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비공개 입니다
36) 로바족 (珞巴族) Lhoba ethnic minority group
로바족은 중국소수민족가운데서 인구가 비교적 적은 한개 민족으로서 2,312명의 인구가 있다. 그들은 주로 서장동부의 챠위(察隅)로부터 서부의 몬위(門隅)사이의 로유(珞瑜)지역에 분포됐는데 미린(米林), 머투(墨脫), 챠위(察隅), 룽자(隆子), 랑현(朗縣) 등지에 가장 집중됐다.
로바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는데 한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에 속하며 각지 방언차별이 매우 크며 소수인이 장족언어와 문자를 능통한다. 로바족은 본 민족문자가 없으며 장기적으로 나무조각과 끈매는 형식으로 수자나 사건을 기재하는 원시방법을 보존하고 있다.
로바족 대부분이 얄룽장보강이서의 고산협곡지역에 거주해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20세기중기까지 여전히 원시사회말기단계에 처해 있으며 수확물을 평균분배하는 오랜 습속을 아직도 보존하고 있다.
37) 묘족 (苗族) Miao ethnic minanty group
사천, 광동, 운남과 귀주 등에 거주하고 있다. 그중 검동남묘족뚱족자치주는 묘족의 가장 큰 집거구이다.
언어와 문자 : 묘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는 바, 한장어계(漢藏語系)묘요어족(苗瑤語族)묘어지(苗語支)에 속한다. 묘족은 원래 민족문자가 없었는데 20세기50년대후기에 라틴화 병음문자를 창제했다. 현재 대부분 묘족인이 한문을 통용한다. 크게 3가지 방언으로 나눌 수 있고, 또 그 밑으로 더 세세하게 나누어진다. 통일된 문자가 없었으므로 서방 선교사가 병음문자를 창제하였지만, 널리 사용되지 못했고 1956년에 본격적으로 4가지 방언에게 라틴병음문자를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기 타 : 미아오족은 갑골문에도 나오는 오래된 민족이다. 그리고 방언의 갈래만큼이나 여러 가지 전통 복장과 습관들을 갖고 있다. 쌀을 주식으로 하고 좁쌀, 옥수수를 곁들여 먹는다. 촌락은 대개 반산(半山)지역 혹은 산봉우리에 위치해 있으며 일부소수의 사람들은 산기슭이나 강변에서 산다. 묘족이 집거한 묘령산맥과 무릉산맥은 기후가 온화하며 풍경이 매우 수려하다. 이곳은 벼, 옥수수, 수수, 밀, 면화, 담배, 유채 등을 생산하며 목재와 광산자원도 매우 풍부하다.
묘족의 음악과 무용은 유구한 력사를 갖고 있다. 묘족의 수놓기, 비단, 염색, 장식품 등 공예미술은 국제상에서도 이름을 떨치고 있다.
화샨지애 : 화샨지에는 먀오족의 전통 축제이다. 아주 옛날에 먀오족이 싸움에 패하여 사방으로 도망치게 되어 고향을 떠나 타향에서 서러움과 아픔을 달래야 했다. 어느 해 6월6일에 조상이 현령하여 너무 슬퍼하지 말라고 달래면서 높은 산정에 올라가 민속피리를 연주하며, 춤과 노래로 조상들을 위로하라고 말한 후 사라졌다. 현령(顯靈)이 사라지자 하늘로부터 꽃한송이가 내려와 나뭇가지에 걸렸다.
사람들은 이 나무를 둘러싸고 춤과 노래로 축복을 했더니 이 해에는 풍년이 들었다.
이후 매년 6월6일이면 먀오족은 민속복장을 차려입고, 고산에서 꽃나무 한그루를 잘라서 노래와 민속악기를 연주하고 소싸움, 사자춤, 꽃나무 오르기 등 행사를 하며 경축한다. 그 중 나무 오르기가 제일 중요한데 가장 높이 오르는 자에게 돼지머리와 술이 상으로 내려진다.
