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자인 형식 디자인 요소 |
평면유니트(P) |
입체유니트(S) | |||||
기본 (Pb) |
확대 (Pm) |
네거티브(Pn) |
기본 (Sb) |
확대 (Sm) |
네거티브(Sn) | ||
한국어 |
고딕 |
Pbk1 |
Pmk1 |
Pnk1 |
Sbk1 |
Smk1 |
Snk1 |
명조 |
Pbk2 |
Pmk2 |
Pnk2 |
Sbk2 |
Smk2 |
Snk2 | |
해서 |
Pbk3 |
Pmk3 |
Pnk3 |
Sbk3 |
Smk3 |
Snk3 | |
중국어 |
고딕 |
Pbc1 |
Pmc1 |
Pnc1 |
Sbc1 |
Smc1 |
Snc1 |
명조 |
Pbc2 |
Pmc2 |
Pnc2 |
Sbc2 |
Smc2 |
Snc2 | |
해서 |
Pbc3 |
Pmc3 |
Pnc3 |
Sbc3 |
Smc3 |
Snc3 | |
일본어 |
고딕 |
Pbj1 |
Pmj1 |
Pnj1 |
Sbj1 |
Smj1 |
Snj1 |
명조 |
Pbj2 |
Pmj2 |
Pnj2 |
Sbj2 |
Smj2 |
Snj2 | |
해서 |
Pbj3 |
Pmj3 |
Pnj3 |
Sbj3 |
Smj3 |
Snj3 |
※기호 Pbk1은, 평면유니트의 기본스타일(Pb)+한국어(k)+고딕서체(1)를 의미함.
※표내의 회색배경(18개)은 시제품으로 사용할 기호를 나타냄.
Ⅲ.2.2. 문자패턴의 제작 및 전개
문자패턴은 Table 1과 같이 디자인 요소와 디자인 형식의 대응을 통해 생성한 54개의 유니트를 이용하여 사방연속으로 전개시킴과 동시에 크기를 조정하는 등의 조작을 통해 최종적으로 문자패턴을 완성하였다. 결과물 중 시제품으로 구성할 18가지(Table 1내의 회색배경의 기호)를 평면 및 입체유니트로 구분하여 Fig. 8, 9와 같이 제시하였다.
(Pbk1)
(Pbc1)
(Pbj1)
(Pmk2)
(Pmc2)
(Pmj2)
(Pnk3)
(Pnc3)
(Pnj3)
Fig. 8. 평면유니트 기반의 문자패턴 샘플
(Sbk1)
(Sbc1)
(Sbj1)
(Smk2)
(Smc2)
(Smj2)
(Snk3)
(Snc3)
(Snj3)
Fig. 9. 입체유니트 기반의 문자패턴 샘플
Ⅲ.3. 디자인 결과
앞에서 제시된 18가지의 문자패턴을 이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였다(Fig. 10). 시제품은 누구에게나 친숙한 여성의류 3종류를 선정하여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구현한 것이다(사용 프로그램, Adobe Photoshop CS3).
(의류 A)
(의류 B) (의류 C)
Fig. 10. 문자패턴을 이용한 시제품 일부
Ⅳ. 문자패턴의 이미지 조사와 분석
Ⅳ.1. 조사개요
Ⅳ.1.1. 목적
조사의 목적은 문자와 경상을 접목하여 개발한 문자패턴이 아시아적 문화 이해 및 확산을 위한 효과적인 시각이미지인가를 밝히는데 있다.
