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四字小學
처음 한문을 배우는 자가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편집되었으며 각 주제별로 엮어져 있습니다. 주된 내용은 효도와 윤리도덕 및 벗 사귀는 법 자기 수양의 방도를 수록한 교양 필독서입니다.
이 책의 구성은
①먼저 본문을 싣고
②음을 달았으며
③해석을 쓴 후
④한자의 음과 훈을 달았습니다.
⑤해석에 어려운 부분을 다시 보충 설명을 해 두었습니다.
먼저 한자의 음과 훈을 여러 번 반복하여 읽고 모르는 한자의 음과 훈을
익힌 후 음을 읽고 해석을 읽으십시오.
한자 풀이는 형성문자와 회의 문자의 경우 분해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습니다.
제목: 孝道에 관한 내용
⊙ 父 生 我 身하시고 母 鞠 吾 身이로다. (부생아신 하시고 모국오신 이로다)
아버지께서 내 몸을 낳아 주시고 어머니께서 내 몸을 기르셨도다.
我나아 育기를육 吾나오
⊙ 腹 以 懷 我 하시고 乳 以 哺 我 로다. (복 이 회 아 하시고 유 이 포 아 로다)
배로써 나를 품어 주시고 젖으로써 나를 먹이셨도다.
腹 배 복 : 月 (실을 뜻함 ) + 腹 (음) = 腹 (형성문자)
懷 품을 회 : 가슴으로 품으므로 心이 들어감
乳 젖 유 : 爪 (손톱조)+ 子 + 乙 = 乳 (회의문자 ) 아들에게 가슴에 있는 젖을 먹인다는 뜻 哺 먹일 포 : 口 (뜻) + 甫(음) = 哺 (형성문자)
⊙ 以衣溫我 하시고 食以飽我 로다.(이의온아 하시고 식이포아 로다)
옷으로써 나를 따뜻하게 하시고 밥으로써 나를 배부르게 하셨도다.
溫 따뜻할 온 : 水물을 日해가 비치는 곳에 皿그릇에 담아 놓으면 따뜻해진다. (회의문자) 飽 배부를포 : 食(뜻) + 包(음)=飽 (형성문자)
⊙ 恩高如天 하시고 德厚似地 로다. (은 고 여 천 하시고 덕 후 사 지로다.)
은혜의 높기는 하늘과 같고 덕의 두텁기는 땅과 같도다.
(恩은혜은 德덕덕 厚두터울후 似같을 사)
⊙ 爲 人 子 者 야 曷 不 爲 孝 리오.( 위 인 자 자 야 갈 불 위 효 리 오.)
사람의 자식이 된 자야 어찌 효도를 하지 아니하리요.
(曷 어찌 갈 爲 될 위, 할 위 )
孝 효도효 : 老 + 子 =孝 (회의문자) 노인을 아들이 업고 가므로 효자
⊙ 欲 報 深 恩 인댄 昊 天 罔 極 이로다.( 욕보심은 인댄 호천망극이로다.)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하는데 넓은 하늘과 같아서 다함이 없도다.
欲 하고자할 욕 昊하늘호, 넓을 호 報 갚을 보
深 깊을 심 極 다할 극 罔없을 망 ★ 亡 망할 망 忘 잊을 망 網 그 물망
⊙ 父 母 呼 我 어시든 唯 而 趨 進 하라.( 부모호아 어시든 유이추진 하라.)
부모님이 나를 부르시거든 빨리 대답하고서 달려 나아가라.
呼부를 호: 口+乎(음)=呼 (형성문자)唯 대답할 유 : 口+?(새추)=唯 ★ 惟오직유 維벼리유 趨달릴 추 : 走(뜻)+芻(새새끼추)음 =趨 (형성문자)
進 나아갈 진 : ?(새추)+?(쉬엄쉬엄갈착)=進 새는 앞으로만
나아가므로 ?(쉬엄쉬엄갈착)은 앞으로 간다는 뜻
⊙ 有 命 必 從 하고 勿 逆 勿 怠 하라.( 유명필종하고 물 역 물 태 하라.)
명함이 있거든 반드시 따르고 거역하지 말고 게을리 하지 말라.
命 명할 명, 목숨명 從 따를 종 : 간다는 뜻의 ?(두인변)이 들어감
逆 거스릴역 : 거슬러 가므로 간다는 뜻의 ?(쉬엄쉬엄갈착)이 들어감
怠 게으를 태 : 마음에 게으름을 피우므로 心이 들어감
⊙ 父 母 責 我 하시든 勿 怒 勿 答 하라. (부모책아 하시든 물노물답 하라.)
부모님이 나를 꾸짖으시거든 성내지 말고 말대답하지 말라.
責꾸짖을 책 答 대답 답 問答(문답) 答信(답신) 回答(회답)
怒성낼 노 : 奴(종 노)음+心(뜻)=怒 ★ 奴종노 恕용서할서
⊙ 父 母 出 入 하시면 每 必 起 立 하라.( 부모출입 하시면 매필기립 하라.)
부모님이 나가시거나 들어오시면 매양 반드시 일어서라.
每 매양 매 必반드시 필 起일어날 기
⊙ 侍 坐 親 前 이어든 勿 怒 責 人 하고.( 시좌친전 이어든 물노책인 하고.)
어버이를 모시고 앉았거든 성내어서 다른 사람을 꾸짖지 말고
侍 모실 시 侍女(시녀) 坐 앉을 좌 坐席(좌석)
親 어버이 친 父親, 母親, 兩親(양친)
親 어버이 친 : 어버이는얼굴을 자주 뵈므로 見이 들어감
怒 성낼 노 : 奴(종 노)음+心(뜻)=怒 ★ 奴종노 恕용서할서
⊙ 下 氣 怡 聲 하며 顔 色 溫 柔 하라.(하 기 이 성 하며 안 색 온 유하라.)
기운을 내리고 목소리를 화하게 하며 얼굴빛을 온화하고 부드럽게 하라.
氣 기운 기 怡 화할 이 聲 소리 성
顔 낯 안 : 얼굴은 머리에 붙어 있으므로 頁이 들어감
溫 온화할 온 : 물을 그릇에 담아 해가 비치는 곳에 두면 따뜻하다
柔 부드러울 유 : 矛+木=柔 창은 나무에 꽂을 수 있으므로 부드럽다.
⊙ 勿 坐 膝 前 하고 勿 仰 親 面 하라.( 물좌슬전 하고 물 앙 친 면하라.)
무릎 앞에 앉지 말고 어버이 얼굴을 우러러보지 말라
소학의 글을 보면 어른의 목 위로의 얼굴을 쳐다보지 않으며 배꼽
아래에 눈을 두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膝 무릎 슬 仰 우러러볼앙 崇仰(숭앙) 仰望(앙망) 推仰(추앙)
面 낯 면 面談(면답) 面會(면회)
⊙ 父 母 臥 命 어시든 俯 首 聽 之 하라.( 부모와명 어시든 부수청지하라.)
부모님이 누워서 명하시거든 머리를 숙이고 들어라.
어른께 물건을 드릴 경우 어른이 앉아 계시면 앉아서 드려야 하고 서 계실 때에는 서서 드려야 하며 물건을 받을 때도 마찬가지로 해야 함이 어른을 대하는 예절입니다.
臥 누울 와 聽 들을 청 俯 숙일 부 : ?(인변)(뜻)+府(음)= 俯
之 : 갈지, 어조사지
⊙ 父 母 疾 病 이어든 憂 而 謀 療 하라 (부모질병 이어든 우이모료 하라)
부모님이 질병이시거든 근심하여서 병 고칠 것을 꾀하라)
疾 병 질 : 병에 관한 것이므로 ?(병들 녘)이 들어감 疾患(질환)
疾은 가벼운 병 眼疾(안질) 病 병 병 : ?(병들 녘)+ 丙 = 病 (형성문자) 疾病(질병) 病은 무거운 병 重病(중병) 憂 근심 우 : 마음에 근심하므로 心이 들어감 憂患(우환) 謨 꾀할 모 : 어떤 일을 하려고 할 때는 말을 해야 하므로 言이 들어감 圖謀(도모) 智謀(지모) 謀略(모략)
★ 模본뜰모 暮저물모( 해가 없어지니 저물모) 募모을모
慕사모할모(마음속으로 그리워하니 사모할 모)
療 고칠 료 : 병을 고치므로 ?(병들녘)이 들어감 醫療(의료) 治療(치료)
비숫한자 僚동료료 遼멀료
⊙ 冬 溫 夏 정하고 昏 定 晨 省 하라. ( 동온하정 하고 혼정신성하라.)
