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치수검사
①자극에 대한 반응
②양성반응은 치수생활력을 나타내는것이 아니라 자극에 대한 감각의 인지임
③반대측치아도 같이 검사
(2) 온도자극
①온도변화에 민감→치수병변의 대부분의 주소(CC)
②냉자극검사를 가장 먼저 행함(CO2, Ethyl chloride, dichlorodifluoromethane)
③대조될 정상치아에 시행
④정상적 치수조직→온도자극에 대한 인자가 예리하고 즉각적(A-δ 섬유에 의해 전도)
⑤손상된 신경조직→C섬유를 자극 위치가 명확하지 않은 자발적, 타는듯한, 뻗치는 통증
⑥온도자극이 제거된후 오래지속되는 통증→비회복성 치수손상의 첫번째 징후
(3) 전기치수검사
①A-δ 섬유자극
②치수반응에 대한 검사만 가능(괴사여부)
③격리되고 건조한 환경에서 시행
④electrode에 전단물질 바른후 건조한 법랑질 협면에 위치
절단면이 가장 이상적 적용위치
⑤위양성 : 검사상 반응보이나 괴사된경우, 인접치에서 반응하거나 부분 괴사된 경우
치수는 괴사되었으나 괴사에 저항이 강한 신경조직은 살아있을 수있음
⑥위음성 : 생활력 있으나 자극에 무반응, 치수 석회화, 치근단 성장 완료 안된경우
퇴행성변화 겪는 나이든 환자, 진통제 복용한 환자의 경우 나타남
(4) 와동형성 검사
냉자극, EPT반응 하지 않는 경우, 위음성이라는 가정하에서 시행
(5)타진
①치수병변이 치주나 치조골까지 도달하면 타진에 민감하게 됨
②손가락, 기구손자이, cotton roll이용
(6)촉진
치근단염증이 피질골을 파괴시키고 연조직까지 진행된 경우 촉진으로 확인가능
(7)동요도
①정상이상 :1급
②1mm정도 : 2급
③1mm이상 또는 수직,회전하는 경우 : 3급
(8)치주낭검상
①치주탐침을 반드시 시행
②특정부위에 한정된 파괴의 경우→Vertical groove,균열치,수직치근파절,외흡수를 의심
(9) 광투과검사 염색법
치관부균열, 수직치근파절검사
(10)마취검사
①원인이 상악인지 하악인지 판별가능
②개개치아는 판별 힘듬
(11)방사선검사
①평행 촬영법으로 촬영
②치근단 주위 병소는 '물방울 맺힌'모양
③치조백선 소실
④각도를 바꿔 촬영해도 이동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