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밥의 재발견!>
* 찬밥이 맛이 없는 이유
: 쌀 속에 함유된 휘발성분이 시간이 지나 밥이 차가워지면
없어지기 때문
* 찬밥요리 ① 두부 볶음밥
-재료: 두부 1모, 찬밥 1공기, 오이장아찌 150g, 파 1/2대,
보리새우 2줌, 참기름, 후추, 깻잎
-조리과정
1. 두부는 행주로 물기를 짜고 으깨어 준다.
2. 오이장아찌와 파는 살짝 씻어 다져둔다.
3. 팬을 중불에 얹고 두부를 볶다가 보슬보슬해지면 참기름을 넣고 더 볶아낸다.
4. 팬을 달구어 참기름 1큰술 넣고 오이지와 파 순서로 볶다가 새우를 넣고 찬밥을 넣어 볶는다.
5. 마지막으로 두부를 넣고 간장 1과1/2작은술, 후추로 맛을 낸다.
* 두부볶음밥의 음식궁합
-> 단백질의 상호보완이 잘 된 음식!
* 서구화된 식생활은 비만, 당뇨, 고혈압, 암 등 성인병 야기한다.
그러나 쌀에는 콜레스테롤 저하, 항산화, 혈압 조절, 당뇨예방,
돌연변이 억제, 암 예방 등의 효능이 있다.
* 찬밥요리 ②한국식 조개 리조또
-재료: 산나물 80g, 조개(바지락) 10개, 백포도주 1/4컵, 마늘 1개,
양파 1/2개, 올리브오일 4큰술, 찬밥 1공기,끓는물 3컵,
치킨스탁 1개, 소금, 후추 약간, 올리브 오일 적당량
-조리과정
1. 조개는 하루 전에 구입해 소금물에 해감 시킨다.
2. 산나물은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물기를 제거하고 곱게 다져둔다.
3. 마늘은 칼로 곱게 다지고 양파는 가늘게 채썰어둔다.
4.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마늘을 볶다가 백포도주를 넣는다.
5. 끓는 물과 조개를 넣고 조개가 입을 벌리면 건져서
다른 접시에 담아둔다.
6. 조개를 끓이며 나온 육수에 찬밥과 올리브오일을 넣고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춘다.
7. 밥과 조개를 함께 버무리고 버터 1작은 술을 넣는다.
8. 산나물 다진 것을 뿌려준다.
* 한국식 조개 리조또의 음식궁합
-> 아미노산이 풍부한 조개와 라진이 부족한 쌀이 만나 찰떡궁합!
*찬밥요리 ③갱시기(찬밥과 신김치를 넣고 끓이는 경상도 특유의 음식!)
-재료: 육수용 멸치 10마리, 무, 다시마, 우엉채 30g, 신김치 1/8포기,
콩나물 100g, 찬밥 1공기, 대파 1대, 청량고추 1개, 홍고추 1개,
다진 마늘 1큰술, 새우젓, 소금, 후추
-조리과정
1. 팬에 기름 두르지 않고 볶은 멸치와 무, 다시마, 우엉채를 넣고
육수를 끓인다.
2. 신김치, 콩나물, 대파, 고추 등을 먹기 좋게 썰어준다.
3. 육수에 신김치와 콩나물을 넣고 끓이다가 찬밥, 마늘, 대파,
고추를 넣고 새우젓과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춘다.
*갱시기 음식궁합
-> 신김치와 콩나물이 비타민과 식이섬유를 보강하므로
아주 좋은 음식궁합!
* 밥은 시간이 경과하면 노화현상에 의해 밥알이 딱딱해지고,
윤기가 없어지며, 색이 누렇게 변하고 특유의 냄새가 생기는데
영하 7° 이하에서는 전분의 노화가 멈추기 때문에 밥을
냉동 보관하는 것이 더 낫다!
*찬밥 보관법
1. 밀폐용기에 보관
2. 공기를 뺀 비닐 팩에 보관
3. 냉동실에 보관
*찬밥 해동법
1. 전자레인지에 해동(1공기 당 약 1분 해동)
2. 찜통에 찌기 : 찜통에 보를 깔고 찐 후 서늘한 곳에서
찬바람을 쐬어 준다.
3. 중탕으로 데우기
*찬밥요리 ④도토리냉묵밥
-재료: 찬밥 4공기, 도토리묵무침, 무 1/5개, 설탕 1큰술, 식초 1큰술,
실파 3대, 통깨, 소금, 국물내기용 멸치 10마리, 물 3컵,
국간장 1큰술
-조리과정
1. 도토리묵은 폭 1cm, 길이 3~4cm로 썰어 참기름과 고춧가루,
다진 마늘, 소금, 설탕을 넣고 버무린다.
2. 무는 곱게 채 썰어 설탕과 식초, 소금을 넣어 무친다.
3. 실파는 뿌리를 잘라 썰어주고 멸치는 손질해 물3컵을 붓고 끓인 후
국간장과 소금으로 간해 식힌다.
4. 찬밥을 그릇에 담고 도토리묵무침과 무채, 실파, 통깨를 얹은 후
멸치국물을 2/3컵 정도 덜어 붓는다.
*찬밥과 더운밥의 영양소의 차이
-포도당은 온도에 따라 파괴되거나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찬밥과 더운밥의 영양소는 차이가 없지만 찬밥은 수분이 손실돼
꼬들꼬들할 수 있기 때문에 손실된 수분을 보충하는 조리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