(부모님의 주무시는 방을)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하고 저물면 정하고(이부자리를깔아 드리고) 새벽이면 살펴라
? 서늘할 청, 서늘할 정 : ?(얼음 빙)+ 靑=?(서늘할 정)형성문자
昏 저물 혼 : 해가 저물었다. 溫 따뜻할 온 : 水물을 日해가 비치는 곳에 皿그릇에 담아 놓으면 따뜻해진다. (회의문자)
定 정할 정 : ?(집면)+疋 집에 들어와 발을 뻗으므로 쉴 자리를 정했다
晨 새벽 신 : 해가 나오고 별이 들어가므로 새벽이다
省 살필 성 : 적은 것까지 눈으로 살핌 反省(반성) 歸省(귀성)
⊙ 出 不 易 方 하고 復 不 過 時 하라 (출 불 역 방하고 복 불 과 시 하라)
나갈 때는 방향을 바꾸지 아니하고 돌아올 때는 때를 지나면 아니되느니라.
간다고 말씀드린 곳에 가야지 다른 곳에 가면 안되고 돌아오기로 약속한 시간을 넘기면 부모님이 걱정하십니다.
易 바꿀 역, 쉬울 이 : 簡易(간이) 貿易(무역)
復 돌이킬 복, 다시 부 : 復歸(복귀) 復活(부활)
過 지날 과,허물 과 : 經過(경과) 過誤(과오) 過失(과실)
⊙ 事 親 至 孝 하고 養 志 養 體 하라 ( 사친지효 하고 양 지 양 체 하라)
어버이 섬기기를 지극히 효도하여 뜻을 봉양하고 몸을 봉양하라
孝 효도 효 : 老 + 子 =孝 (회의문자) 노인을 아들이 업고 가므로 효자
事 섬길 사 ,일 사 至 지극 지. 이를 지
養 봉양할 양 : 羊+食=養 양고기로 어버이를 봉양한다 奉養(봉양)
기를 양 養育(양육) 養魚(양어) 養豚(양돈)
志 뜻 지 : 士+心=志 선비가 품은 뜻 意志(의지)
體 몸 체 : 骨+曲+豆= 體 뼈가 구부러지고 작은 것으로 이루어짐
⊙ 言 行 相 違 하면 辱 及 于 先 하고 ( 언 행 상 위 하면 욕급우선하고)
말과 행실이 서로 어긋나면 욕이 조상에게 미치고 내 하는 행실이 잘 못되면 그 욕이 부모님이나 할아버지 할머니 조상께 돌아 갑니다.
相 서로 상 辱 욕될 욕 恥辱(치욕) 侮辱(모욕) 于 어조사 우 先 먼저 선, 조상 선 違 어긋날 위 : 韋(음)+?(쉬엄쉬엄갈착)(뜻)=違 뜻에 거슬려 간다는 뜻
⊙ 我 身 能 善 하면 譽 及 父 母 니라 ( 아신능선 하면 예 급 부 모 니라)
내 몸이 능히 착하면 명예가 부모님께 미치느니라.
能 능히 능 善 착할 선 善行(선행) 譽명예예 名譽(명예)及 미칠 급 波及(파급)
⊙ 勿 與 人 鬪 하라 父 母 憂 之 시니라 (물여인투 하라 부모우지 시니라)
남과 더불어 싸우지 말라 부모님이 근심하시니라.
人 사람인 : 여러 사람이나 다른 사람의 뜻으로 쓰임. 자신을 나타낼 때는 自, 己, 身을 사용함 與 더불 여 鬪 싸울 투 憂 근심 우
⊙ 若 得 美 果 하면 歸 獻 父 母 하라 (약득 미 과 하면 귀 헌 부 모 하라)
만약 맛있는 과실을 얻으면 돌아가 부모님께 드려라
美 아름다울 미, 맛있을 미, 좋을 미 得 얻을 득
獻 드릴 헌 : 獻花(헌화), 獻身(헌신) 공헌(공헌)
果 과실 과 : 田+ 木= 果 밭에 있는 나무의 열매
歸 돌아갈 귀 : 阜+ 止+ ?(비추) = 歸 언덕에 있는 아내가 기다리는
집으로 돌아감. 歸路(귀로) 歸還(귀환) 復歸(복귀) 回復(회복)
⊙ 若 告 西 適 하면 不 復 東 往 하라 (약 고 서 적 하면 불 부 동왕 하라)
만약 서쪽으로 간다고 고하면 다시 동쪽으로 가면 아니되느니라.
간다고 말씀드린 장소에 가지 않고 다른 장소로 가면 부모님이 급히 찾으실 일이 있거나 제 시가에 돌아 오지 않거나 할 때 근심하십니다.
復 다시 부, 돌이킬 복 復活(부활) 復歸(복귀) 復古(복고)
若 만약 약 , 같을 약 若干(약간), 萬若(만약)
適 갈 적 : 가다는 뜻의 ?(쉬엄쉬엄갈착)이 들어감 滴물방울적 摘딸적
往 갈 왕 : 가다는 뜻의 ?(두인변)이 들어감 往復(왕복) 往來(왕래)
⊙ 出 必 告 之 하고 返 必 拜 謁 하라 ( 출 필 고 지 하고 반필 배알 하라)
나갈때는 반드시 고하고 돌아와서는 반드시 절하고 뵈어라.
나갈 때는 반드시 가야 할 장소와 이유를 말씀드리고 돌아 와서는 얼굴을 꼭 보여 드려야 합니다.
告 고할 고 : 告白(고백), 申告(신고) 謁 뵈일 알 : 謁見(알현) , 拜謁(배알)
返 돌아올 반 : 反+ ?(쉬엄쉬엄갈착) = 返 返還,
拜 절 배 : 두 손을 잡고 절을 하는 모양 再拜(재배) 崇拜(숭배)
⊙ 飮 食 親 前 이어든 毋 出 器 聲 하라 ( 음식친전 이어든 무출기성 하라)
어버이 앞에서 마시거나 먹거든 그릇 소리를 내지 말라
飮 마실음 飮料水(음료수) 試飮(시음) 食飮(식음)
前 앞전 前後(전후) 戰後(전후) 器그릇기 食器 武器(무기) 便器(변기)
聲소리성 音聲(음성) 高聲(고성) 親 어버이 친 : 얼굴을 자주 뵈므로 見이 들어감
⊙ 對 案 不 食 하시면 思 得 良 饌 하라 ( 대안불식 하시면 사득양찬 하라)
밥상을 대하여서 드시지 아니하시면 좋은 반찬 얻을 것을 생각하라
對 대할 대 對面(대면) 對談(대담) 對話(대화) 得얻을 득 得失(득실) 獲得(획득) 所得(소득) 饌반찬 찬 飯饌(반찬) 珍羞盛饌(진수성찬) 案 밥상 안, 책상 안 : 安(음)+木(뜻)=案 思 생각 사 : 田+心=思 마음 속으로 생각하므로 생각사
⊙ 室 堂 有 塵 이어든 常 以 ?(비추) 掃 하라 ( 실 당 유 진 이어든 상 이 추 소 하라) 방과 마루에 먼지가 있거든 항상 비로써 쓸어라
室 방 실 堂 집 당 常 항상 상 ? 비 추 塵 티끌 진 : 鹿+土=塵 塵土(진토) 粉塵(분진) 掃 쓸 소 : 手+ ?(비추) =掃 淸掃(청소) 掃除(소제)
⊙ 衣 食 雖 惡 이라도 與 必 着 嘗 하라 ( 의 식 수 악 이라도 여 필 착 상 하라) 옷과 음식이 비록 나쁘더라도 주시거든 반드시 입고 맛보아라
雖 비록 수 與 줄 여 着 입을 착 嘗 맛볼 상
⊙ ?(포장과) 糧 以 送 이어든 勿 懶 讀 書 하라 ( 과 량 이 송 이어든 물 라 독 서 하라) 양식을 싸서 보내시거든 글 읽기를 게을리 하지 말라
? 포장할 과 懶 게으를 라 懶怠(나태) 讀 읽을 독 書글서 糧 양식 량 : 米+ 量 = 糧
⊙ 父 母 生 存 에 不 許 以 死 니라 ( 부 모 생 존 에 불 허 이 사 니라)
부모님이 살아 계심에 죽음으로써 허락하지 아니하니라.
