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사용 관련 주요사항 안내 |
|
○ 장기요양 앱(App) 다운로드 방법 …
재가기관 : 요양요원에게 문자발송 후에는 반드시 전화하여 문자발송을 알림
요양요원 : 재가기관에서 전화를 받은 경우에만 URL주소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 스미싱(SMS+피싱): 스마트폰 문자메시지를 통해 소액결제를 유도하는 신종 금융사기
(스미싱 의심문자 수신 시 바로 삭제할 것, 홈페이지 팝업알림 참조)
【 문자 전송내용 】 [국민건강보험 장기요양] 요양요원님의 본인인증번호는 [예시)943622 ]입니다.
[요양] http://www.longtermcare.or.kr/~.jsp |
○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 알림
스마트폰은 요금제별 기본 데이터량 범위 내에서 사용가능
※ 첫 달(다운로드 포함) 약 20MB 발생, 평월(전송만 하는 월) 약 5MB 이하 발생
요금제별 기본 데이터량을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추가요금 발생할 수 있음
※ 20MB 초과사용 시 약 1,000원 발생예상 (1MB 당 약 50원)
<주의> 데이터 기본량을 제공하지 않는 요금제를 이용하시는 요양요원은 참여불가(과다요금 발생 가능)
○ (중요) 요양요원 스마트폰 전송시간 확인
리더기 전송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나, 스마트폰은 독립망으로 구성되어「스마트폰 망 → 내부전산 망」으로 USB자료 이동 후 전송내역 확인가능
※ 공단 본부에서 스마트폰 전송자료 USB로 일괄이동
【 1일 3회 자료이동 】… 09:00, 13:00, 17:00(공휴일은 제외) ㆍ전일 17:00 ~ 금일 09:00까지 전송한 자료는 9:30분 부터 확인가능 ㆍ09:00 ~ 13:00까지 전송한 자료는 13:30분 부터 확인가능 ㆍ13:00 ~ 17:00까지 전송한 자료는 17:30분 부터 확인가능 ex) 방문요양 시작 10:15 ~ 14:15(4시간) 종료한 경우 10:15분 시작전송은 13:30분, 14:15분 종료전송은 17:30분 이후 확인가능 |
○
스마트폰 자격발췌 … 재가기관(부득이한 경우에만 공단에서 처리)
스마트폰은 별도의 독립망으로 구성되어 요양요원, 수급자 등의 전산정보가「공단 내부 망 → 스마트폰 망」으로 매일 새벽5시 1회 자동으로 이동됨
따라서, 전산정보가 자동으로 이동되는 새벽시간 이후 자격 변동이 발생하고, 당일 스마트폰 전송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 자격발췌”를 하여 변경된 자격내용을 수동으로 업데이트 해야 함
【 스마트폰 자격발췌 주요 예시 】… 자격발췌 클릭 <수급자> ㆍ당일 공단에서 수급자 태그를 부착 처리한 경우 ………………… 오류코드 A9 ㆍ당일 수급자 급여내용통보서를 등록 또는 변경한 경우 ………… 오류코드 A8 <요양요원> ㆍ당일 요양요원 정보가 변경된 경우(지자체 인력등록 등) ……… 오류코드 B1, B2 <재가기관> ㆍ당일 재가기관 정보가 변경된 경우(폐업, 행정처분 등) …… 오류코드 C1, C2, C3 |
부득이한 경우 : 재가기관 담당자 부재 시 또는 장애발생 등 재가기관 확인요청 시
|
스마트폰 장애유형별 조치방법 안내(Q&A) |
|
<목 차> Ⅰ. 주요 질의사항
Ⅱ. 앱 설치 오류 Q1. URL클릭해도“연결하기”창이 뜨지 않습니다. 4 URL연결하기 클릭 시“잘못된 접근입니다.” 4 Q2. 앱 다운로드 시“DB오류가 발생합니다.” 4 Q3.“기본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5 Q4.“구문분석 오류, 패키지 분할에 실패하였습니다.” 5 Q5.“longtermcare01.apk 다운로드가 실패하였습니다.” 6
Ⅲ. 앱 실행 오류 Q1.“장기요양 앱이 중지”되었습니다. 7 Q2. 스마트폰 자격발췌 했는데 계속 오류가 발생합니다. 7 Q3. 태그인식 시 수급자 성함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7 Q4. 보안검사 진행창이 빨간색으로 나타납니다. 8 Ⅳ. 장애코드별 오류 Q1.“(A8)방문계획이 없습니다.” 9 Q2.“(A9)수급자 정보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9 Q3.“(B1)요양요원 자격이 맞지 않습니다.” 9 Q4.“(C4)소속기관이 없습니다.” 10 Q5.“(L1)등록되지 않은 휴대폰입니다.” 10 Q6.“(S2)10시간 초과서비스 하셨습니다.” 10 Q7.“(C98, C99)알 수 없는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10
