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QUATION SOLVER
eqn:0=
|
이렇게 화면이 나오며 입력받을 상태가 됩니다.
0 = 산식
의 꼴로 넣으시면 됩니다.
ex) eqn:0=1-x^2
변수는 아무 문자를 넣으셔도 됩니다.
A, B, C,... Z, 등등.
저는 X,T,θ,π 버튼을 애용합니다.
여튼 식을 입력하면
0=1-x^2 X=0 bound={-1E99,1E99}
|
이렇게 나오구요.
이 상태에서 X=0에 커서를 입력시키고
ALPHA -> ENTER (=SOLVE) 를 누르시면 계산이 되어 값이 표시됩니다.
* 화면 오른쪽 상단 구석에 막대기가 움직이면 계산중이라는 표시입니다.
3. 근사값의 입력
SOLVER 기능은 현재 변수(X)에 입력된 값에서 가장 가까운 결과만을 찾습니다.
그래서 X=0 으로 놓고 SOLVE 기능을 사용하면 1개의 고정된 답만 구해집니다.
그래서 그 해가 여러개인 경우에는
대략의 X값을 추정해서 입력해놓고, SOLVER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ex) x^2+x-2=0 의 경우(해가 1, -2),
x=0 으로 Solve 하면 1만 나오는데,
x=-1 혹은 x=-3 으로 넣고 solve 해야 -2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역시 계산기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4. 주의사항 (한계)
SOLVE는 뉴튼-랩슨법을 이용해서 답을 구한다고 합니다.
* 계산기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참고 : http://ray_illusion.blog.me/130006008008
미세하게 범위를 나눠서 계속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답을 구하는데...
기계적으로 답을 구하다보니...
- 식이 복잡한 경우에 답을 구하지 못하거나,
- 해가 여러가지인데, 그 중 한가지만 찾아진다거나(3.에서 해결),
- 답을 구하는데 오래 걸리기도 합니다.
답이 안나올 때는
식을 최대한 간단하게 정리해서 입력하면
답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5. TIP
복잡한 식을 입력할 때는 괄호가 여러개 쓰이면서 입력이 틀릴 수가 있는데요,
그걸 방지하기 위해서 한가지 팁을 적습니다.
SOLVER 화면으로 가기 전에
일단 맨땅에 식을 입력합니다.(변수 포함)
=0 은 입력이 안되니까 생략하시고, 입력이 완료 되었다면 ENTER를 누릅니다.
: 답이 나올 수도 있고, ERROR 화면이 나올 수도 있는데 상관이 없습니다.
: 입력한 식은 (오류 유무와 관계없이) ENTRY에 저장됩니다.
이제 MATH - SOLVER 화면으로 이동을 하고,
식 입력창이 뜨면,
2ND-ENTER 를 누릅니다.
그럼 좀 전에 입력했던 식이 ENTRY 에서 불러집니다.
X범위까지 다 입력완료하고
SOLVE로 값을 구합니다.
ex) http://cafe.daum.net/appraisal/HEs/11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