存 있을 존 許 허락할 허 死 죽을 사
⊙ 身 體 髮 膚 는 受 之 父 母 니 (신 체 발 부 는 수 지 부 모 니)
몸과 터럭과 살갗은 부모님께 받은 것이니
體 몸체 髮 터럭 발 毛髮(모발) 膚 살갗 부 皮膚(피부)
受 받을 수 受賞(수상) 受講(수강) 受難( 수난)
⊙ 不 敢 毁 傷 이 孝 之 始 也 니라 ( 불 감 훼 상 이 효 지 시 야 니라)
감히 헐거나 상하지 아니함이 효도의 시작이니라.
敢 감히 감 : 勇敢(용감) 果敢(과감) 敢行(감행) 毁 헐 훼 : 毁損(훼손)
傷 상할 상 傷處(상처) 負傷(부상) 始 처음 시 始作(시작) 開始(개시)
孝 효도 효 : 老 + 子 =孝 (회의문자) 노인을 아들이 업고 가므로 효자
⊙ 立 身 行 道 하고 揚 名 後 世 니라( 입 신 행 도 하고 양 명 후 세니라)
몸을 세우고(출세하고) 도리를 행하고 (마땅한 도리를 행하고)
이름을 후세까지 드날리어서 (즉 출세하여 유명한 사람이 되어서)
揚 드날릴 양 後 뒤 후 世 세상 세
⊙ 以 顯 父 母 가 孝 之 終 也 니라 (이 현 부 모 가 효 지 종 야니라)
써 부모를 나타내는 것이 효도의 끝이니라.
顯 나타날현 顯著(현저) 終 끝 종 終末(종말) 始終(시종) 終業(종업)
孝 효도효 : 老 + 子 =孝 (회의문자) 노인을 아들이 업고 가므로 효자
⊙ 事 親 如 此 하면 可 謂 人 者 요 (사 친 여 차 하면 가 위 인 자 요)
어버이 섬기기를 이와 같이하면 가히 사람의 자식이라 이르고
事 섬길 사, 일 사 此이 차 謂이를 위
⊙ 不 能 如 此 하면 無 異 禽 獸 니라(불 능 여 차 하면 무 이 금 수 니라)
능히 이와 같이 아니하면 새와 짐승과 다름이 없느니라.
異 다를 이 特異(특이) 異種(이종) 異變(이변)
禽 새 금 : 무늬를 나타내는 文과 짐승의 발자국 液(짐승발자국유)이 들어감
獸 짐승 수 : 짐승을 나타내기 위해 口과 犬이 들어감
⊙ 勿 立 門 中 하고 勿 坐 房 中 하라 (물 립 문 중 하고 물 좌 방 중하라)
문 가운데 서지 말고 방 가운데 앉지 말라.
房방방 : 戶(문호)뜻+ 方(모방)음= 房
⊙ 出 入 門 戶 엔 開 閉 必 恭 하라 (출 입 문 호 엔 개 폐 필 공 하라)
문을 나가거나 들어 올 때는 열고 닫기를 반드시 공손히 하라
開 열 개 : 門(문 문) + 一+ ?(받쳐들 공)= 開 문을 두손으로 공손히 여는 모양 閉 닫을 폐 : 門+ 手(손을 나타냄)= 閉 손으로 문을 닫는 모양
恭 공손 공: 共(한가지 공)음+心(마음 심)뜻 = 恭
⊙ 須 勿 大 唾 하고 亦 勿 欠 伸 하라( 수 물 대 타 하고 역 물 흠 신하라)
모름지기 크게 침 뱉지 말고 또한 하품하거나 기지개 켜지 말라
須 모름지기 수 唾 침 타 亦 또 역
伸 펼 신 , 기지개켤신 : ?+申 = 伸 몸을 쭉 펴므로 기지개켤 신
⊙ 口 勿 雜 談 하고 手 勿 雜 戱 하라(구 물 잡 담 하고 수 물 잡 희 하라)
입으로는 잡스런 말하지 말고 손으로는 잡스런 손장난하지 말라
雜 섞일 잡 雜談잡담) 複雜(複雜) 混雜(혼잡) 戱 희롱 희 戱弄(희롱) 戱劇(희극)
談 말씀 담 : 言(말씀 언) 뜻 + 炎음 = 談 ★ 淡 맑을 담 痰 가래 담
⊙ 行 勿 慢 步 하고 坐 勿 依 身 하라 (행 물 만 보 하고 좌물 의 신 하라)
다닐 때는 거만하게 걷지 말고 앉을 때는 몸을 기대지 말라
慢거만할 만 倨慢(거만) 傲慢(오만) 步 걸음 보 依기댈 의
⊙ 侍 坐 親 前 에 勿 踞 勿 臥 하라 (시 좌 친 전 에 물 거 물 와 하라 )
어버이 앞에서 모시고 앉았거든 걸터앉거나 눕지 말라
侍모실 시 踞 걸터앉을 거 臥 누울 와
⊙ 父 母 衣 服 을 勿 踰 勿 踐 하라 (부 모 의 복 을 물 유 물 천 하라 )
부모님의 옷을 넘거나 밟지 말라
踰 넘을 유 踐 밟을 천 實踐(실천)
⊙ 鷄 鳴 而 起 하고 必 ? 必 材 하라 (계 명 이 기 하고 필 관 필수 하라 )
닭이 울면 일어나고 반드시 세수하고 반드시 양치질하라
鷄 닭 계 鳴 울 명 ? 세수할 관 漱 양치질할 수
⊙ 晨 必 先 起 하고 暮 須 後 寢 하라(신 필 선 기하고 모 수 후 침 하라)
새벽이면 반드시 먼저 일어나고 저물면 모름지기 뒤에 잠들어라
晨 새벽 신 暮 저물 모
寢 잘 침 寢室(침실) 寢臺(침대) 就寢(취침)
⊙ 昏 必 定 褥 하고 晨 必 省 候 하라 (혼 필 정 욕 하고 신 필 성 후 하라) 저물면 반드시 이불을 깔아드리고 새벽이면 반드시 뒷정리를 살펴라.
褥 이불 욕 省 살필 성, 덜 생 省察(성찰) 省略(생략)
⊙ 父 母 愛 之 어시든 喜 而 勿 忘 하라( 부 모 애 지 어시든 희 이 물 망하라) 부모님이 사랑하시거든 기뻐하면서 잊지 말라
愛 사랑 애 喜 기쁠 희 忘 잊을 망 妄覺(망각)
⊙ 夏 則 凉 枕 하고 冬 則 溫 被 하라 (하 즉 량 침 하고 동 즉 온 피 하라) 여름인즉 서늘한 베개를 해 드리고 겨울인즉 따뜻한 이불을 드려라
凉 서늘할 량 枕 베개 침 被 이불 피
溫 따뜻할 온 : 水물을 日해가 비치는 곳에 皿그릇에 담아 놓으면 따뜻해진다.
(회의문자)
⊙ 雪 裡 求 筍 은 孟 宗 之 孝 로다 ( 설 리 구 순 은 맹 종 지 효로다)
눈 속에서 죽순을 구하는 것은 맹종의 효도로다.