∨. 기타 Q&A Q1. 비밀번호 10자리 줄여줄 수 없나요? 11 Q2. 장기요양 앱은 play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없나요? 11 Q3. 별정통신사(MVNO)도 사용 가능한가요? 11 Q4. 비밀번호 초기화했는데 문자가 발송되지 않아요. 11 Q5.“지원되지 않는 태그입니다”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12 Q6. 스마트폰 사용 시 데이터 발생이 얼마나 되나요? 12 Q7. 스마트폰도 월정액 가입해야 하나요? 12 Q8.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요금제도 사용가능 한가요? 13 Q9. 서비스 시간을 1분 부족하게 전송한 경우 어떻게 하나요? 13 Q10. 스마트폰 환경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13
Ⅵ. 별첨(NFC안테나 위치확인) 14
|
Ⅰ |
|
주요 질의사항 |
Q1 |
▶ 앱 실행 시 “연결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다시 시도해 주세요.” 라고 합니다. |
|
|
A1 |
☞ “연결이 원활하지 않습니다.”오류는 스마트폰의 데이터 통신이 원활하지 않거나 끊기는 경우 발생하는 오류로서 종료 후 다시 실행 해보시거나 또는 수급자 가정 내 전파수신이 보다 원활한 곳(창가 등)으로 이동하신 후 재실행해보시기 바랍니다. 다만, 한 명의 요양요원이 아닌 동시 다발적으로 계속해서 위 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요양요원 휴대폰 번호와 통신사, 발생시간 등을 확인하신 후 공단 관할 운영센터 및 지역본부 또는 본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Q2 |
▶ 스마트폰을 태그에 접촉해도 화면이 넘어가지 않습니다. |
|
|
A2 |
☞ 장기요양 앱이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로 휴대폰 전원을 끄셨다가 켜신 후 다시 실행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 스마트폰 본연의 휴대폰 케이스가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하신 후 분리된 경우에는 휴대폰 케이서 장착 후 다시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 NFC안테나가 일부 스마트폰에서는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음 ☞ 태그접촉 방법을 다시 한 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태그를 읽는 스마트폰의 NFC 안테나는 스마트폰 뒷면의 상ㆍ중ㆍ하단 부위에 있으므로 본인의 스마트폰 NFC안테나가 어느 쪽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하신 후 안테나가 있는 위치에 태그를 약 2~3초간 1cm정도로 가까이 대고 있으면 자동으로 인식합니다. ※ 스마트폰 NFC안테나 위치 확인방법 <별첨> 참조 ☞ 스마트폰의 소리를 최대한 높인 후 태그 접촉할 때 “띠릭”하는 소리가 나는지 확인하시어 소리가 나면 NFC기능이 정상이나 소리가 나지 않는 경우에는 NFC기능이 손상된 경우로 가까운 대리점 또는 서비스센터에 방문하여 스마트폰의 NFC기능을 점검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
Q3 |
▶ 앱 실행 후 보안검사(패턴 업데이트) 화면에서 멈춥니다. |
|
|
A3 |
☞ 스마트폰 시스템은 이동통신사의 데이터망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통신흐름이 간혹 원활하지 않거나 통신 음영지역의 경우 데이터 연결이 끊어지는 현상(화면정지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앱을 종료한 후 다시 실행해 보시거나 또는 전파수신이 보다 원활한 곳(창가 등)으로 이동하신 후 재실행해보시기 바랍니다. 다만, 한 명의 요양요원이 아닌 동시 다발적으로 여러 요양요원이 위 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요양요원 휴대폰 번호와 통신사, 발생시간 등을 확인하신 후 공단 관할 운영센터 및 지역본부 또는 본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Q4 |
▶ 모든 스마트폰에서 적용 가능한가요? 적용 가능기종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
|
|
A4 |
☞ RFID시스템 스마트폰은 모든 기종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NFC기능이 있는 스마트폰만 적용이 가능하며, 적용가능 기종 및 불가능한 기종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노인요양포탈 >> 알림자료실>> 청구심사게시판 >> 심사게시판 >> 스마트폰 기종현황 안내 |
Q5 |
▶ 스마트폰 전송을 했는데 실시간 전송화면에서 확인이 되지 않습니다. 전산오류인가요? |
|
|
A5 |
