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4. 다음과 관련 있는 왕이 시행한 정책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쌍기가 귀화한 이후로부터 문사를 존중하여 은혜와 예가 너무 융숭하니, 재주 없는 자가 외람되어 갑자기 승진하여 한 해 안에 경상(卿相)이 되었다. 멀리 중국 남방과 북방의 용렬한 사람까지도 특별한 예로써 접대하니, 이 때문에 젊은 문사들이 다투어 진출하고 옛 덕망 있는 사람들이 점차 쇠진하였다. - 『고려사』 -
-----------------------------------------------------
------------<보기>------------
ㄱ. 승과제도의 시행
ㄴ. 개정 전시과의 제정
ㄷ. 광덕, 준풍의 연호 사용
ㄹ. 경학박사와 이학박사의 지방 파견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ㄷ, ㄹ
정답: ②
* 고려 광종의 업적
고려 태조 왕건의 뒤를 이은 혜종(943~945)과 정종(945~949) 때에는 왕권이 불안정하여 왕자들과 외척들 사이에 왕위 계승 다툼이 일어났다(예: 왕규의 난).
이런 상황에서 즉위한 광종(949~975)은 노비안검법(956)을 실시하여 호족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국가의 수입 기반을 확대하였다. 이어 후주 출신 귀화인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과거 제도를 시행하여(958), 유학을 익힌 신진 인사를 등용하고 신구 세력의 교체를 도모하였으며, 지배층의 위계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다(960).
일련의 개혁을 통하여 자신감을 가지게 된 광종은 본격적으로 공신과 호족 세력을 제거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국왕의 권위를 높이기 위하여 황제를 칭하고, 광덕, 준풍 등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로써 왕조 성립 초기의 공신과 호족 세력이 크게 약화되고 왕권이 강화될 수 있었다.
광종은 불교에 깊은 관심이 있어 승과 제도를 실시하였고, 균여(923~973)로 하여금 귀법사를 창건케 하여 남·북악 화엄을 통합하였다. 광종은 교종의 화엄종 외에도 천태학에도 유의하여 의통(927~988)과 제관(?~970)은 중국에 들어가 활동케 하였다.
㉡ 고려 목종 대에 인품을 제외하고, 18품 관품만 고려하는 개정전시과를 제정하였다(998)
㉣ 고려 성종은 지방 12목에 경학 박사와 의학 박사를 파견하여 유학 교육의 진흥에 노력하였다(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