雪 눈 설 裡 속 리 孟 맏 맹 宗 마루 종 孝 효도 효
孝 효도 효 : 老 + 子 =孝 (회의문자) 노인을 아들이 업고 가므로 효자
⊙ 叩(두드릴 고) 撚 得 鯉 는 王 祥 之 孝 로다 ( 고 빙 득 리 는 왕 상 지 효로다) 얼음을 두드려서 잉어를 잡는 것은 왕상의 효도로다
撚 얼음 빙 得 얻을 득 鯉 잉어 리 祥 상서로울 상
⊙ 長 者 賜 果 어시던 核 子 在 手 니라 ( 장 자 사 과 어시던 핵 자 재 수니라) 어른이 과실을 주시거든 씨를 손에 가지고 있어라
長 어른 장 賜 줄 사 果 과실 과 核 씨 핵
⊙ 父 母 之 年 은 不 可 不 知 로다( 부 모 지 년 은 불 가 부 지 로다)
부모의 나이는 알지 아니하면 아니되니라
⊙ 一 則 以 喜 하고 一 則 以 懼 니라 일 칙 이 희 하고 일 즉 이 구 니라
하나는 곧 기쁨으로써 이고, 하나는 두려움으로써 이니라
喜 기쁠 희 懼 두려울 구
⊙ 雖 有 他 親 이나 豈 能 如 此 리오수 유 타 친 이나 기 능 여 차 리오
비록 다른 어버이가 있으나 어찌 능히 이와 같이 하지아니하리오.
豈 어찌기 他 다를타
⊙ 我 事 人 親 하면 人 事 我 親 이니라 (아 사 인 친 하면 인 사 아 친 이니라) 내가 남의 어버이를 섬기면 남도 나의 어버이를 섬기느니라.
제목: 人倫·道德에 관한 내용 (三綱)
⊙ 君 爲 臣 綱 하고 父 爲 子 綱 하며 ( 군 위 신 강 하고 부위자강 하며)
임금은 신하의 모범이 되어야 하고 아버지는 아들의 모범이 되어야 하며
君 임금 군 爲 될 위 綱 벼리 강 臣 신하 신 忠臣(충신) 臣下(신하)
綱 벼리 강 = 모범 綱 벼릿줄은 그물을 잡아당기는 줄이다. 즉 그 줄을 잡아당기면 고기가 따라 오듯이 윗사람이 잘 하면 아랫사람이 본받는다는 말
⊙ 夫 爲 婦 綱 이니 是 爲 三 綱 이니라 ( 부 위 부 강 이니 시 위 삼 강 이니라) 남편은 아내의 모범이 되어야 하니 이를 삼강이라 이르느니라.
夫남편 부 婦아내 부 是이 시
제목: 人倫· 道德에 관한 내용 (五倫)
⊙ 父 子 有 親 하고 君 臣 有 義 하며 ( 부 자 유 친 하고 군 신 유 의 하며)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는 의리가 있어야 하며
有 있을 유 有無(유무) 有情(유정) 有意(유의)
親 친할 친 親善(친선) 親舊(친구) 親友(친우) 兩親(양친)
義 옳을 의 義務(의무) 忠義(충의)
親(어버이)와 친한 사람은 얼굴을 자주 뵈므로 見이 들어감.
⊙ 夫 婦 有 別 하고 長 幼 有 序 하며 ( 부 부 유 별 하고 장 유 유 서 하며)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아이는 차례가 있어야 하며
別 분별 별 分別(분별) 離別(이별) 幼 어릴 유 幼兒(유아) 幼稚園(유치원)
序 차례 서 秩序(질서) 序列(서열)
⊙ 朋 友 有 信 이니 是 爲 五倫 이니라 (붕 우 유 신 이니 시 위 오륜이니라)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하니 이를 오륜이라 이르느니라.
朋 벗 붕 朋은 한 스승 밑에서 공부한 글방 친구를 말함 友 벗 우 : 두 사람이 손을 잡은 모양 信 믿을 신 : 사람은 말에 믿음이 있어야 한다
⊙ 三 綱 五 倫 은 人 倫 大 綱 이니라
( 삼 강 오 륜 은 인 륜 대 강 이니라) 삼강과 오륜은 인륜의 큰 근본이니라.
倫 인륜 륜 人倫(인륜) 倫理(윤리) 綱 벼리 강 紀綱(기강)
제목: 人倫· 道德에 관한 내용 (화랑도 세속오계)
⊙ 世 俗 五 戒 는 事 親 以 孝 하고 ) (세 속 오 계 는 사 친 이 효 하고)
세상 풍속의 다섯 가지 경계할 것은 어버이 섬기기를 효도로써 하고
世 세상 세 世上(세상) 別世(별세) 世界(세계) 世人(세인) 俗 풍속 속 民俗(민속) 風俗(풍속) 俗人(속인) 戒 경계할 계 警戒(경계) 訓戒(훈계) 戒嚴(계엄)
親(어버이)는 얼굴을 자주 뵈므로 見이 들어감
⊙ 事 君 以 忠 하며 交 友 以 信 하고( 사 군 이 충 하며 교 우 이 신 하고) 임금 섬기기를 충성으로써 하며 벗 사귀기를 믿음으로써 하고
忠 충성 충 忠誠(충성) 忠心(충심) 友 벗 우 友愛(우애) 友情(우정) 友意(우의) 友愛(우애) 信 믿을 신 信義(신의)
⊙ 臨 戰 無 退 하며 殺 生 有 擇 이니라 (임 전 무 퇴 하며 살 생 유 택 이니라) 전쟁에 임하여서는 물러남이 없어야 하며 살아 있는 것을 죽일 때에는 가림이 있어야 하느니라.
臨 임할 림 君臨(군림) 臨地(임지) 戰 싸움 전 戰爭(전쟁) 戰鬪(전투) 苦戰(고전) 退 물러날 퇴 退任(퇴임) 退去(퇴거) 退出(퇴출) 殺 죽일 살 殺生(살생) 殺人(살인) 殺意(살의) 擇 가릴 택 選擇(선택) 選手(선수) 特選(특선) 入選(입선)
제목: 人倫· 道德에 관한 내용 (충신, 열녀, 충, 믿음)
⊙ 忠 臣 之 道 는 不 事 二 君 이요 ( 충 신 지 도 는 불 사 이 군 이요)
충성스런 신하의 도리는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하고
道 길 도 事 섬길 사
⊙ 烈 女 之 情 은 不 更 二 夫 이니라 ( 열 녀 지 정 은 불 경 이 부 니라)
열녀의 정절은 두 남편을 고치지 아니하니라. (다른 남편을 섬기지 아니하니라)
烈 매울 렬 情 뜻 정 更 고칠 경 夫 지아비 부
⊙ 盡 己 爲 忠 이요 以 實 爲 信 이니라 ( 진기위충 이요 이실위신 이니라)
몸을 다함이(자기 일에 최선을 다함이) 충성이 되고 성실함으로써 믿음이 되느니라.
盡 다할 진 爲 될 위 實 열매 실 果實(과실) 誠實(성실) 眞實(진실)
제목: 人倫· 道德에 관한 내용 (향약의 4대 규약)
⊙ 德 業 相 勸 하고 過 失 相 規하며 ( 덕 업 상 권 하고 과 실 상 규 하며) 덕된 일은 서로 권하고 허물은 서로 규제하며
德 덕 덕 業 업 업 相 서로 상 勸 권할 권 過 과실 과 規 법 규
⊙ 禮 俗 相 交 하고 患 難 相 恤 하라( 예 속 상 교 하고 환 란 상 휼 하라) 예도의 풍속으로 서로 사귀고 근심되고 어려운 일은 서로 구원하라
禮 예도 례 俗 풍속 속 患 근심 환 難 어려울 란 恤 구원할 휼
제목: 人倫· 道德에 관한 내용 (친척, 이웃돕기)
⊙ 貧 窮 患 難 에 親 戚 相 救 니라 ( 빈 궁 환 란 에 친 척 상 구 니라)
가난하고 근심되고 어려움에 친척을 서로 구원하라
貧 가난 빈 貧賤(빈천) 貧寒(빈한) 貧困(빈곤) 窮 궁할 궁 貧窮(빈궁) 無窮花(무궁화) 戚 겨레 척 親戚(친척) 外戚(외척) 救 구원할 구 救援(구원) 救助(구조) 救國(구국) 救出(구출)
⊙ 婚 姻 喪 死 에 隣 保 相 助 니라(혼 인 상 사 에 인 보 상 조 니라)
혼인하는 일과 초상에는 이웃을 서로 도우라
婚 혼인할 혼 姻 혼인 인 喪 초상 상 隣 이웃 린 隣近(인근) 保 보존할 보 保存(보존) 保護(보호) 助 도울 조 補助(보조) 救助(구조) 助力(조력) 扶助(부조)
⊙ 哀 慶 相 問 은 美 風 良 俗 이니라 (애 경 상 문 은 미풍 양 속 이니라)
슬픔과 경사스런 일에 서로 묻는 것은 아름답고 좋은 풍속이니라.