; 묘족은 규모가 비교적 큰 소수민족에 속한다. 수 천년의 오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넓은 지역에 분포해 살아오고 있다. 고대에는 양자강 중하류와 황하강 유역에서 생활하다가 원강(沅江;꾸이저우성에서 발원하여 후난성으로 들어감)유역을 중심으로 꾸이저우, 광시, 쓰촨, 후난, 후베이으로 옮겨왔는데 꾸이저우성을 중심으로 중, 서남부 지역의 산지에 주로 분포해 살고 있다. 인구는 1995년 통계로 7,383,622명으로 절반이상인 419만 명이 꾸이저우성에 거주하고 있는데 가장 집중해 있는 지역은 꾸이저우성의 치엔동난(黔東南) 묘족(苗族) 동족( 族) 자치주로 122만여 명, 후난성(湖南省)에 155만 명, 쓰촨성(四川省)에 50여만 명, 광시자치구에 40여만 명, 후베이성(湖北省)에 20여만 명, 하이난성(海南省)에 5만여 명이 살고 있다. 해외에도 많아 월남에 50여만 명, 라오스에 30여만 명, 태국에 13만여 명, 미얀마에 1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 고대의 “ 구여(九黎), 삼묘(三苗), 남만(南蠻) ”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양자강 中·下流와 황하강 下流 유역에서 오래 전부터 생활해 오다가 점차 부락 연맹체인 “ 구여(九黎) ”를 이루었고 요, 순 시대에 새로운 부락연맹인 “ 삼묘(三苗 또는 有苗또는 苗民) ”를 이루었는데 “ 형초(荊楚)또는 남만(南蠻) ”이라고 불려지기도 했다. 많은 역사 자료들은 三苗가 묘인(苗人)의 조상임을 말해 주고 있다. 여러 호칭이 있으나 스스로는 “ mu(木; 黔東방언 지역), mong(蒙) 또는 mao(毛) ”등이라고 한다. 원시 모계 사회에서 부계 사회로 이전 된 후 문자는 없어도 역사가 비로소 이루어지고 체계가 잡혀가기 시작하고 귀주지역의 고대국가인 Ye lang국(夜郞國;秦,漢시대)당시에 이미 묘족이 있었다. 삼국시대의 촉국(蜀國) 제갈량(諸葛亮)이 남쪽 지역을 정벌할 때(A. D. 225년)에 남중(南中)의 맹획(孟獲)을 칠종칠금(七縱七擒)한 고사가 유명하다. 전국 시대(B. C. 475 ㅡ 221 년)의 강대국이었던 초국(楚國)의 楚人과 苗族은 여러 방면에서 일치하는 면이 많아 같은 조상으로 간주되는데 지역적으로 호남성 동정호 주변에서 건국하고, 풍습상 모내기할 때 단풍나무를 논에 꽂고 단풍으로 침대받침을 하지 않고 양식 창고의 기둥을 단풍으로 하며 땅을 선택할 때에 단풍을 먼저 심고 단풍나무가 잘 살 것인지를 먼저 판단한 후에 지역을 옮기는 등 단풍나무를 대단히 숭배하는 습속과 초나라 시대의 묘에서 출토되는 동령(銅鈴), 동과(銅戈), 동전족(銅箭簇), 노기(弩機), 회도관(灰陶罐)등이 완전히 일치한다.
; '묘(苗)'라는 호칭에 대해서 서로 다른 많은 견해가 있는데, 19세기의 Graves는 《묘족》이라는 저서에서 한자의 초(草)와 전(田)이 합성된 자로, ' 한 뙤기 밭에 길게 자라 난 풀 ' , 즉 ' 아직 개화되지 못한 부족 '이라는 뜻이라고 말한다.
