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13] |
자원(字源) : {象形字} 멀리 길이 잇닿아 있는 '| |'와 경계를 나우어 놓는 표지인 'ㅡ'이 합쳐서 이루진 글자로 "경계 밖의 먼 곳"을 의미해 '멀다'는 의미로 사용됨. 부수의 의미는 크게 작용하지 않음. 구역의 명칭에서도 고을 밖{읍외(邑外)}을 '교(郊)'라 하고 교외(郊外)를 '림(林)'이라 하고 임외(林外)를 '경{멀경자}'이라 불림.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
4) 再 (재)거듭,둘 : 再次, 再從間{6촌간} | |
2-8,[14] |
자원 : {象形字} 천이 사방으로 늘어뜨려져 있어 덮어 씌우는 보자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덮어가리다'는 의미로 사용됨. 통상 부수 명칭으로 '갓머리'와 구별해서 '민갓머리'로 불림.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
8) 冥 (명)어둡다,밤,저승 : 冥想, 冥福 | |
2-9,[15] |
자원 : {象形字} 물{水}이 변화된 형상의 '얼음'을 의미하는데, 얼음이 얼 때 생기는 결 모양을 본뜬 글자임. 단독글자로 '氷, (빙)'을 사용되는데, 특이하게 '氷'은 물수(水) 부수에 분류함. '차다, 얼다' 등의 의미로 사용되고 통상 부수 명칭은 '이수변' 혹은 '두점변'이라 함.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4자 |
8) 凍 (동)얼다 : 凍傷, 凍氷寒雪 | |
2-10,[16] |
자원 : {象形字} 위는 평평하고 발이 달린 물건을 얹는 기구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본래 제향(祭享)에 희생을 얹는 기구인데, 일반적으로 앉을 때 몸을 기대는 방석 같은 기구인 '안석(案席)'으로 표현되고 부수 의미는 크게 활용 안됨.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
||
2-11,[17] |
자원 : {象形字} 벌린 입의 가운데 쑥 들어간 모양을 본뜬 글자, 혹은 땅을 우묵하게 파놓은 모양이나 물건을 담는 위가 터진 그릇을 나타낸 것으로 설명. 통상 부수 명칭은 '위튼입구'라 해서 '큰입구'부수와 구별함.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
3) 出 (출)나오다 : 出沒, 出入口, | |
2-12,[18] |
자원 : {象形字} 칼날이 굽은 칼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주로 '날카로움, 자르다, 나누다, 베다' 등의 의미로 부수에 사용됨. 변형 부수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한자의 {방}으로만 쓰이는데, '칼도'와 구별해서 '선칼도'라고 불림.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6자 |
6) 刺 (자)찌르다 : 刺客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 |
2-13,[19] |
자원 : {象形字} 힘을 준 팔에 근육이 불거진 모양을 본뜬 글자로 힘을 이용하는 일이나 노력 등을 의미하는 '힘, 힘쓰다' 등의 뜻으로 사용됨.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7자 |
9) 動 (동)움직이다 : 感動, 運動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