哀 슬플 애 慶 경사 경 問 물을 문 美 아름다울 미 風 바람 풍
良 좋을 량 良質(양질) 善良(선량) 良好(양호) 改良(개량) 良識(양식)
제목: 人倫· 道德에 관한 내용
(⊙ 言 則 信 實 하고 行 必 正 直 하라 ( 언 즉 신 실 하고 행필정직 하라)
말은 곧 믿음과 진실하게 하고 행실은 반드시 바르고 곧게 하라
則 곧 즉 實 열매 실 直 곧을 직 正直(정직) 率直(솔직)直線(직선)直接(직접)
⊙ 終 身 讓 路 라도 不 枉 百 步 니라(종 신 양 로 라도 불 왕 백 보 니라)
몸을 마치도록 길을 양보하더라도 일백 걸음을 굽히지 아니하니라
終 끝 종 讓 사양할 양 枉 굽을 왕
⊙ 老 少 長 幼 는 天 分 秩 序 니 (노 소 장 유 는 천 분 질 서 니)
노인과 젊은이와 어른과 아이는 하늘이 차례를 나누었으니
秩 차례 질 序 차례 서
⊙ 長 者 慈 幼 하고 幼 者 敬 長 이니라 (장 자 자 유 하고 유 자 경 장 이니라)
어른은 어린이를 사랑하고 어린이는 어른을 공경할지니라.
慈 사랑 자 慈愛(자애) 仁慈(인자) 敬 공경 경 恭敬(공경) 敬愛(경애) 敬語(경어) 尊敬(존경)
⊙ 長 老 之 前 에 進 退 必 恭 하라 (장 로 지 전 에 진 퇴 필 공 하라)
어른과 노인의 앞에 나아가고 물러날 때는 반드시 공손히 하라
進 나아갈 진 退 물러날 퇴 恭공손공: 共(한가지공)음+心(마음심)뜻 = 恭
제목: 人倫· 道德에 관한 내용 (부부 예절)
⊙ 夫 婦 有 恩 하고 男 女 有 別 이니라 ( 부부유은 하고 남녀유별 이니라)
남편과 아내는 은혜가 있어야 하고 남자와 여자는 분별이 있어야 하느니라.
恩 은혜 은 別 분별 별
⊙ 夫 道 剛 直 하고 婦 德 柔 順 이니라 (부도강직 하고 부덕유순 이니라)
남편의 도리는 굳세고 곧아야 하고 아내의 덕은 부드럽고 순해야 하느니라.
剛 벼리 강 德 덕 덕 柔 부드러울 유 順 순할 순 溫順(온순)
柔부드러울 유 : 矛+木=柔 창은 나무에 꽂을 수 있으므로 부드럽다.
⊙ 夫 唱 婦 隨 하면 家 道 成 矣 니라( 부 창 부 수 하면 가도성의 니라)
남편이 앞장서고 아내가 따르면 집의 도리가 이루어지느니라.
唱 부를 창 隨 따를 수 矣 어조사 의
제목: 兄弟愛(형제애)에 관한 내용
⊙ 兄 弟 姉 妹 는 同 氣 而 生 이니 ( 형 제 자 매 는 동 기 이 생 이니)
형제와 자매는 같은 기운에서 태어났으니
姉 누이 자 妹 누이 매
⊙ 兄 愛 弟 敬 하야 不 敢 怒 怨 하라( 형 애 제 경 하야 불감 노원 하라)
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경하여 감히 성내거나 원망하면 아니되느니라.
愛 사랑 애 敢 감히 감 勇敢(용감) 敢行(감행) 怒 성낼 노 怒號(노호) 忿怒(분노) 怒 성낼 노 : 奴(종 노)음+心(뜻)=怒 ★ 奴 종 노 恕 용서할 서
怨 원망 원 怨恨(원한) 怨望(원망) 怨讐(원수)
⊙ 骨 肉 雖 分 이나 本 生 一 氣 요 (골 육 수 분 이나 본 생 일 기 요)
뼈와 살이 비록 나누어져 있으나 본래 한 기운에서 태어났고
肉 살 육, 고기 육 雖 비록 수
⊙ 形 體 雖 異 나 素 受 一 血 이니라( 형 체 수 이 나 소수 일혈 이니라)
몸의 모양이 비록 다르나 본래 한 피를 받았느니라.
體 몸 체 異 다를 이 變異(변이) 異變(이변) 相異(상이) 特異(특이)
素 본래 소 素質(소질) 素養(소양)
제목: 兄弟愛(형제애)에 관한 내용 2
⊙ 比 之 於 木 하면 同 根 異 枝 요 (비 지 어 목 하면 동 근 이 지 요)
나무에 비하면 뿌리는 같고 가지는 다르고
부모는 뿌리 같고 가지는 형제 같다는 뜻 입니다..
於 어조사 어 根 뿌리 근 枝 가지 지
⊙ 比 之 於 水 하면 同 源 異 流 니라 ( 비 지 어 수 하면 동원이류 니라)
물에 비하면 근원은 같고 흐름은 다르니라 부모는 샘 같고 형제는 강의 지류 같다
源 근원 원 流 흐를 류 支流(지류) 下流(하류) 上流(상류)
⊙ 兄 有 過 失 이면 和 氣 以 諫 하고 ( 형 유 과 실 이면 화기 이간 하고)
형에게 허물이 있으면 화한 기운으로써 간하고
過 허물 과, 지날 과 失 허물 실, 잃을 실 諫 간할 간 :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충고하는 것을 간한다고 함 諫言(간언) 諷諫 (풍간)
⊙ 弟 有 過 誤 면 怡 聲 以 訓 하라. (제 유 과 오 면 이 성 이 훈 하라)
아우에게 허물과 그릇됨이 있으면 화한 소리로써 가르치라
誤 그릇될 오 誤謬(오류) 正誤(정오) 誤判(오판)
怡 화할 이 聲 소리 성 音聲(음성) 聲量(성량) 高聲(고성)
⊙ 私 其 衣 食 하면 夷 狄 之 徒 니라.(사 기 의 식 하면 이적 지도 니라)
그 옷과 음식을 사사로이 하면 오랑캐의 무리이니라.
私 사사로울 사 , 私益(사익) 公私多忙(공사다망) 夷 오랑캐 이 狄 오랑캐 적
⊙ 率 先 垂 範 하면 兄 弟 亦 效 니라 ( 솔선 수 범 하면 형제 역효 니라)
솔선수범하면 오랑캐의 무리이니라.
率 거느릴 솔 , 비율 률 統率(통솔) 比率(비율) 能率(능률) 垂 드리울 수 垂直(수직) 垂線(수선) 範 법 범 模範(모범) 範圍(범위) 效 본받을 효 特效(특효) 效果(효과) 效力(효력)
⊙ 兄 弟 有 惡 이면 隱 而 勿 揚 하고 ( 형 제 유 악 이면 은이 물양 하고)
형제에게 악함이 있으면 숨기고서 드러내지 말고
隱 숨길 은 隱遁(은둔) 隱物(은물) 隱身處(은신처)
揚 드날릴 양 揚名後世(양명후세) 意氣揚揚(의기양양)
⊙ 姉 妹 有 疾 이면 憫 而 思 救 이니라 (자매 유질 이면 민이사구 이니라)
자매에게 병이 있으면 불쌍히 여겨서 구원할 것을 생각하라
憫 불쌍히여길 민 憐憫(연민) 救 구원할 구 救助(구조)
疾병질 : 병에 관한 것이므로 ?(병들녘)이 들어감
⊙ 我 有 憂 患 이면 兄 弟 亦 憂 니라 ( 아 유 우 환 이면 형제 역우 니라)
나에게 근심이 있으면 형제 또한 근심 하니라
憂 근심 우 患 근심 환 患者(환자) 病患(병환) 疾患(질환)
⊙ 我 有 歡 樂 이어든 姉 妹 亦 樂 이라(아유 환락 이어든 자매 역락 이라)
나에게 기쁨이 있으면 자매 또한 기쁘니라
歡 기쁠 환 歡樂 (환락) 哀歡(애환) 歡聲(환성) 亦또역
⊙ 父 慈 子 孝 하고 兄 友 弟 恭 하라 ( 부 자 자 효 하고 형우 제공 하라)
아버지는 사랑하고 자식은 효도하고 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손하라
慈사랑 자 慈愛(자애) 仁慈(인자) 恭공손 공: 共( 한가지 공)음+心( 마음 심)뜻 = 恭
제목: 벗 사귐에 관한 내용
⊙ 人 之 處 世 에 不 可 無 友니(인 지 처 세 에 불 가 무 우 니)
사람이 세상에 살아 갈 때에 벗이 없으면 아니되니
處 살 처 處所(처소) 傷處(상처) 居處(거처)
⊙ 交 友 之 道 는 莫 如 信 義 니라.(교 우 지 도 는 막 여 신 의 니라.)