Ⅳ.1.2. 조사대상 및 방법
조사용 자극은 18가지 시제품으로 Table. 2와 같이 구성하였다. 시제품은 3종류의 여성의류에 평면 및 입체유니트의 대표적인 문자패턴 9종을 각각 적용한 것이다. 또한 각 유니트에는 기본스타일과 확대스타일, 그리고 네거티브스타일 등을 골고루 분포시켜 시각적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Table 2. 조사용 자극의 구성
자극 |
문자패턴 | |
S_1 |
의류 A |
기본스타일한글고딕(Pbk1) |
S_2 |
확대스타일한글명조(Pmk2) | |
S_3 |
네거티브스타일한글해서(Pnk3) | |
S_4 |
의류 B |
기본스타일한자고딕(Pbc1) |
S_5 |
확대스타일한자명조(Pmc2) | |
S_6 |
네거티브스타일한자해서(Pnc3) | |
S_7 |
의류 C |
기본스타일일어고딕(Pbj1) |
S_8 |
확대스타일일어명조(Pmj2) | |
S_9 |
네거티브스타일일어해서(Pnj3) | |
S_10 |
의류 A |
기본스타일한글고딕(Sbk1) |
S_11 |
확대스타일한글명조(Smk2) | |
S_12 |
네거티브스타일한글해서(Snk3) | |
S_13 |
의류 B |
기본스타일한자고딕(Sbc1) |
S_14 |
확대스타일한자명조(Smc2) | |
S_15 |
네거티브스타일한자해서(Snc3) | |
S_16 |
의류 C |
기본스타일일어고딕(Sbj1) |
S_17 |
확대스타일일어명조(Smj2) | |
S_18 |
네거티브스타일일어해서(Snj3) |
한편, 색채는 시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여기서는 색채를 배제한 형태적 인상에 대해서만 검토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자극은 무채색계열로만 제작하였다.
조사내용은 Table 3과같이 6항목의 평가어를 척도로 활용하였다. 참신성, 지역성, 친근감, 현대성, 흥미성, 세계성 등 여섯 가지의 평가어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했던 것으로 연구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그대로 채용하여 사용하였다.
Table 3. 평가척도
문항 |
평가어 |
의도 |
Q_1 |
참신성 |
독창적이고 새로운 느낌이 드는 문자패턴인가? |
Q_2 |
지역성 |
동양적, 또는 아시아적 느낌이 드는 문자패턴인가? |
Q_3 |
친근감 |
문자의 의미나 내용과 상관없이 친근감이 드는 문자패턴인가? |
Q_4 |
현대성 |
현대적 트렌드에 맞는 문자패턴인가? |
Q_5 |
흥미성 |
구매를 자극할 정도로 흥미로운 문자패턴인가? |
Q_6 |
세계성 |
세계인에게 어필할 수 있는 문자패턴인가? |
조사방법은 조사원과 일대일 대면조사를 통해 이루어 졌고, 피험자에게는 각각의 평가어 마다 제시된 18개의 자극을 보면서 5단계 평가법을 적용해 평가토록 하였다. 피험자는 한국 대학생 50명과 중국인 유학생 23명으로 총 73명이 참가했다. 조사기간은 2009년 3월 15일부터 보름간 실시했다.
Ⅳ.2. 조사결과
결과는 6항목 평가척도에 대한 피험자의 국적별 평균점수(평가치)를 계산하여 제시하였다(Table 4).
Table 4. 국가별 평가척도의 평균점수(평가치)
(한국 피험자)
구분 |
참신성 |
지역성 |
친근감 |
현대성 |
호감도 |
세계성 |
S_1 |
3.6 |
3.2 |
3.4 |
3.7 |
2.8 |
3.2 |
S_2 |
3.6 |
2.7 |
2.8 |
3.5 |
3 |
2.9 |
S_3 |
3.9 |
3.2 |
3.5 |
3.8 |
3.8 |
3.3 |
S_4 |
3.5 |
3.8 |
3.2 |
3.3 |
2.8 |
3.6 |
S_5 |
4 |
4.1 |
3.3 |
3.5 |
3.2 |
3.7 |
S_6 |
4.1 |
3.4 |
3.5 |
3.8 |
3.6 |
3.6 |
S_7 |
3.9 |
4.2 |
3.6 |
3.7 |
3.7 |
3.8 |
S_8 |
3.6 |
3.2 |
3.3 |
3.2 |
3.3 |
3.1 |
S_9 |
3.6 |
2.9 |
3.1 |
3.4 |
3.1 |
3.1 |
S_10 |
4.1 |
4.6 |
3.3 |
3.3 |
2.7 |
3.5 |
S_11 |
4.4 |
3.7 |
3.7 |
3.9 |
3.7 |
3.7 |
S_12 |
3.8 |
3.8 |
3.3 |
3.5 |
3.2 |
3.4 |
S_13 |
3.5 |
4 |
3.2 |
3.1 |