☞ 스마트폰을 통한 전송은 국가기관의 스마트폰 보안지침에 따라 공단 네트워크와 독립된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스마트폰 전산망에서 공단 내부 전산망으로 자료를 이동한 후에 확인이 가능합니다. ※ 월~금(공휴일 제외) 1일 3회 자료이동 (09:00, 13:00, 17:00) ex) 전일 오후 5시 ~ 금일 오전 9시까지 전송한 자료는 9:30분부터 확인가능 오전 9시 ~ 오후 1시까지 전송한 자료는 1:30분부터 확인가능 오후 1시 ~ 오후 5시까지 전송한 자료는 5:30분부터 확인가능 |
Q6 |
▶ “(X6)인증번호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
|
|
A6 |
☞ “(X6)인증번호 오류”는 이미 인증번호를 한번 사용한 경우 발생하는 오류로서 소속 기관에 비밀번호 초기화를 요청한 후 재설치 하시기 바라며, 비밀번호를 초기화한 경우에는 임시비밀번호 6자리가 요양요원 스마트폰으로 발송됩니다. |
Q7 |
▶ “(A7)계약정보가 없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
|
|
A7 |
☞ “(A7)계약정보 오류“는 재가기관과 수급자 간의 계약정보가 없는 경우 발생하는 오류로서 재가기관은 해당 수급자의 급여종류별 계약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라며, 당일 급여계약이 변경된 경우에는 해당 ”요양요원 스마트폰 자격발췌“를 클릭하신 후 전송하시기 바랍니다. (스마트폰 자격발췌 클릭 후 약 10여분 후 전송) ☞ 특히, 계약된 급여종별과 다른 서비스를 전송할 경우에는 해당 급여 계약정보가 없어 오류가 발생하므로 계약된 서비스를 확인하시고 전송하시기 바랍니다. ex) 수급자 급여계약: 방문요양, 서비스 전송: 방문목욕 또는 방문간호 전송 ⇨ 오류코드 “A7(계약정보 없음)” 오류 발생 |
Ⅱ |
|
앱 설치 오류 |
Q1 |
▶ 문자로 발송된 URL주소를 클릭해도 “URL연결하기” 창이 뜨지 않아 설치를 할 수 없습니다. ▶ “URL연결하기”를 클릭하면 “잘못된 접근입니다” 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 ||||||||||||||||||
|
| ||||||||||||||||||
A1 |
☞ URL연결하기를 통한 설치가 되지 않는 상황으로 문자의 URL주소를 복사해서 인터넷이나 네이버 등의 URL입력 창에 붙여넣기 하여 설치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설치방법>
|
Q2 |
▶ 앱 다운로드 시 “DB오류, 용량이 너무 커서 읽을 수 없습니다.” | ||||||||||||||
|
| ||||||||||||||
A2 |
☞ 본인인증 앱을 다운로드 받았으나 .apk파일 설치가 되지 않는 상황으로 스마트폰 다운로드 메뉴에 들어가서 직접 앱을 클릭하여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 앱스 > 내파일(파일 관리자) > 모든파일 > 다운로드(Download) > 임시 longtermcare01 <설치방법>
|
Q3 |
▶ 본인인증번호 입력 시 “기본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재시도 해주세요” | ||||||||||||||
|
| ||||||||||||||
A3 |
☞ 앱 설치 시 해당 휴대폰 번호 등의 기본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발생한 오류로 휴대폰에서 본인의 번호가 “알 수 없음”으로 되어있는 경우 USIM등록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해당 통신사 고객센터(114)나 대리점을 방문하여 등록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휴대폰 등록 후에는 전원을 한번 껐다가 다시 켜신 후 앱 설치를 하시기 바랍니다. ※ 환경설정 > 디바이스 정보(휴대폰 정보) > 상태 > 내 전화번호 확인 <확인방법>
|
Q4 |
▶ 앱 설치 시 “구문분석오류, 패키지 분할에 실패하였습니다.”라고 합니다. | ||||||||||||||
|
| ||||||||||||||
A4 |
☞ 구문분석 오류는 소지하고 계신 휴대폰의 OS버전이 하위버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로 가까운 대리점 또는 서비스센터를 방문하여 2.3.3버전 이상으로 업데이트를 받은 후 앱을 설치해보시기 바랍니다. ※ 장기요양 앱은 안드로이드 2.3.3(진저브레드) 이상 버전에서 다운로드 가능
☞ 2.3.3버전 이상인 휴대폰에서 구문분석 오류(패키지 분할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직접 앱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확인방법>
|
Q5 |
▶ “longtermcare01.apk 다운로드가 실패하였습니다.”라고 합니다. | ||||||||||||||||||
|
| ||||||||||||||||||
A5 |