벗을 사귀는 도리는 믿음과 의리 같음이 없느니라.
莫 없을 막 義 옳을 의
⊙ 擇 友 交 之 하면 有 所 補 益 이니라(택우 교지 하면 유소 보익 이니라)
벗을 가려서 사귀면 보태고 더하는 바가 있느니라.
擇 가릴 택 補 보탤 보 益 더할 익
⊙ 友 其 德 也 요 不 可 有 挾 이니라 (우 기 덕 야 요 불가 유협 이니라)
그 덕을 벗하고 가히 낌이 있어서는 아니되느니라.
(자기의 이익을 위한 사사로운 욕심이 끼어서는 안된다)
(德 덕 덕 挾 낄 협
⊙ 友 其 正 人 하면 我 亦 自 正 이니라 (우기정인 하면 아역 자정 이니라)
그 바른 사람을 벗하면 나 또한 저절로 바르니라.
亦 또 역
⊙ 人 無 責 友 면 易 陷 不 義 니라(인 무 책 우 면 이 함 불 의 니라)
사람에게 꾸짖어 주는 벗이 없으면 옳지 아니함에 빠지기 쉬우니라.
責 꾸짖을 책 陷 빠질 함
⊙ 厭 人 責 者 는 其 行 無 進 이니라 (염 인 책 자 는 기행 무진 이니라)
남의 꾸짖음을 싫어하는 자는 그 행실이 나아감이 없느니라.
厭 싫을 염 進 나아갈 진
⊙ 從 遊 邪 人 하면 余 亦 自 邪 니 (종 유 사 인 하면 여 역 자 사 니)
간사한 사람을 따라서 놀면 나 또한 스스로 간사해지니
從 따를 종 遊 놀 유 邪 간사할 사
⊙ 近 墨 者 黑 하고 近 朱 者 赤 이니라 (근묵자흑 하고 근주자적 이니라)
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어지고 붉은 것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붉어 지니라. 近 가까울 근 墨 먹 묵 朱 붉을 주 赤 붉을 적
⊙ 以 文 會 友 하고 以 友 輔 仁 이니라 (이문회우 하고 이우보인 이니라)
글로써 벗을 모으고 벗으로써 어짐을 도우느니라.
( 文이란 詩, 書. 禮, 樂을 말함)
會 모을 회 會議(회의) 集會(집회) 會社(회사) 輔 도울 보 輔佐(보좌) 輔弼(보필) 輔導(보도: 도와서 인도함) 輔國安民(보국안민) : 국정을 보필하여 백성을 편안히 함
⊙ 友 有 責 善 이면 臨 事 無 誤 니라 (우 유 책 선 이면 임 사 무 오 니라) 벗이 선을 권함이 있으면 일에 임하여 그릇됨이 없느니라.
責 권할 책, 맡을 책, 꾸짖을 책 責望(책망) 責任(책임) 責務(책무)
善 착할 선 善行(선행) 善政(선정) 臨 임할 림 君臨(군림) 臨戰無退(임전무퇴) 誤 그릇될 오 誤判(오판) 過誤(과오) 正誤(정오) 誤謬(오류)
⊙ 不 責 我 身 하면 諂 諛 之 人 이라 (불 책 아 신 하면 첨 유 지 인 이라) 나를 꾸짖지 아니하면 아첨하는 사람이니라.
諂아첨할 첨 諛 아첨할 유 阿諂(아첨)
⊙ 面 責 我 過 하면 剛 直 之 人 이라
(면 책 아 과 하면 강 직 지 인 이라) 내 앞에서 나를 꾸짖으면 강직한 사람이니라
過 허물 과 剛 굳셀 강 直 곧을 직
⊙ 彼 不 大 怒 하면 反 有 我 害 니라 (피 불 대 로 하면 반 유 아 해 니라) 상대방이 크게 성내지 아니하면 도리어 나에게 해가 있느니라.
彼 저 피 彼此(피차) 反 돌이킬 반 害 해로울 해
怒 성낼 노 喜怒哀樂(희로애락) 大怒(대로) 怒號(노호) 忿怒(분노)
⊙ 我 益 我 害 는 有 在 我 矣 니라 (아 익 아 해 는 유 재 아 의 니라)
나에게 이익이 되고 나에게 해로움이 되는 것은 나에게 있느니라.
益 더할 익 害 해로울 해 矣 어조사 의
⊙ 莫 窺 人 密 하고 無 道 人 過 하라 (막 규 인 밀 하고 무 도 인 과 하라) 남의 비밀을 엿보지 말고 남의 허물을 말하지 말라
窺 엿볼 규 密 빽빽할 밀 ,비밀 밀 道 말할 도, 길 도
⊙ 蓬 生 麻 中 이면 不 扶 自 直 이요 (봉 생 마 중 이면 불 부 자 직 이요) 쑥이 삼 가운데 나면 붙들지 아니해도 저절로 곧고
(즉 곧은 사람 곁에 있으면 저절로 감화되어 곧아지고)
쑥은 삼밭에 나면 곧게 삼 크기만큼 자란다
蓬 쑥 봉 麻 삼 마 扶 붙들 부
★奉 받들 봉 逢 만날 봉 峰 봉우리 봉 縫 꿰맬 봉 俸녹 봉
⊙ 白 沙 在 泥 하면 不 染 自 陋 니라 (백 사 재 니 하면 불 염 자 루 니라) 흰모래가 진흙에 있으면 물들이지 아니해도 저절로 더러워지느니라.
沙모래 사 泥진흙 니 染물들 염 陋더러울 루 沙모래 사 : 水+ 少=沙 모래는 물이 적으므로
泥진흙 니: 水 + 尼(여승 니)=泥
⊙ 知 心 而 交 하고 勿 與 面 交 하라
(지 심 이 교 하고 물 여 면 교 하라) 마음을 알고서 사귀고 얼굴과 더불어 사귀지 말라.
⊙ 居 必 擇 隣 하고 就 必 有 德 하라 (거필 택린 하고 취 필 유 덕 하라)
살 때는 반드시 이웃을 가리고 나아갈 때는 반드시 덕이 있는 자에게 나아가라.
居 살 거 擇 가릴 택 隣 이웃 린 就 나아갈 취
⊙ 勿 侮 貧 賤 하고 毋 諂 富 貴 하라 (물 모 빈 천 하고 무 첨 부 귀 하라)
가난하고 천한 사람을 업신여기지 말고 부하고 귀한 사람에게 아첨하지 말라
侮 업신여길 모 貧 가난 빈 賤 천할 천 諂 아첨할 첨 富 부자 부 貴 귀할 귀
⊙ 禍 福 無 門 에 惟 人 自 招 니라 (화 복 무 문 에 유 인 자 초 니라)
재화와 복이 문에 없음에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니라.
(開門萬福來가 아니고 자기가 한 일에 따라서 재화와 복이 온다는 뜻)
禍 재화 화 福 복 복 惟 오직 유 招 부를 초
⊙ 內 疎 外 親 하고 是 謂 不 信 이니라 (내 소 외 친 하고 시 위 불 신 이니라) 안으로 멀리하면서 밖으로 친한 척하면 이를 불신이라 이르느니라.