한편 C·E Jamieson은 묘(苗)는 ' 식물의 발아된 싹 '을 뜻해, 즉 ' 한족이 아직 그들의 지역에 들어오기 전에 이미 정착해 살고 있지만 아직 개화되지는 안았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는 토착민 '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
중국의 용해청(龍海淸)은 묘족은 분명 조상들이 벼농사를 지은 농경민족일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며, 묘족의 조상을 역사에서는 “ 묘(苗) ”, “ 요우묘(有苗) ”, “ 산묘(三苗) ”, “ 묘민(苗民) ”등으로 기록하고 있고, 고대에는 남부지역에 살던 여러 민족들을 총괄해 시대를 따라 남만(南蠻), 우링만(武陵蠻)등 만(蠻)자를 붙여 ' 야만인 ' 취급을 했었으나 당·송 이후에는 남부지역에 정착해 번성하는 이들을 중요시해 그동안 만(蠻)자를 붙여 불러왔던 의식에서 탈피해, 묘족이 폭 넓게 분포해 있는 관계로 주위에 함께 거주하는 부이족(布依族)은 중쟈묘(仲家苗), 수이족(水族)은 수이묘(水苗), 동족( 族)은 동묘( 苗), 이족( 族)은 뤄뤄묘( 苗)로 호칭하는 등 다른 민족에게도 모두 묘(苗)자를 붙였다고 주장하나 묘족의 기원과 더불어 아직 정론이 없다.
a, 음식
;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겠으나 쌀, 옥수수, 밀, 수수, 감자 등이 주식이다. 지역적으로 소금이 없어 어려웠던 시대가 있었다.
b, 결혼
; 일부일처의 소가족제도하의 가부장적인 형태이고 일반적으로 자유스럽게 선택해 결혼하는데 동성(同姓)일 경우와 이성(異姓)이라도 조상이 싸워 결혼 안 하기로 맹서한 경우가 있어 결혼 안 하는 집안도 있다. 성씨에 따라 결혼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보면 상서의 Ge gua( 瓜), Ge ka( ) 두 묘성(苗姓)가족은 한족(漢族) 석(石)씨로 통용하고 꾸이저우성의 루산현(爐山縣)의 Gao na(稿 ),Gao niao(稿鳥) 두 가문은 한족의 양(楊)씨로 통용한다. 숭타오(松桃)의 Ou(歐), He(賀) 두 가문은 Ji xue(吉學)와 결혼 안하고 황핑현(黃平縣)의 Pan(潘)씨성은 ke jia pa(喀jia杷), Long(龍)씨성은 Ke liu(喀柳)로 지명(地名)으로써 묘(苗)씨성과 제약 없이 결혼한다. 보통 명절의 사교활동을 통해 사귀게 되고 의기투합할 때 남자 쪽에서 중매를 세워 여자 측과 합의하고 본인들이 이미 성년에 이르렀으면 본인의 의견을 묻고 미성년일 경우는 가장이 모두 주관하고 여자 집에 예물을 가지고 가 정혼을 한다. 결혼 예물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많으나 누오미바( 米 ; 찹쌀로 만든, 떡과 비슷한 전통 음식), 기름, 소금, 차, 술, 돼지고기 등이고 돈을 주는 경우도 있다. 결혼 연령은 16세에서 20세사이이고 12,3세에 결혼하는 경우도 있으나 성년이 된 후에야 동거할 수 있다.
c, 명절
(1) 묘년(苗年); 묘족 본연의 새해 명절로 시기가 명확하지 않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많은데 꾸이저우성의 꾸이양(貴陽), 따띵(大定), 준이산후(遵義三府)와 윈난성의 일부지역은 6월을 세수(歲首)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대다수가 정월을 최대 명절로 삼아 음식을 장만하고 조상에 제사지낸다.
(2) 춘절(春節); 근래에 들어 절대다수가 묘년보다 춘절을 지내며, 초하루부터 보름까지 쉬면서 닭을 잡아 조상에 제사하고 각종 전통 오락 즉, 탸오루성(跳芦笙), 차이양탕( 秧堂)을 행한다. 미혼 남녀가 루성(芦笙; 생황)을 불며 춤과 노래를 부르면서 교제해 배우자를 선택하는 기회가 된다. 특히 미혼의 아가씨들은 화려하게 차려 입고 은관을 쓰고 루성무(芦笙舞)를 춘다.
(3) 탸오화(跳花); 수이청현(水城縣)의 난카이(南開), 후이수이현(惠水縣)의 룽단빠(龍潭 )등지에서 2월 15일 거행하는 행사로 옛날 선조가 황하유역에서 옮겨 올 때 10여명의 아가씨가 실종되었는데 총각이 루성을 불어 다시 만날 수 있었던 일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라고 한다.