2.8 |
3.4 |
S_14 |
3.9 |
3.8 |
2.8 |
3.4 |
3 |
3.4 |
S_15 |
3.6 |
4 |
2.8 |
3.1 |
2.9 |
3.3 |
S_16 |
4.1 |
4.1 |
3.5 |
3.7 |
3.7 |
3.7 |
S_17 |
3.5 |
2.9 |
3 |
3.3 |
2.9 |
3 |
S_18 |
3.6 |
3.2 |
2.9 |
3.4 |
3 |
3.2 |
평균 |
3.79 |
3.60 |
3.23 |
3.48 |
3.18 |
3.38 |
(중국 피험자)
구분 |
참신성 |
지역성 |
친근감 |
현대성 |
호감도 |
세계성 |
S_1 |
3.4 |
3.3 |
3.2 |
3.3 |
3.1 |
3 |
S_2 |
3.4 |
3.1 |
3.3 |
3.4 |
3.1 |
3.2 |
S_3 |
3.3 |
3.2 |
3.4 |
3.3 |
3.2 |
3.4 |
S_4 |
3.6 |
3.6 |
3.7 |
3.3 |
3.3 |
3.5 |
S_5 |
3.3 |
3.6 |
3.3 |
3.4 |
3.2 |
3.3 |
S_6 |
3.2 |
3 |
3.3 |
3.2 |
3.1 |
3.3 |
S_7 |
3.7 |
3.7 |
3.3 |
3.6 |
3.7 |
3.5 |
S_8 |
3.7 |
3.2 |
3.7 |
3.8 |
3.4 |
3.5 |
S_9 |
3.3 |
3.4 |
3.1 |
3.4 |
3.3 |
3.4 |
S_10 |
3.7 |
3.2 |
3.5 |
3.4 |
3.2 |
3.3 |
S_11 |
3.6 |
3.5 |
3.5 |
3.7 |
3.3 |
3.3 |
S_12 |
3.3 |
3.2 |
3.3 |
3.4 |
3.3 |
3.2 |
S_13 |
3.7 |
3.8 |
3.3 |
3.5 |
3.2 |
3.3 |
S_14 |
3.6 |
3.6 |
3.3 |
3.4 |
3.5 |
3.3 |
S_15 |
3.6 |
3.5 |
3.5 |
3.5 |
3.7 |
3.3 |
S_16 |
3.8 |
3.8 |
3.7 |
4 |
4.2 |
3.6 |
S_17 |
3.7 |
3.4 |
3.6 |
3.7 |
3.7 |
3.6 |
S_18 |
3.5 |
3.3 |
3.4 |
3.4 |
3.4 |
3.2 |
평균 |
3.52 |
3.41 |
3.41 |
3.48 |
3.38 |
3.34 |
Table 4의 가로축을 보면, 6개의 평가척도에 대한 피험자의 평균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 한국과 중국 피험자의 평균을 보면 모든 평가척도에 대해 보통(3점)이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가별로 비교하면, 한국 피험자의 경우 호감도(3.18)를 제외한 모든 평가척도에 대해 비교적 높게 평가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모든 평가척도의 평균편차가 적고 또한 상대적으로 점수도 낮은 경향을 보인다.
또한 한국과 중국 피험자 모두는 6개 평가척도 중 참신성, 지역성, 현대성 등을 공통적으로 높게 평가하였고, 그 중에서도 참신성(3.79)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어 주목된다. 반면, 중국 피험자의 경우 호감도와 친근감 척도에 대해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어 한·중 피험자간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시제품에 대한 인상은 한국과 중국 피험자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했고, 특히 문자패턴이 독창적이며 참신한 시각이미지로 높이 평가받은 것은 문자패턴이 지닌 시각적 가치를 확인하는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Table 4의 세로축은 18가지의 시제품에 대한 인상차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Table 속의 회색배경을 보면, 한국피험자의 경우 참신성이 돋보이는 것은 S_5, 6, 10, 11, 16 등을, 지역성이 우수한 것은 S_5, 7, 10, 13, 15, 16 등 6가지를 꼽고 있다. 중국은 한국 피험자와는 달리 전반적으로 평가치가 낮아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는 거의 없고, 유일하게 S_16을 현대성과 호감도에서 뛰어난 것으로 평가했다.
