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급볼러들이 실전에 돌입했을 때 가장 염려되는 것이 레인 컨디션에 따른 점수의 심한 기복상태이다. 그러나 이럴 때마다 항상 슬럼프에 대비하는 자세를 가져야한다. 정상급볼러가 되기위한 슬럼프극복의 체크포인트를 점검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법을 꼭 알아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1. 다운스윙(Down Swing)과 제2보
푸쉬어웨이가 끝나는 순간 볼을 든 팔의 힘을 완전히 빼 버리면 볼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볼이 아래로 떨어지게 되며 팔은 자연스럽게 볼에 끌려서 내려온다. 이 상태가 다운 승윙이다. 이때 오른발이 지주가 되게하고 왼발을 앞으로 내밀어 제2보를 시작한다. 이때 명심해야 돨 점은 볼을 팔의 힘으로 끌어내리는 것이 아니라 볼의 무게에 의해서 볼을 든 팡이 아래로 내겨 오게 되어 다운 스윙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볼링의 운동방향은 전방 직선방향이므로 제2보(왼발)로 똑바로 내딩어야 한다.
만약 좌측이나 우측으로 쏠리게 되면 몸의 방향이 바뀌어어지고 이어서 거기에 상응된 자세가 뒤따르게 되어 처음에 목표한 곳으로 볼을 보낼 수가 없게 된다. 이때 볼을 든 팔은 몸통에서 옆으로 벌어지지 않아야 하며 손목도 곧은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다운 스윙의 시작이 바로 모든 스윙의 진짜운동의 시발점이 되므로 가상 목표선위로 볼이 제대로 굴러가게하며면 이 단게가 잘 되어야 한다. 볼에서 떨어져 나온 왼팔을 균형유지를 위하여 좌후방으로 자연스럽게 벌려지게 된다.
【다운 스윙 때 주의할 점】
①왼발을 똑바로 앞으로 내딛는다.
②겨드랑이를 밀착시켜 오른팔이 벌어지지 않게 한다.
③시선은 목표에서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④이 순간부터 일어나는 모든 스윙동작은 볼의 무게에 의해서 이뤄진다는 것을 명심하고 힘을 완전히 빼 버리고 볼이 움직이는 대로 움직여 줘야 한다.
⑤볼의 무게에 의해서 오른쪽 어깨가 당겨져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깨선을 준비자세때와 똑같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어깨가 진자운동의 축이므로 축이 흔들려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⑥모든 스윙의 동작중에는 스텝에 의해서 몸이 앞으로 옮겨졌을 뿐 준비자세와 같다.
2.릴리스(Release)
포워드 스윙에 이어 볼이 손에서 떨어져나가는 순간의 동작을 릴리스라 하는데 이제까지 행한 모든 동작은 이 릴리스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릴리스에 의해서 볼이 굴러가는 방향은 물론 볼의 회전방향, 볼의 궤도가 결정된다. 즉 지국, 훅볼, 커브 볼, 백업 볼 등의 구질이 이 릴리스의 방법에 의해서 좌우된는 것이다.
릴리스를 결정하는 요소로는 타임, 위치, 높이, 방향 및 릴리스 방법등을 생각할 수 있다.
⑴타임
마지막 스텝의 슬라이딩이 끝나는 순간에 손에서 볼이 떨어져 나가기 시작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스텝보다 스윙이 늦어져서 릴리스 타임이 늦어지는 수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볼의 위력과 회전력이 감소되고 유연성을 잃게 되어 에러가 많아진다.
⑵위치
어깨선과 수직을 이루은 지점에서 릴리스가 시작되어 파울라인 15∼30cm 전방에 볼이 떨어지는 것이 좋다.
릴리스가 너무 빨리 파울라인 안쪽에 볼이 떨어질 경우에는 회전이 감소되나, 리프팅이 걸린 상태에서 떨어지면 회전이 너무 일찍 시작되어 목표에 적중하기 어렵고, 릴리스가 너무 늦어서 볼이 파울라인 앞쪽 먼곳에 던져질 때는 로포트 볼이 되기 쉬워서 회전이 감소되거나 회전이 느게 시작되어 파괴력이나 정확도가 떨어진다.
