에 따르면,지난 한주간 KBS 드라마의 시청률 순위는 ‘저 푸른 초원위에’‘노란 손수건’‘아내’‘무인시대’순.하지만 인터넷의 VOD 접속건수는 ‘노란…’‘무인시대’‘아내’‘저 푸른…’ 순으로 나타났다.‘노란…’이 TV에서는 ‘인어 아가씨’와 같은 시간대에 붙으면서 시청률이 기대치만큼 올라가지 못하는 반면,시간의 구속이 없는 네티즌들은 ‘노란…’을 가장 많이 시청한 것.
프로그램의 시간대와 함께 VOD 시청층이 주로 젊은층인 것도 순위가 뒤바뀌는 데 한몫하고 있다.MBC의 경우 시청률은 ‘인어아가씨’‘타임머신’‘신비한 TV 서프라이즈’순이지만,VOD 접속건수는 ‘강호동의 천생연분’‘뉴 논스톱’‘러브레터’‘위풍당당 그녀’순이다.‘인어아가씨’는 6위에 그쳤다.SBS의 VOD 접속 순위는 ‘올인’‘야인시대’에 이어 시청률 3위인 ‘흐르는 강물처럼’대신 ‘천년지애’가 올랐다.
시청률과 VOD 접속률이 꼭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일선 제작진들도 핑곗거리가 생겼다.SBS 드라마 제작본부의 이용석 PD는 “시청률이 좀 나빠도 VOD접속률이 높으면 ‘방송 시간대가 안 맞아서’라는 이유를 댈 수 있어 숨통이 트이는 것 같다.”고 털어놓았다.
하루 평균 VOD 이용횟수는 방송사별로 적게는 7만여건에서 많게는 100만건.인터넷으로 TV를 보는 시청자가 부쩍 늘다보니 시청률 수치도 예전 같지 않다.‘첫사랑’(65.8%),‘사랑이 뭐길래’(62.7%),‘모래시계’(64.5%) 등 몇 년 전만 해도 인기 드라마의 경우 시청률 50%를 훌쩍 넘기곤 했지만,최근에는 40%도 힘들다.‘대박’드라마인 ‘올인’‘인어아가씨’의 지난주 시청률도 39.8%·35.6%에 그쳤다.
시청률만으로 프로그램의 인기를 재는 시대는 지났다는 뜻이다.하지만 각 방송사는 유료화 문제 등 서로 사정이 다르다는 이유로 프로그램별 VOD 접속건수를 공개적으로 밝히기를 꺼린다.이를 계기로 프로그램을 시청률이나 VOD 접속률과 같은 수치로만 평가하는 관행을 깨보는 것은 어떨까.
2)신문비평
‘새 취재시스템’독소조항 폐기해야
한겨레신문 사설/2003/3/28
새 정부와 언론 사이에 취재방법을 놓고 불거진 갈등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국정홍보처장이 부·처·청 공보관회의를 열어 ‘개방형 기자실’ 운영과 브리핑 제도 도입을 확정하자 한나라당과 일부 언론은 강도높게 ‘언론탄압’이라며 반발했다. 정부는 정부대로 ‘언론탄압론’은 탄압론대로 평행선을 달리고 있기에 시시비비를 명확히 가릴 필요가 있다.
거듭 강조하지만 출입기자실을 없애고 브링핑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은 기본적으로 옳다. 정보공개법 개정을 서두르고 장·차관 브리핑의 주 1회 이상 의무화도 바람직하다. 문제는 ‘근무시간 외에 취재에 응한 공직자는 중요한 사항일 경우 보고서 제출을 자율에 맡긴다’거나 인터뷰할 공직자에 대해 공보관을 통해 사전 면담신청을 하라는 대목에 있다. 이는 명백한 취재 제한이다. 정부는 ‘중요한 사항’과 ‘자율’이라는 단서를 달았다고 해명하지만 그 ‘단서’는 사실상 ‘장식’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그 두가지 ‘독소’조항은 출입기자실을 없애는 방안 자체를 언론 탄압으로 비난하는 세력들에게 빌미를 주고 있다. 가령 일부 언론은 사무실 방문취재의 원칙적 제한을 근거로 “계엄 때도 없었던 방침”이라고 반발하고 ‘오보·왜곡에 적극 대처’ 방안도 ‘언론통제’라고 강변했다. 하지만 언론이 정부 부처 사무실을 수시로 출입함으로써 의도했든 아니든 공직자들의 공무를 저해하는 일은 다른 나라의 사례도 그렇거니와 어느정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오보·왜곡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정부 방침이 곧 언론통제라는 등식은 더욱 성립되기 어렵다. 일부 언론이 국가적 사안에 대해 사실 확인조차 없이 보도해 온 사례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모든 언론에 균등한 기회를 주는 개방형 기자실 제도와 브리핑제는 ‘권언유착’의 고리를 끊는다는 점에서 정착돼야 한다. 그 ‘정착’을 위해서라도 인터뷰 사전 면담 신청이나 접촉 보고서 제출 방침은 즉각 폐기하는 게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