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타더{Retarder}란:"지연시키다"는 의미로 차량을 감속하는 장치를 말한다.
▶차량 하중의 증대 및 차량의 고성능화.도로의 시설에 따라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로인해 서비스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열에 의한 부담이 자연적으로 증가되어 브레이크 페이드현상으로
위급한 상황에 대처하기 어렵게 된다.
이런 이유로 리타더 시스템과 같이 제3의 브레이크가 연구되어 오고 있으며 유럽 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인타더{Intarder}란: ZF사 Integrated retarder 의 약자로 변속기 내부에 로터와 스테이터를 장착하여
유압에 의해 추진축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고성능의 제동 효과로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으로 PY{버스} GV{트럭}에 옵션으로 장착되고 있다.
▶특징
1.차량의 속도가 2배가 되면 4배로 증가한 운동 에너지가 제동열로 변환되어 많은 문제점을 야기 시키므로
브레이크 온도가 높아지면 마찰계수는 급격하게 저하되고,마찰재는 빠르게 마모 되어 제동 안정성을 상실하고
마모 수명이 줄어든다.
2.제동시 80~90%를 리타더가 담당할 수 있다.
3.운전자와 차량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4.주 브레이크가 항상 상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비상시에 100%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다
5.제동 성능이 우수하다.
6.차량 평균 속도가 증가한다.
7.운전자의 스트레스가 해소된다.
8.제동거리가 25% 정도 단축된다.
▶적용 효과
1.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디스크의 수명이 4~6배 정도 증가되고 최고 10배 정도의 수명증가로 정비 비용 절감
2.정비을 위한 운휴시간이 단축되므로 차량 가동율이 증대된다
3.제동충격이 없이 부드러운 제동감을 제공 한다
4.제동 소음이 저감된다
5.항상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수 있다
■ 시스템 구성
▶작동 스위치 →ECU→변속기 →어큐뮬레이터→오일냉각기 →리타더
●작동원리: 1.운전자의 신호에 의해 ECU는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하여 리타더 내부의 스테이터와 로터에 오일을
압송하여 두개의 서로 다른 날개 형상을 가진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오일에 의한 저항으로 차속을
감속하게 된다
2.리타더는 리타더 출력기어를 통하여 1:2의 기어비로 변속기 출력축으로 연결된다
3.열교환기는 리타더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며,리타더 및 변속기 내부의 오일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한다
4.어큐물레이터는 리타더 작동시 신속한 반응이 가능이 가능하게 한다
5.리타더와 변속기는 동일한 유압 라인을 이용하며 리타더가 작동되면 오일은 변속기로부터 분릴되어 리타더와
열교환기 사이에서 순환한다
6.리타더가 해제되면 변속기 오일은 펌프에의해 열교환기로 압송된다
※로터와 스테이터:장착위치 리타더 내부 (기능:서로반대 방향의 형상을 가진 날개 사이에 오일이 작용하여
리타더 작동시 감속이 이루어 진다)
●작동구간;전속도 구간
●비작동 구간; 가속페달 작동시{클러치 작동시 리타더 작동됨}
●냉각수 온도가 상승되어 105C 이상이 되면 엔진 및 리타더의 보호를 위하여 ECU는 리타더의 작동을
차단하고 일정온도 이상시 한단계식 점차적으로 낮은 단수에 치합되게 한다.
●리타더 작동시는 크로즈가 해제된다.
●리타더는 리타더 출력 기어를 통하여 1:2의 기어비로 변속기로 출력축으로 연결된다.
●열교환기는 리타더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며 리타더 및 변속기 내부의 오일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한다
●리타더와 변속기는 동일한 유압 라인을 이용하며 리타더가 작동되면 오일은 변속기로부터 분리되어 리타더와 열교환기
사이에서 순환한다
●리타더가 해제되면 변속기 오일은 펌프에 의해 열교환기로 압송된다.
▶냉각 시스템
●제동력은 열교환기를 통하여 엔진 냉각수로 출력이 되므로 엔진에과열을 방지 해야 한다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제동 토크가 된다.
●만약냉각수의 온도가 초과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리타더의 감속력이 제어된다
●리타더의 또다른 특징은 변속기 오일을 같이사용하고 있다
▶ 운전요령
▷ 차량 시동 스위치를 ON 하면 약 3초간 리타더 파일럿 램프가 자동 후 꺼짐.
그러나 리타더 작동시에는 지속적으로 램프는 켜지고 리타더가 OFF되면 램프는 꺼짐.
(계속 램프가 깜박일 경우 고장임)
▷ 출발시에는 기어 단수를 가능한 1단으로 출발 할것 (클러치 수명 증대)
▷ 변속시에는 클러치 페달을 끝까지 밟고 기어를 넣을것.
▷ 내리막길 주행시 기어 중립으로 하지 마시고 엔진 RPM을 1600 이상으로 유지.[냉각 성능 유지]
▷ 리타더 핸드 레버는 주행시에는 주행중 반드시 OFF 위치에 두시고 감속이 필요시에는 적절한 단수의
수준으로 사용
[레버 단수가 올라갈수록 브레이크 토크는 증대 됩니다]
▷ 내리막길에서 일정 속도 주행을 원할때 리타더 핸드 레버를 1단으로 옮기면 그때 속도가 기억되여
자동 주행됩니다.해제시에는 리타더 핸드 레버를 OFF 할 것[브렘소마트 가능]
▷ 빙판길 또는 젖은 도로에서 리타더 사용시 ABS 가 없는 차량에서는 주의를 요함.[미끄럼 주의]
그러나 ABS 가 있는 차량의 경우 ABS 작동시에는 리타더 차단.
▶ 주의 사항
▷ 리타더는 클러치를 밟아도 해제가 되지 않는다.
▷ 운전 습관이 연비와 직결되므로 OFF 로 주행하고 필요시 만 작동할것.
▷ 냉각수 온도가 105℃ 이상이되면 리타더는 작동하지 않는다.
▷ 중립에서도 작동하지만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작동시에는 반드시 기어가 각단에 있을것.
중립시는 아이들 RPM 이므로 냉각 팬이 늦게 회전하고 변속기 냉각도 안됨
▷ 가속 페달이나 ABS 작동시는 리타터가 작동하지 않는다.
▷ 차종별로 오일량이 틀리므로 주행 테스트 실시 후 반드시 오일량 확인할 것.
▷ 전기 용접시는
- 반드시 배터리 단자를 탈거 할 것.
- ECU 커넥터는 반드시 탈거 할 것.
- 용접시 어스는 용접부의 가장 가까이 확실하게 고정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