⑶높이
릴리스 위치나 타임이 정확하다면 높이는 낮을수록 좋다. 볼링은 볼을 던지는 것이 아니라 굴리는 것이므로 릴리스 높이가 높으면 굴릴 수가 없고 던져지기 때문이다.
⑷방향과 구질
볼에 가해지는 힘의 정도와 길리스 순간 볼이 놓여지는 방향에 따라 구질이 결정된다. 즉 업지가 12시 방향에서 릴리스되면 직구(Straight Ball)가 되고 10∼11시 방향에서 릴리스되면 훅 볼(Hook ball)이 되며 9시 방향에서 릴리스되면 커브 볼(Curve ball)이 된다.
3 .스텝의 방향, 궤도, 손목이 포인트
다운 스윙은 푸시 어웨이를 전방으로 밀어내진 볼이, 볼의 무게로 원운동을 시작 하는 것을 이용하여, 그 사이에 한걸음 나아가는 스텝이다.
따라서 여기서 팔힘은 필요하지 않다. 볼을 무리하게 끌어내리고 휘둘러 올리려고 하는 사람이 있다. 그런 사람은 반드시 스텝의 리듬과 밸런스가 무너져서 자세가 엉망으로 되어진다. 이 단계에서 볼을 오른발에 부닺치는 사람은 스윙 궤도의 체크와 동시에 팔에 힘이 들어있지 않은가를 잘 체크해 본다.
보폭은 1보재보다 커서 보통이 보폭으로 되지만, 너무 의식하면 지나치게 커지거나 역으로 종종걸음이 되어 버리므로 주의한다. 백스윙에서는 진자 운동으로 내려온 볼의 힘을 이용하여 뒤로 볼을 휘둘러 올린다. 여기서도 무리하게 볼을 톱까지 끌어올릴 필요는 없다. 높이 올리면 좋다는 것도 아니다.
제일 처음에 체크하고 싶은 것은 톱에 이른 볼의 위치다. 어깨가 너무 들어가거나 신체가 벌어져 있으면, 볼은 바른 위치의 안이나 밖으로 크게 벌어진다. 이래가지고는 올바른 릴리스를 할 수 없다. 반드시 수정해야 한다.
또 이 단계에서 조금씩 스피드가 오르기 때문에 어프로치를 지그자그로 비스듬히 나가 버리는 사람도 있다. 이것은 컨트롤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리므로 수정해야 한다.
가슴을 펴고 상체를 들어올리는 기분으로...
(릴리스 체크 포인트)
①왼발을 충북히 슬라이드시키고 있는가,
②눈길은 확실히 목표가 되는 애로를 보고 있는가,
③신체가 너무 벌어져 있거나어깨가 너무 처져 있지 않은가,
④엄지, 중지, 약지의 빠짐은 스무드한가,
⑤올바른 릴리스 포인트에서 릴리스하고 있는가
릴리스에서는 특히 손목이 최후까지 꺽이거나 휘어지지 않고 볼을 받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하여는 엄지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빠지기 시작하고부터 릴리스의 순간까지 손목과 두 손가락으로 볼을 단단히 홀드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리프트 앤드 턴이 틀림없이 행하여지고 있는가도 몇 번이고 체크해 본다. 또 눈길은 최후까지 정확히 목표를 파악하고 있어야한 한다.
왼발의 슬라이드는 볼에 스피드를 실음과 동시에 신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슬라이드한 발의 움직임을 쫒듯이 볼을 릴리스한다.
이상적인 자세는 양어깨가 어프로지에 대하여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릴리스가 행여 지는 것이다. 볼을 가급적 낮은 위치에서 릴리스하려고 하여 어깨가 내려가는 것은 하는 수 없지만 극단으로 좌우가 다른 사람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슬라이드 전부터 슬라이드 중의 체크포인트는 가급적 가슴을 펴고 릴리스하는 것이 중요 포인트다. 이렇게 함으로써 볼에 스피드가 실리고, 동시에 릴리스의 자세가 안정되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