☞ (인터넷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확인) 스마트폰에 SD카드가 장착되어진 경우 파일저장 기본설정이 “SD카드”로 되어있는지 확인하신 후 기본저장위치를 “디바이스”로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확인방법>
☞ 또는 스마트폰이 .apk(확장자명) 파일을 다운로드 받지 못하는 것으로 플레이 스토어 등 마켓에서 “파일 다운로드” 앱을 설치하신 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play스토어 클릭 / 검색 “파일관리자”/ 앱 설치 / 문자 URL 클릭 |
Ⅲ |
|
앱 실행 오류 |
Q1 |
▶ “장기요양 앱이 중지되었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 |
|
| |
A1 |
☞ 앱 메모리가 부족하거나 실행 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로 “확인” 후 재실행하시기 바라며, 접속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폰 전원을 끄셨다가 켜신 후 다시 실행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
Q2 |
▶ 스마트폰 자격발췌를 클릭했는데 오류가 계속 발생합니다. ex) A8(방문계획), A9(태그부착), C4(소속기관) 등 오류 |
|
|
A2 |
☞ 스마트폰 자격발췌를 클릭한 경우 공단 내부 전산간의 업데이트는 약 10여분 소요되므로 해당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ex) 요양요원 스마트폰 등록 13:30분, 자격발췌 업데이트 13:40분 |
Q3 |
▶ 태그 인식 시 수급자 성함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
|
|
A3 |
☞ 스마트폰은 수급자 태그인식 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수급자의 성함의 가운데 한 글자를 O로 나타내고 있어 자칫 다른 수급자로 오인할 수 있습니다. ex) 이현순 → 이O순, 이갑순 → 이O순, 김병준 → 김O준 등 따라서, 재가기관은 전산화면에서 전송된 수급자 내역을 확인하신 후 일치할 경우 위 사항을 요양요원에게 안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산에서는 실제 전송된 수급자 성함 확인가능함) |
Q4 |
▶ 보안검사 진행창이 빨간색으로 나타나고 앱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 |
|
| |
A4 |
☞ 보안검사 진행창이 아래와 같이 빨간색으로 나타나고 앱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의 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Ⅳ |
|
장애코드별 오류 |
Q1 |
▶ “(A8)방문계획이 없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
|
|
A1 |
☞ “(A8)방문계획 오류”는 해당 수급자-요양요원 급여내용통보서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 오류로서 재가기관은 급여내용통보서 등록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라며, 당일 급여계약이 변경된 경우에는 해당 요양요원 스마트폰 자격발췌를 클릭하신 후 전송하시기 바랍니다.(스마트폰 자격발췌 클릭 후 약 10여분 후) |
Q2 |
▶ “(A9)수급자 정보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
|
|
A2 |
☞ “(A9)수급자 정보오류”는 수급자 가정에 부착된 태그가 공단 전산에 “부착” 상태로 처리되기 전에 태그를 인식한 경우 발생하는 오류로서 재가기관은 해당 수급자의 태그처리 상태를 공단에 확인하시기 바라며, 당일 태그가 부착된 수급자를 서비스하는 경우에는 해당 요양요원의 스마트폰 자격발췌를 클릭하신 후 전송하시기 바랍니다.(스마트폰 자격발췌 클릭 후 약 10여분 후) |
Q3 |
▶ “(B1)요양요원 자격이 맞지 않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
|
|
A3 |
☞ “(B1)요양요원 자격오류”는 요양요원이 해당 재가기관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오류로서 재가기관은 해당 요양요원의 급여종별로 인력신고(입사일자 및 근무시작일) 여부를 확인하신 후 전송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B1)오류는 요양요원 자격등급(1,2등급)과 맞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발생하기도 하므로 재가기관은 해당 요양요원의 자격등급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
