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친환경농업연구회
카페 가입하기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참깨, 들깨 스크랩 종자 소독방법
남삼타워 추천 0 조회 344 07.09.22 17:33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종자전염병의 감염률과 소독방법
 
기관 : 작물과학원
 
성명 : 강철환
 

전화 : 031-290-6723

           
    작물과학원과 충청남도농촌진흥원 및 일반농가에서 수집한 40개 참깨종자표본의 종자전염진균을 Blotter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Alternaria Sesami, A. Sesami Cola, A.Tenuis, A. Longissima, Cercospora Sesami, Cephalosporium Sp., Corynespora Cassola, Fusarium Equiseti, F. Moniliforme, F. Oxysporum, F. Semitectum, Macrophomina Phaseolina 그리고 Myrothecium Roridum이 검출되었다. 그중 A. Sesami, A. Sesamicola, A. Tenuis, C. Cassola가 많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참깨 종자내의 감염부위를 알아본 결과 C. Cassola가 가장 깊숙히 배에까지 감염되어 있었으며 Chlorine으로 종자표면 소독을 하였을 경우에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표 1. 수집참깨 종자의 진균 감염률
 
진 균 발 병 률(%)
감염된 표본수 범 위 평균
  Alternaris Sesami
  A. Sesamicola
  A. Tenuis
  A. Longissima
  Cercospora Sesami
26
35
38
17
6
1.0 - 35.5
4.0 - 79.5
2.0 - 40.0
1.0 - 20.5
2.5 - 28.0
  6.4
37.8
18.0
  4.7
  6.6
  Cephalosporium Sp
  Corynespora Cassola
  Fusarium Equiseti
  F. Moniliforme
  F. Oxysporum
3
31
5
9
3
0.5 - 2.0
1.0 - 62.0
0.5 - 5.0
1.0 - 19.0
0.5 - 2.5
  0.8
19.3
  0.7
  1.9
  0.6
  F. Semitextum
  Macrophomina Phaseolina
  Myrothecium Roridum
4
15
3
0.5 - 5.5
0.5 - 8.5
0.5 - 1.0
  1.5
  2.9
  0.6
     
    이 균에 이병된 종자를 살균토양에 파종하였을 경우 심한 발아저해와 유묘고사를 초래하였다. C. Cassola의 종자상에서의 생육상과 배양기 상에서의 배양적 성질 및 포자의 형태가 연구되었으며 병원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균의 포자 현탁액을 참깨에 분무접종한 결과 C. Cassola는 참깨의 잎과 줄기에 암갈색 또는 자색의 병반을 나타내며 이것이 급격히 확대되어 고사하였다. A. Sesami, A. Sesami Cola, A. Longissima, C. Sesami도 참깨 잎에 반점 또는 blight의 병징을 나타내었으나 A. Tenuis은 병원성이 없었다. 토양접종실험의 결과 F. Oxysporium M. Phaseolina 는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어 심한 종자부패와 유묘고사를 초래하였다.
   
  2. 종자소독제 방제효과
    참깨의 종자전염병해로는 입고병을 들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입고병에 의한 피해가 70%에 달하여 재파, 3파를 하는 노력을 기울여도 입모를 제대로 세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참깨 입고병은 Fusarium Oxysporium, F. Vasinfectum SchlechtRhizoctonia Solani(Frank) Donk 및 Phoma Sesami Saivada의 세균이 주로 발병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Fusarium병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저항성품종이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종자소독제 처리에 따른 입고병 방제효과는 무처리가 이병주율 96%인데 반하여 Benilate-T처리가 4%밖에 안 되어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부산 30의 25%, Captan의 37%, Vitathiram의 22%보다도 종자소독효과가 현저하였다. 10a당 종실중은 Benlate-T가 40.7㎏으로서 무처리의 6.4㎏에 비하면 6배의 증수를 보였으며 1980년도의 기상이 이상저온으로 경과하여 전국 참깨 단보당 평균수량이 25㎏밖에 안되었던 것에 비한다면 63%정도의 증수를 보였다. 처리별 생육특성은 초장, 착삭부위장, 주당삭수 등에서 약제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크고 많았는데 이러한 생육촉진효과는 약제살포에 의한 직접적인 후기병해방제 효과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종자소독에 의한 입고병 방제에 따른 2차적인 효과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전후자의 종합적 효과일 것이 예상되었다.
   
  표 2. 참깨 종자소독제 처리에 의한 생육특성
 
처 리 출현기
(월.일)
개화기
(월.일)
초장
(㎝)
착삭부위장
(㎝)
주당삭수
(개)
입고병 발병주율
(%)
  무처리
  부산30
  벤레이트티
  캡탄
  비타지람
5.27
5.28
5.29
5.29
5.28
7.20
7.21
7.19
7.18
7.18
73
79
85
86
92
44
51
57
58
62
38
37
44
46
43
96
25
4
37
22
   
  참 고 문 헌
 
 

이정일 외. 1982. 참깨 입고병에 대한 종자 소독제의 효과. 한국작물학회지. 27(1) : 78-83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