疎 성길 소
⊙ 有 名 無 實 이면 亦 曰 不 信 이니라 (유 명 무 실 이면 역 왈 불 신 이니라) 이름이 있으나 성실함이 없으면 또한 불신이라 말하느니라.
實 성실할 실
제목:修身에 관한 내용
⊙ 視 必 思 明 하고 聽 必 思 聰 하며 (시 필 사 명 하고 청 필 사 총 하며) 볼 때는 반드시 밝게 볼 것을 생각하고 들을 때는 반드시 밝게 들을 것을 생각하며
視 볼 시 明 밝을 명 聽 들을 청 聰 귀밝을 총 思 생각 사
⊙ 色 必 思 溫 하고 貌 必 思 恭 하며 (색 필 사 온 하고 모 필 사 공 하며) 얼굴빛은 반드시 온화함을 생각하고 용모는 반드시 공손함을 생각하며
貌 모양 모 容貌(용모) 體貌(체모) 溫 따뜻할 온 : 水물을 日해가 비치는 곳에 皿그릇에 담아 놓으면 따뜻해진다. (회의문자) 恭공손 공: 共(한가지 공)음+心(마음 심)뜻 = 恭 恭遜(공손) 恭敬(공경)
⊙ 言 必 思 忠 하고 事 必 思 敬 하며 (언 필 사 충 하고 사 필 사 경 하며) 말은 반드시 진실함을 생각하고 일은 반드시 공경함을 생각하며
忠 충성 충 敬 공경 경
⊙ 疑 必 思 問 하고 忿 必 思 難 하며 (의 필 사 문 하고 분 필 사 난 하며) 의심이 나면 반드시 물을 것을 생각하고 분이 나면 반드시 어려움을 생각하며
疑의심의 問물을 문 忿분할 분 難 어려울 난
⊙ 見 得 思 義 이니 是 謂 九 思 니라(견 득 사 의 이니 시 위 구 사 니라)
얻을 것을 볼 때는 옳음을 생각해야 하니 이를 구사라 이르느니라.
得 얻을 득
⊙ 不 敎 不 明 이니 不 知 何 行 이리오(불 교 불 명 이니 부 지 하 행 이리오) 가르치지 아니하면 밝지 아니하니 알지 못하고서 어찌 행하리오.
敎 가르칠 교 何 어찌 하
⊙ 足 容 必 重 하고 手 容 必 恭 하며(족 용 필 중 하고 수 용 필 공 하며)
발의 용모는 반드시 무겁게 하고 손의 용모는 반드시 공손하게 하며
容 용모 용 重 무거울 중 恭 공손 공: 共(한가지 공)음+心(마음 심)뜻 = 恭(형성문자)
⊙ 頭 容 必 直 하고 目 容 必 端 하며 (두 용 필 직 하고 목 용 필 단 하며) 머리의 용모는 반드시 곧게 하고 눈의 용모는 반드시 단정하게 하고
頭 머리 두 直 곧을 직 直線(직선) 正直(정직)
端 단정할 단, 끝 단 , 실마리 단 端正(단정) 末端(말단) 端緖(단서)
⊙ 口 容 必 止 하고 聲 容 必 靜 하며(구 용 필 지 하고 성 용 필 정 하며)
입의 용모는 반드시 다물고 목소리의 용모는 반드시 고요하게 하며
止 그칠 지 聲 소리 성 靜 고요할 정 靜肅(정숙) 靜寂(정적)
⊙ 氣 容 必 肅 하고 立 容 必 德 하며 (기 용 필 숙 하고 입 용 필 덕 하며) 기운(숨을 내쉬는)의 용모는 반드시 엄숙하게 하고 설 때의 용모는 반드시 덕 있게 하며
氣 기운 기 肅 엄숙할 숙 嚴肅(엄숙) 靜肅(정숙) 肅然(숙연) 德 덕 덕
⊙ 色 容 必 莊 이니 是 謂 九 容 이니라 (색 용 필 장 이니 시 위 구 용 이니라) 얼굴빛의 용모는 반드시 장엄하게 해야 하니 이것을 구용이라 이르느니라
莊 장엄할 장 莊嚴(장엄) 莊重(장중) ★ 壯 씩씩할 장 壯士(장사)
⊙ 欲 爲 君 子 인데 何 不 行 此 리오 (욕 위 군 자 인데 하 불 행 차 리오)
군자가 되고자 할 진데 어찌 이와 같이 행하지 아니하리오
⊙ 平 生 一 欺 하면 其 罪 如 山 이니라(평 생 일 기 하면 기 죄 여 산 이니라) 평생에 한 번 속이면 그 죄가 산과 같으니라
欺속일 기 詐欺(사기) 罪죄 죄 罪惡(죄악) 犯罪(범죄)
⊙ 見 善 從 之 하고 知 過 必 改 하라 (견 선 종 지 하고 지 과 필 개 하라) 선을 보면 따르고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쳐라
從 따를 종 改 고칠 개
⊙ 知 足 可 樂 이요 務 貪 則 憂 니라 (지 족 가 락 이요 무 탐 즉 우 니라) 만족함을 알면 가히 즐겁고 탐하는데 힘쓰면 곧 근심이니라
樂 즐거울 락 務 힘 쓸 무 貪 탐할 탐 憂 근심 우
⊙ 無 道 人 短 하고 毋 說 己 長 하라(무 도 인 단 하고 무 설 기 장 하라)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기의 장점을 말하지 말라
道 말할 도 , 길 도
⊙ 不 去 小 利 면 不 得 大 利 니라 (불 거 소 리 면 부 득 대 리 니라)
작은 이익을 버리지 아니하면 큰 이익을 얻지 못하니라
利 이로울 리 去 버릴 거, 갈 거
★ 不이 뒤에 오는 한자 발음이 ?이나 롁이 오면 부로 발음된다
⊙ 不 經 一 事 면 不 長 一 智 니라 (불 경 일 사 면 부 장 일 지 니 라)
한가지 일을 경험하지 아니하면 한가지 지혜가 자라지 아니하니라.
長 자랄 장 長成(장성) 成長(성장) 經 지날 경 ★輕 가벼울 경 逕 지름길 경 頸목 경
智 지혜 지 智慧(지혜 ) ★ 知 알지 知識(지식)
⊙ 元亨利貞은 天道之常이니라 (원형이정은 천도지상이니라 )
원형이정은 하늘의 도의 떳떳함이니라.
元 으뜸 원 亨 형통할 형 利 이로울 리 貞 곧을 정 常 떳떳할 상, 항상 상
⊙ 仁 義 禮 智 는 性 之 本 體 니 (인 의 예 지 는 성 지 본 체 니)
어짐과 옳음과 예의와 지혜는 성품의 본체이니 (태어나면서부터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
仁 어질 인 禮 예도 례 智 지혜 지 性 성품 성
⊙ 惻 隱 之 心 과 羞 惡 之 心 이며 (仁과 義의 端)
( 측 은 지 심 과 수 오 지 심 이며)
불쌍히 여기는 마음과 부끄러워하는 마음이며
仁에 의해서 惻隱之心이 생기며 義에 의해서 羞惡之心이 생긴다
惻 불쌍히 여길 측 惻隱(측은) 隱 불쌍히 여길 은 羞 부끄러울 수 羞恥(수치)
惡 부끄러울 오, 악할 악 嫌惡(혐오) 惡寒(오한) 惡漢(악한) 暴惡(포악)
⊙ 辭 讓 之 心 과 是 非 之 心 이니라 (禮의 智의 端) (사 양 지 심 과 시 비 지 심 이니라) 사양하는 마음과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이니라.
禮에 의해서 辭讓之心이 생기며 智에 의해서 是非之心이 생긴다.