구분 |
방문요양 |
방문목욕 |
요양요원 1급 |
신체활동 및 일상생활 지원서비스 |
O |
요양요원 2급 |
일상생활 지원서비스(신체활동 제외) |
X |
※ 현재는 자격등급 단일등급으로 통합 … 노인복지법 개정(‘10.4.26) |
Q4 |
▶ “(C4)소속기관이 없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
|
|
A4 |
☞ “(C4)소속기관 오류”는 해당 요양요원이 재가기관에 스마트폰 사용으로 등록 되지 않은 경우(타기관사용중, 미사용) 발생하는 오류로서 재가기관은 전산화면에서 요양요원 “스마트폰 앱 사용” 등록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라며, 만일 요양요원인 “타기관사용중”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을 클릭하시어 해당 기관에 “사용 중”으로 등록하신 후 전송하시기 바랍니다. ※ 노인요양포탈 > 재가급여 홈페이지 > 재가기관 관리 > 스마트폰 관리 > 스마트폰 사용 저장 |
Q5 |
▶ “(L1)등록되지 않은 휴대폰입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
|
|
A5 |
☞ “(L1)휴대폰 등록 오류”는 해당 요양요원의 휴대폰(스마트폰)번호가 전산에 등록되어있지 않거나 앱을 해지한 상태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로서 재가기관은 해당 요양요원의 스마트폰 등록 (스마트폰 앱 사용)여부를 확인하신 후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등록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노인요양포탈 > 재가급여 홈페이지 > 재가기관 관리 > 스마트폰 관리 > 스마트폰 사용 저장 |
Q6 |
▶ “(S2)10시간 초과 서비스 하셨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
|
|
A6 |
☞ “(S2)10시간 초과오류“는 동일 수급자에 대해 시작전송을 한 후 10시간을 초과하여 종료전송을 하는 경우 발생하는 오류로서 ”확인“을 클릭하여 이전 서비스를 종료하고(클릭과 함께 자동 종료되며, 미승인 처리됨) 다시 태그를 접촉한 후 시작전송을 하시기 바랍니다. (급여제공기록지 수기작성) |
Q7 |
▶ “(C98, C99)알 수 없는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라고 합니다. |
|
|
A7 |
☞ (C98, C99)오류는 서버장애 등으로 발생하는 오류로 위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요양요원의 휴대폰 번호와 통신사, 발생시간 등을 확인하신 후 공단 관할 운영센터 및 지역본부 또는 본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Ⅴ |
|
기타 Q&A |
Q1 |
▶ 비밀번호 10자리가 길고 외우기 힘듭니다. 짧게 줄여주실 수 없나요? 혹은 자동 로그인 기능을 만들어 주시면 안 되나요? |
|
|
A1 |
☞ 비밀번호 입력은 국가기관의 스마트폰 보안지침에 따라 정해진 사항으로 영문과 숫자를 포함하여 10~15자리 이하로 사용하여야 하며, 자동 로그인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Q2 |
▶ 장기요양 앱은 왜 Play스토어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없나요? 꼭 문자를 통해서만 다운로드를 해야 하나요? |
|
|
A2 |
☞ 앱 다운로드는 국가기관의 보안성 스마트폰 보안지침에 따라 다중 접근이 가능한 사이트(Play스토어)에서 설치가 제한되어 특정 요양요원에게만 문자를 통한 URL접속방식으로 스마트폰 보안을 강화한 것입니다. |
Q3 |
▶ 별정통신사(MVNO)도 사용이 가능한가요? |
|
|
A3 |
☞ 별정통신사도 기본 데이터량을 제공하는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 참여가 가능합니다. ※ 별정통신사(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로 주파수를 보유하고 있는 이동통신망사업자의 네트워크 망을 임대하여 독자적인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ex) 온세텔레콤, CJ헬로비전, 에넥스텔레콤, 한국케이블텔레콤(KCT) 등 |
Q4 |
▶ 비밀번호 초기화를 했는데 문자가 발송되지 않고 있습니다. 왜 그런가요? |
|
|
A4 |