이들 시제품 S_5, 6, 7 등은 평면유니트를, S_10, 11, 13, 15, 16 등은 입체유니트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유니트별로 인상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스타일에 따른 인상차이가 예측된다.
이상과 같이 평가척도에 대해서는 한․중 피험자간 현저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고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다만 18개 시제품에 대한 인상은 국가 간 현저한 차이가 발견되어 문자패턴의 유형에 따라서는 인상차이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점은 선행연구(테셀레이션을 활용한 문자패턴 연구)에서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던 문자(언어, 서체, 문자 크기, 문자 구성 등)와 관련된 인상차이가 발견되어, 문자패턴의 모티브인 문자에 대한 특징이나 형식적 기준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세부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Ⅳ.3. 특징분석
고찰은 문자패턴의 시각적 인상을 좌우할 수 있는 변인인 문자에 초점을 맞추어 ‘언어의 상이에 따른 인상차이’와 ‘스타일의 상이에 따른 인상차이’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Ⅳ.3.1. 언어의 상이에 따른 특징분석
언어의 상이에 따른 인상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Table 4의 데이터를 토대로, 평균점수의 편차가 가장 큰 참신성/호감도(한국), 참신성/세계성(중국)을 대비시켜 분석이 용이하도록 했다(Fig. 11).
Fig. 11. 언어별 인상평가 차이(x축:자극, y축:점수)
먼저 참신성/호감도(한국)의 꺾은선 그래프를 보면,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던 참신성의 경우, S_5, 6은 한자, S_10, 11은 한글, S_16은 일어를 모티브로 한 문자패턴이다. 참고로 지역성의 경우, S_5, 13, 15 등은 한자, S_7, 16은 일어, S_10은 한글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또한, 호감도의 경우 S_3, 6, 7, 11, 16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 S_3, 11은 한글, S_6은 한자, S_7, 16은 일어를 모티브로 한 것이다. 특히, 상대하는 두 가지 평가척도의 꺾은선 그래프의 분포가 유사하게 나타난 것이 주목된다.
한편, 참신성/세계성(중국)의 경우, 두 가지 척도간 평균치 차이가 거의 없고, 또한 꺾은선 그래프의 분포가 한국의 경우와 유사하다. 그 중 참신성의 경우 S_16, 세계성의 경우 S_16, 17을 높이 평가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일어를 모티브로 한 문자패턴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 피험자는 한자를 모티브로 한 문자패턴을 비교적 선호하고, 중국 피험자는 일어를 모티브로 한 문자패턴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가별로 문자패턴에 대한 인상차이가 어느정도 존재하고, 언어의 상이가 문자패턴의 인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특히, 척도에 대한 평가치의 차이가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그래프의 분포가 유사하여 언어의 상이에 따른 인상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상관성을 보증하고 있다.