辭 사양할 사, 말씀 사 辭讓(사양) 謙辭(겸사) 辭說(사설)
讓 사양할 양 讓步(양보) 謙讓(겸양) 是 옳을 시 非 그릇 비 是非(시비) 是非曲直(시비곡직)
⊙ 禮 義 廉 恥 는 是 謂 四 維 이니라 (예 의 염 치 는 시 위 사 유 이니라) 예의와 옳음과 청렴과 부끄러움은 이를 사유라 이르느니라
恥 부끄러울 치 恥辱(치욕) 廉恥(염치) 羞恥(수치)
廉청렴 렴 ★ 兼 겸할 겸 謙 겸손 겸 維 벼리 유 ★ 唯 대답할 유 惟 오직 유
⊙ 己 所 不 欲 을 勿 施 於 人 하라 (기 소 불 욕 을 물 시 어 인 하라)
자기가 하고자 아니하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말라
欲 하고자 할 욕 ★ 慾 욕심 욕 浴 목욕할 욕 施 베풀 시 於 어조사 어
⊙ 修 己 致 人 은 忠 恕 之 德 이니라 (수 기 치 인 은 충 서 지 덕 이니라) 몸을 닦고 남을 다스리는 것은 충성과 용서의 덕이니라.
修 닦을 수 致 다스릴 치
恕 용서할 서 : 남의 입장을 생각하여 자기 마음에 견주어 용서한다는 뜻
⊙ 讀 書 勤 儉 은 起 家 之 本 이요 (독 서 근 검 은 기 가 지 본 이요)
글을 읽고 부지런하고 검소한 것은 집을 일으키는 근본이고
讀읽을 독 書글서 勤부지런할 근, 起일어날 기
儉검소할 검 ★檢검사할 검 驗경험 험 險험할 험
⊙ 修 身 齊 家 는 治 國 之 本 이니라 (수 신 제 가 는 치 국 지 본 이니라) 몸을 닦고 집을 가지런히 하는 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니라.
修 닦을 수 齊 가지런할 제 治 다스릴 치
⊙ 立 德 之 本 은 莫 如 正 心 이니 (입 덕 지 본 은 막 여 정 심 이니)
덕을 세우는 근본은 바른 마음 같음이 없느니라.
⊙ 心 正 而 後 에 身 修 家 齊 니라 (심 정 이 후 에 신 수 가 제 니라)
마음을 바르게 한 후에 몸을 닦고 집을 가지런히 할 지니라
⊙ 積 善 之 家 에 必 有 餘 慶 이요(적 선 지 가 에 필 유 여 경 이요)
선을 쌓는 집에 반드시 남는 경사가 있고
積 쌓을 적 餘 남을 여 慶 경사 경
⊙ 積 惡 之 家 에 必 有 餘 殃 이니라 ( 적 악 지 가 에 필 유 여 앙 이니라) 악을 쌓는 집에 반드시 남는 재앙이 있느니라
殃재앙 앙
⊙ 作 事 謀 始 하고 出 言 顧 行 하라 (작 사 모 시 하고 출 언 고 행 하라) 일을 시작할 때는 반드시 처음을 꾀하고 말이
나옴에 행할 것을 돌아 보라
謀 꾀할 모 圖謀(도모) 謀略(모략) 智謀(지모) 始 처음 시 顧 돌아볼 고
⊙ 常 德 固 持 하고 然 諾 重 應 하라
(상 덕 고 지 하고 연 낙 중 응 하라)
항상 덕을 굳게 가지고 그러하여 허락할 때는 무겁게 응하라
常 항상 상 固 굳을 고 持 가질 지 然 그러할 연
諾 허락 락 許諾(허락) 應諾(응낙) 應 응할 응 反應(반응) 應答(응답)
제목:學問에 관한 내용
⊙ 始 習 文 字 에 字 劃 楷 正 하라 (시 습 문 자 에 자 획 해 정 하라)
처음 문자를 익힐 때에 글자 긋기를 곧고 바르게 하라
劃 그을 획 劃數(획수) 企劃(기획) 楷 곧을 해 楷書(해서)
⊙ 晝 耕 夜 讀 하여 手 不 釋 卷 하라 (주 경 야 독 하여 수 불 석 권 하라)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글을 읽어서 손에서 책을 놓으면 아니되느니라.
晝 낮 주 耕 갈 경 夜 밤 야 讀 읽을 독 釋 풀 석 釋放(석방) 解釋(해석)
卷 책 권 卷數(권수) 手不釋卷(수불석권)
⊙ 飽 食 煖 衣 하야 逸 居 無 敎 면 (포 식 난 의 하야 일 거 무 교 면)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옷 입어서 편안하게 살면서 가르침이 없으면
飽배부를 포 飽食(포식) 逸편안 일 安逸(안일) 居살 거 居住(거주) 住居(주거) 居留(거류)
煖따뜻할 난 : 火 + 爰 = 煖 煖房(난방) 寒暖(한란) 暖流(난류)
★ 暖 따뜻할 난 援 도울 원 敎가르칠 교 : 孝 + ? = 敎 (회의문자)
효도하는 자식을 만들려면 매로 치면서 가르쳐야 한다
⊙ 卽 近 禽 獸 일세 聖 人 憂 之 시니라 (즉 근 금 수 일세 성 인 우 지 시니라) 곧 새와 짐승과 가까움일세 성인이 근심하시니라.
卽 곧 즉 禽 새 금 獸 짐승 수 聖 성인 성 憂 근심 우
제목:스승의 은혜에 대한 주제
⊙ 紙筆硯墨은 文房四友이니라 (지필연묵은 문방사우이니라)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은 문방사우이니라.
紙 종이 지 筆 붓 필 硯 벼루 연 墨 먹 묵 房 방 방 友 벗 우
⊙ 欲 孝 父 母 인댄 何 不 敬 師 리오 (욕 효 부 모 인댄 하 불 경 사 리오) 부모님께 효도하고자 하는데 어찌 스승을 공경하지 아니하리오
敬 공경 경 師 스승 사
⊙ 事 師 如 親 하여 必 恭 必 敬 하라 (사 사 여 친 하여 필 공 필 경 하라) 스승 섬기기를 어버이 같이하여 반드시 공손하고 반드시 공경하라
恭 공손 공 : 共( 한가지 공)음+心( 마음 심)뜻 = 恭(형성문자)
⊙ 其 恩 其 德 이 亦 如 天 地 니라 (기 은 기 덕 이 역 여 천 지 니라)
그 은혜와 그 덕이 또한 하늘과 땅과 같으니라.
⊙ 問 爾 童 子 야 或 忘 師 德 가 (문 이 동 자 야 혹 망 사 덕 가)
묻노니 너 아이야 혹 스승의 덕을 잊었는가
爾 너 이 童 아이 동 或 혹 혹 ★ 惑 미혹할 혹 域 지경 역 國 나라 국
忘 잊을 망 : 亡 + 心 = 忘
⊙ 報 生 以 死 하고 報 賜 以 力 하라 (보 생 이 사 하고 보 사 이 력 하라) 낳아 주신 것 갚기를 죽음으로써 하고 주신 것 갚기를 힘으로써 하라
報 갚을 보 , 알릴 보 報恩(보은) 報復(보복) 報道(보도) 弘報(홍보)
死 죽을 사 死力(사력) 生死(생사) 賜 줄 사 喜賜(희사)
⊙ 觀 此 上 文 에 何 可 不 孝 리오 (관 차 상 문 에 하 가 불 효 리 오)
이상의 글을 보건데 어찌 가히 효도하지 아니하리오.
觀볼 관 此이 차
⊙ 能孝能悌는 莫非師恩이니라 (능효능제는 막비사은이니라)
능히 효도하고 능히 공손한 것은 스승의 은혜가 아님이 없느니라.
能능히 능 悌공손 제 師스승 사 恩은혜 은
⊙ 能和能信은 摠是師功이니라(능화능신은 총시사공이니라)
능히 화목하고 능히 믿음이 있는 것은 다 이것은 스승의 공이니라.
摠다 총 是이 시 師스승 사 恩師(은사) 功공 공 恩功(은공) 功勳(공훈) 功力(공력)
⊙ 非爾自行이라 惟師導之니라 (비이자행이라 유사도지니라)
네가 스스로 행한 것이 아니니라. 오직 스승이 인도한 것이니라.
爾 너 이 惟 오직 유 師 스승 사 導 인도할 도 敎導(교도) 引導(인도)
⊙ 師有疾病어시던 卽必藥之니라 (사유질병어시던 즉필약지니라)
스승이 질병이시거든 곧 반드시 약을 드릴지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