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 받을어음 1,000,000을 은행에 할인하여 현금850,000을 받은 경우 차) 현금 850,000 대) 받을어음 1,000,000 매출채권처분손실 150,000 |
2) 차입거래로 보는 경우
매출채권의 할인을 차입으로 보는 입장이다.
5절 대손충당금
1) 대손인식방법
(1) 직접상각법
대손시에 대손상각비로 처리하고 기말에는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지 않는 방법이다.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인정하지 않는 방법이다.
(2) 충당금법
기말에 대손상각비와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대손시에는 대손충당금과 상계하는 방법이다.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충당금법을 인정하고 있다. 충당금법에는 손익계산서접근법(매출액비율법)과 대차대조표접근법(매출채권잔액비례법, 연령분석법)이 있다.
2) 대손상각비의 인식
기말에 매출채권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대손상각비(판관비)를 인식한다.
대여금이나 미수금등 일반적인 상거래 이외의 채권에 대해서는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기타의 대손상각비(영업외비용)를 인식한다.
기업회계기준에서는 대손예상액에서 충당금잔액을 차감하여 보충법을 사용하여 부족한 잔액에 대해 충당금을 설정하고 있다.
기말대손충당금 잔액이 대손예상액보다 많으면 대손충당금을 환입해야 한다.
그리고, 대손충당금은 매출채권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한다.
대손충당금 설정액= 기말 매출채권잔액×대손예상율 -기말 대손충당금잔액 (만약, 위 금액이 -가 나오면 그 금액을 환입시킨다.) |
예) 기말매출채권 잔액이 10,000,000이고 대손예상율이 1%인 경우 12.31의 분개는? ① 대손충당금 잔액이 80,000 인 경우 10,000,000×1%-80,000=20,000이므로 20,000 만큼 대손충당금 설정. 12.31: 차) 대손상각비 20,000 대) 대손충당금 20,000
② 대손충당금 잔액이 130,000인 경우 10,000,000×1%-130,000= -30,000 이므로 30,000 만큼 대손충당금 환입. 12.31: 차) 대손충당금 30,000 대) 대손충당금 환입 30,000 |
3) 대손상각시 처리
대손시에는 대손충당금으로 매출채권 등을 상계처리 한다. 다만 대손충당금잔액이 부족한 경우에는 대손상각비로 처리한다.
예) 1월 20일 외상매출금 100,000이 회수불가능 하게 된 경우 ① 대손충당금잔액이 150,000인 경우 대손충당금이 충분하므로 대손충당금으로 상계한다. 1월 20일: 차) 대손충당금 100,000 대) 외상매출금 100,000
② 대손충당금 잔액이 60,000인 경우 대손충당금이 부족하므로 차액은 대손상각비로 처리한다. 1월 20일: 차) 대손충당금 60,000 대) 외상매출금 100,000 대손상각비 40,000 |
4) 대손된 채권의 회수시 처리
전기이전에 대손처리 됐던 채권이 회수되는 경우 대손충당금을 증가시킨다.
예) 2005년 2월 12일에 전기에 대손처리했던 외상매출금 300,000을 현금으로 회수했다. 차) 현금 300,000 대) 대손충당금 300,000
|
당기에 대손처리한 채권이 회수되는 경우 대손충당금으로 상계했으면 대손충당금을 증가시키고, 대손상각비로 상계했으면 대손상각비를 취소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