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 과 개 요
중국어문학의 연구 분야는 중국어와 문학으로 이루어진다. 어학 분야에서는 고문, 현대문의 해석 및 회화 능력의 배양을 기초로 하여, 중국문자의 창제와 발전과정, 자음 및 자의를 연구하는 문자학과 언어의 구조 및 발전법칙을 연구하는 어법학 등이 있다. 문학 분야에서는 시, 사, 곡 및 산문 계통인 소설비평 등 고전에 대한 과정과 아울러 5ㆍ4 운동을 시점으로 태동된 신문학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분야를 연구한다.
2. 관 련 학 과
관광중국어학과, 동양어문학부, 중국문화정보전공, 중국어관광통역, 중국어문학과, 중국어중국통상학과, 중국어통번역전공, 중국어통번역트랙, 중국어통역, 중국어학과, 중국언어문화학과, 중국학과, 중어중국학과, 중어중문학과, 중통번역학과, 한중비교문화학과 등
3. 교 육 과 정
중국바로알기, 중국어, 중국문화개설, 중국어회화, 중국어문법, 중국어작문, 중국고대문학의 이해, 한자의 이해, 중국근대문학의 이해, 중국소설감상, 중국음운의 세계, 중문학개론, 중국문학사, 중국의 이해, 제자백가의 이해, 경전강독 등
4. 졸업 후 진로
진출분야
민간회사ㆍ개인사업체, 교육기관(초/중/고 등), 정부투자기관ㆍ정부출연기관ㆍ공사합동기업, 정부기관(공무원,ㆍ군인 등), 대학, 외국계 기업 등
하는 일
총무 사무원, 문리/어학계 강사, 마케팅 관련 사무원, 해외 영업원, 무역사무원(관세사사무원 포함), 중등학교교사, 정부행정사무원, 사무보조원 등
5. 관련자격증
⎘ 통역사, 관광호텔 지배인, T.E(국외 여행 인솔자), 중등 2급 정교사, 한자능력 등
6. Q & A
Q. 중국어과 졸업 후 통역사가 되고 싶은데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A . ∙ 통역사가 되기 위해서 특별한 자격 요건이 있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4년제 대학 졸업 후 통역대학원 과정을 이수하거나, 대학에서 해당 언어를 전공 또는 2~3년 정도 외국 체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통역사로 활동합니다.
∙ 통역번역전문대학원에서 통역사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습니다.
7. 개 설
대학교
강릉원주대, 강원대, 건국대, 건동대, 건양대, 경기대, 경남대, 경북대, 경북외국어대, 경상대, 경성대, 가천대, 경일대, 경희대, 계명대, 고려대, 고신대, 공주대, 광주대, 국민대, 군산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대구외국어대, 대구한의대, 대불대, 대전대, 덕성여대, 동국대, 동덕여대, 동서대, 동신대, 동아대, 동의대, 명지대, 목원대, 목포대, 배재대, 부산대, 부산외국어대, 상명대, 서경대, 서남대, 서울대, 서울신학대, 서울여대, 서원대, 선문대, 성결대, 성공회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세명대, 수원대, 숙명여대, 순천대, 순천향대, 숭실대, 아시아대, 안동대, 안양대, 연세대, 영남대, 영동대, 영산대, 용인대, 우석대, 울산대, 원광대, 위덕대, 인천대, 인하대, 전남대, 전북대, 전주대, 제주대, 조선대, 중앙대, 창원대, 청주대, 초당대, 충남대, 충북대, 충주대, 한국방송통신대, 한국외국어대, 한밭대, 한신대, 한양대, 한중대, 협성대, 호남대, 호서대
전문대학
동남보건대, 동의과학대, 마산대, 명지전문대, 배화여대, 백석문화대, 부산정보대, 상지영서대, 서일대, 서해대, 수원과학대, 신구대, 신성대, 안산1대, 여주대, 영남외국어대, 인덕대, 장안대, 제주관광대, 제주한라대, 진주보건대, 창신대, 충청대, 한국관광대, 한양여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