Ⅳ.3.2. 스타일의 상이에 따른 특징분석
여기서는 평면과 입체유니트의 차이, 그리고 각 스타일(서체별, 문자의 크기별, 문자의 구성형식)간의 차이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Table 4를 참고로 각 자극별 평가척도의 평균을 계산하여 비교적 높은 점수(3.5이상)를 얻은 자극만을 도출하면, 한국 피험자의 경우는 S_3, 5, 6, 7, 10, 11, 16 등이며, 중국의 경우는 S_4, 7, 15, 16, 17 등으로, 이는 Table 5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Table 5. 유니트별 평가치가 높은 자극과 스타일
유니트 |
자극 |
스타일 |
서체 |
평면 유니트 |
S_3 |
네거티브스타일 |
한글해서 |
S_4 |
기본스타일 |
한자고딕 | |
S_5 |
확대스타일 |
한자명조 | |
S_6 |
네거티브스타일 |
한자해서 | |
S_7 |
기본스타일 |
일어고딕 | |
입체 유니트 |
S_10 |
기본스타일 |
한글고딕 |
S_11 |
확대스타일 |
한글명조 | |
S_15 |
네거티브스타일 |
한글해서 | |
S_16 |
기본스타일 |
일어고딕 | |
S_17 |
확대스타일 |
일어명조 |
Table 5와 같이 평면 및 입체유니트 영역의 자극은 각각 5개식 도출되었고, 스타일은 기본스타일 4개, 확대스타일 3개, 네거티브스타일 3개 등 골고루 등장하고 있다. 단, 평면유니트에 있어서는 네가티스스타일이, 입체유니트에 있어서는 확대스타일이 다소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유니트에 의한 영향이라기 보다는 문자의 크기가 크고 구성이 독특한 것(네거티브 표현)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유니트의 크기가 커질수록 패턴이 주는 느낌이 강해진다는 데이비스(Marian L. Davis, 1980)의 견해를 지지하는 결과임과 동시에 문자패턴역시 기본모티브의 크기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평면과 입체유니트의 구분에도 불구하고 인상차이가 명확하게 도출되지 않아 6개의 평가척도에 대한 데이터를 그래프로 변환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Fig. 12). 한국 피험자의 평가결과를 (나)와 같이 6개 평가척도 모두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았지만, 평가치에 대한 분포가 산만하여 해석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평가치의 분포가 유사한 참신성, 친근감, 현대성만을 도출하여 (가)와 같이 제시하였다. (가)의 경우 각 평가치의 그래프 유형이 전반적으로 유사하고 그래프의 정점을 읽을 수 있어 피험자의 반응을 파악하기가 용이하다.
(가)한국 피험자 (나)중국 피험자
Fig. 12. 스타일별 인상평가 차이(x축:자극, y축:점수)
(가)의 x축을 보면 1에서 9까지가 평면유니트를 토대로, 10부터 18까지가 입체유니트를 토대로 제작된 문자패턴이다. 그래프에 의하면 평면유니트 영역에는 2개의 정점이 입체유니트 영역에는 3개의 정점이 발견된다. 또한 중국 피험자의 평가결과인 그래프(나)의 경우, 6개의 평가치가 그리는 그래프는 입체유니트 영역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그래프의 특징에서 평면유니트보다는 입체유니트의 문자패턴이 공통적으로 선호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언어의 차이는 앞 절에서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한자의 선호경향이 높았지만, 입체유니트의 경우 한글이 선호되는 경향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참신성 선호경향과 특정 스타일의 효과라고 판단된다. 즉, 한자의 경우 일상적이지 않은 소재가 만들어내는 형태적 신선함이 참신성에 대한 높은 평가로 이어졌을 개연성이 높고, 한글의 경우는 주로 확대스타일과 네거티브스타일로 구성된 것으로, 이것은 한글자체 보다는 문자의 크기나 구성형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서체의 경우, 고딕, 명조, 해서 등이 평면 및 입체유니트에 각각 분산되어 분포하고 있어 서체별 인상차이를 파악하기가 다소 곤란했다. 이러한 경향은 마치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발음하다 보면 단어의 의미나 구조가 모호해지는, 즉 반복에 의해 단어 자체가 의미 구조를 상실하면서 노이즈화 되어 버리는 것처럼, 문자의 반복적 전개로 인해 그림(Figure)이 처음에 가지고 있던 정보가 점점 엷어지고 배경(Ground)에 가까워졌기 때문에 서체별 인상차이를 느끼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고찰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자패턴의 인상평가를 통해 한‧중‧일 문자를 이용한 문자패턴은 문화 확산 및 소통에 기여할 수 있는 시각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고 사료된다.