☞ 요양요원 스마트폰 등록을 하거나 비밀번호 초기화 시에는 해당 요양요원 휴대폰으로 문자가 발송되나 일시에 발송건수가 집중될 경우 간혹 발송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10분 후에 다시 작업을 실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 다시 초기화를 해도 문자가 계속 발송되지 않을 경우에는 요양요원 휴대폰에 스미싱 방지 어플 등이 설치되어 1577-1000번 문자를 차단하는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휴대폰 어플을 확인하여 차단기능을 일시 해제한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Q5 |
▶ 사용가능 기종인데 태그 접촉 시 “지원되지 않는 태그입니다.”라고 뜹니다. | ||||||||
|
| ||||||||
A5 |
☞ 삼성 갤럭시S4 이후 출시(2013.4월)된 최신 스마트폰의 경우 기존에 부착된 태그와 호환이 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로서 현재 호환이 가능한 신규태그를 개발ㆍ제작 중에 있으며, 해당 스마트폰은 신규태그가 부착되는 ‘14.1월부터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울러, 그 외 스마트폰은 계속해서 기존의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13.4월 이후 출시된 최신 스마트폰(‘13.11월 기준)
|
Q6 |
▶ 장기요양 앱 사용 시 데이터는 얼마나 발생되나요? |
|
|
A6 |
☞ 앱을 다운로드 받는 첫 달에는 약 20MB정도 발생되며, 전송만하는 평월에는 약 5MB 정도 발생됩니다. ※ 1일 1회(시작-종료) 기준 25일 사용 시 약 3.5MB 발생 단, 기본 데이터를 초과 사용할 경우에는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5MB초과 시 약 250원, 20MB초과 시 약 1천원 추가발생 예상 (1MB당 약 50원) <알림> 데이터 기본량을 제공하지 않는 요금제 사용자는 참여불가 (사용 시 요금 과다발생 가능) |
Q7 |
▶ 스마트폰도 월정액을 가입하고 사용해야 하나요? |
|
|
A7 |
☞ 스마트폰은 별도의 월정액 가입 없이 요금제별로 할당된 데이터량을 사용하므로 데이터량 범위 내에서 이용하시면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요금제별로 할당된 데이터기본량을 초과하여 사용하시면 요금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으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Q8 |
▶ 스마트폰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요금제도 이용이 가능한가요? |
|
|
A8 |
☞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요금제를 사용하는 요양요원은 참여할 수 없습니다. (사용 시 요금 과다 발생 가능) ex) 표준요금제(11,000원 등), 일반요금제 등 |
Q9 |
▶ 서비스 시간을 1분 부족하게 전송한 경우 어떻게 하나요? | ||
|
| ||
A9 |
☞ 스마트폰 전송은 1분 단위로 전송이 가능하므로 1분을 부족하게 전송한 경우에는 서비스 시작전송 후 부족한 시간만큼 수급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 후 서비스 종료전송을 다시 하실 수 있습니다. ex) 급여계획: 120분, 서비스 제공: 119분 전송한 경우 다시 한 번, 서비스 시작전송하고 1~30분 후 서비스 종료전송 <Tip>
|
Q10 |
▶ 스마트폰 환경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
|
|
A10 |
☞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음의 환경설정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① 앱 다운로드 전 스마트폰 “알 수 없는 소스(출처)” 허용 ② 스마트폰 “NFC 및 읽기/쓰기 사용” 허용 ③ 스마트폰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허용 환경설정 방법은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노인요양포탈 / 재가급여전자관리홈페이지 / 알림마당 / 자료실 / 27번(스마트폰 설정 가이드) ※ 노인요양포탈 / 알림자료실 / 청구심사게시판 / 심사게시판 / 67번(스마트폰 기종현황 안내) |
Ⅵ. 별첨 |
|
NFC 구성 및 안테나 확인방법 |
NFC 구성요소
※ NFC 전송은 NFC칩 + 안테나가 반드시 필요함 |
NFC안테나 확인방법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된 경우 … 사각형 플라스틱 판+금속단자
휴대폰 케이스 분리 |
|
케이스 안쪽 면에 안테나 확인 |
|
|
|
휴대폰 배터리에 내장된 경우 … 배터리에 NFC 표시확인
휴대폰 케이스 분리 |
|
배터리 표면에 NFC 확인 |
|
|
|
※ 태그 접촉 시 스마트폰의 NFC안테나가 위치한 쪽으로 태그를 대면 인식이 잘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