개발된 문자패턴은 모든 평가척도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특히 참신성, 지역성, 현대성 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특함 및 유니크 등의 의미를 내포한 ‘참신성’ 평가에서 매우 효과적인 패턴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아시아적 문화특성을 함축한 ‘지역성’ 평가를 통해 동양적 또는 아시아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뛰어난 패턴이라는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현대적이며 시대적 의미를 함축한 ‘현대성’ 평가를 통해 현시적인 이미지로 일반인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자패턴이 문화적 아이콘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함축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문자패턴의 모티브인 문자를 비롯해 시각적 변인인 문자의 크기, 문자의 구성형식, 서체 등에 대한 기본적인 지침이 발견되었다.
문자패턴을 구성하는 언어의 경우 한글보다는 한자나 일본어 등이 독창성을 향상시키는 소재라 할 수 있지만, 이 또한 문자의 크기나 구성형식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문자의 크기는 최소단위 속에서 문자로서의 의미를 잃어버리지 않을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네거티브 구성이나 입체표현 등 형식적 변화를 추구하는 것도 긍정적 인상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상과 같이 유니트 및 스타일에 의한 문자패턴의 기본적인 구성방법이 발견된 것은 경상이라는 도구적 효과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경상 및 테셀레이션은 똑같이 대칭성을 근간으로 한 표현수단이라고 할 수 있지만, 테셀레이션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야 하기 때문에 형태적 변형을 막을 수 없다. 하지만, 경상은 문자자체가 가진 형태적 특징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수단으로 특히 패턴을 개발하는데 있어 문자의 시각적 특징을 효과적으로 살릴 수 있는 편리한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문자패턴에 대한 많은 긍정적인 평가와 달리 친근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패턴개발 과정에서 개개의 유니트, 또는 스타일의 심미성 향상을 위해 보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테셀레이션을 이용한 선행연구의 미비점을 개선하고, 보다 효과적인 패턴의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 거울(鏡像)을 채용하여 문자패턴을 생성하고 나아가 그 결과가 문화적 이해를 확산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시각이미지가 될 수 있는가를 객관적으로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54가지의 문자패턴 중 18가지를 시제품으로 제작하여 이미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문자패턴은 기존 전통문양이 갖춘 지역적 특성과 함께, 참신성과 현대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각국의 상이한 문화원형을 소재로 하면서도 문화 이해와 소통에 기여하는 시각이미지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이번 문자패턴의 경우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선행연구에서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던 문자에 대한 인상차이가 발견되어, 문자패턴의 모티브인 문자에 대한 구성적 기준을 도출할 수 있게 되어 선행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연구과정을 통해 경상은 국가나 문화를 초월한 일상적이고 친근한 매체로서 도구적 조작의 용이성과 더불어 자연스러운 형태의 문자패턴을 전개함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것을 체감했다.
결론적으로 경상을 응용한 문자패턴은 독창적이며 유니크한 이미지와 함께 동양적 이미지와 현대성을 함축한 효과적인 시각 아이콘으로 문화적 가치를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거울 오브젝트는 컴퓨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조작이 뛰어난 패턴개발 도구로서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도구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화원형의 세계적 이해와 공감뿐만 아니라 현재 넘쳐나고 있는 컴퓨터에 의한 획일적, 기계적 이미지를 개선한 자연스러운 패턴개발을 위한 새로운 제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
[1] 구자홍,「수리적 조형원리를 토대로 한 형태생성모델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논문, 2007
[2] 사배용․하봉수․구자홍, “아시아적 문화 확산을 위한 문자패턴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4, 2008
[3] Dan Pedoe,「図形と文化」, 礒田浩訳, 法政大学出版局, 1985
[4] Herman Weyl,「symmetry」, 遠山啓訳, 紀伊国屋書店, 1991
[5] 森田慶一, 「建築論」, 東海大学出版局, 1983
[6] 三井秀樹,「形の美とは何か」, NHKブックス, 2000
[7] 横山弥生, “コンピュータグラィックスによる対称性を用いた形態生成の研究”, 大同工業大学紀要 第41券, 2005
[8] 伏見康治․安野光雅․中村義作,「美の幾何学」, 中公親書, 1994
Endno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