(4) 청명가회(淸明歌會); 3월 3일 청명을 보내며 행하는데 샹시(湘西) 묘족이 가장 성대하다. 옛날 숭산(崇山)준령에서는 생활에 필요한 물품들을 먼 거리의 한족 시장에서 교환해야 했는데 묘족 상호간에 없는 물건이 무엇인가 확인하기 위한 모임이 발전해 오락 활동과 가회(歌會)로 즐기다가 명절로 발전했다고 한다.
(5) 뿌위절(捕魚節); 꾸이저우성 중부의 두무허(獨木河), 난밍허(南明河)부근의 묘족 명절로 처음에는 모내기철에 논에 물을 댈 때 기우제로 시작했던 것인데,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3월 6일부터 물고기를 잡고 청년들은 산에 가 나뭇잎을 채집해 나오야오(鬧葯)를 만들고 부녀자들은 집에서 소금에 절인 고기, 소시지(香腸), 찹쌀밥 그리고 술을 준비한다. 온 가족이 정장하고 술과 고기를 준비해 물가에 가 노래와 오락을 즐긴다. 석양이 질 때에야 신선한 물고기를 가지고 집에 돌아와 초대한 친구와 더불어 잔치를 베풀고 고기를 준다.
(6) 4월 8일; 음력 4월 8일에 꾸이양, 황핑, 숭타오, 샹시 등지 묘족의 기념일로 꾸이양은 오랜 옛날부터 묘족의 본거지로 묘어(苗語)로 “ 거루어거상(格羅格桑) ”이라 했는데 천백 여 년 전 이 날, 압박에 항거해 민중을 이끌고 일어나 쓰촨성까지 다니며 연전연승을 하다가 결국은 꾸이양시(貴陽市) 펀수이츠(噴水池)부근에서 전사했다는 '야이(亞宜)'라는 민족의 영웅을 기리는 날로서, 꾸이양일대의 묘족 청년 남녀가 펀수이츠(噴水池)부근에 모여 고인을 추모한다. 후난성 샹시(湘西)묘족과 꾸이저우 황핑(黃平)묘족도 유사한 내용이 있다. 청부(城步)묘족은 “ 우환절(烏飯節) ”이라고 한다. 우환(烏飯)은 나뭇잎을 물에 끓여 물들인 것으로 검은 쌀(黑殼米)로 짓기도 한다.
(7) 츠신절(吃新節); 지내는 시기는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데 루산(爐山)의 팡하이(旁海)에서는 7월에 루성무(芦 舞)를 성대히 하고 치엔동난(黔東南)지역에서는 8월에 새 곡식을 가공해 주상에 제사 지낸다. 투우(鬪牛), 경마 등을 거행한다.
(8) 9월 루성회(芦笙會); 황핑현(黃平縣) 구룽(谷 )등에서 9월 27일에서 29일까지 거행하는데 바로 추수하는 시기로서 풍년을 기리는 의미가 있다. 남녀청년들은 큰 생황을 수십 개씩 가져와 모임을 갖는다. 기타 많은 명절이 있는데 기념일의 성격이 담긴 것이 있고 어떤 것은 남녀 청년들을 위한 모임이고 때로는 기도를 위한 이 있는가 하면 고생했던 시절을 기억하기 위한 것도 있다.
* 1999년부터 카일리시(凱里市)에서는 8월 중순경 국제루성회(國際芦笙會)를 열어 원근 각처의 다양한 묘족들이 행사에 참여해 각종 루성무(芦笙舞)와 전통의상을 소개하고 있다.
d, 장례
; 사람이 죽으면 깨끗이 씻겨 수의를 입히는 소렴(小殮)을 치루고 입관을 한다. 무사(巫師)로 하여금 주재하게 하고 고인을 추념하는 내용의 상가(喪歌)를 부른다. 출상전날 무사가 고인의 혼이 가는 길을 여는 의식을 거행한다. 발인하고 매장하는 기간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3일,5일,7일등이다. 발인할 때 수탉으로 고인과 함께 하기도 하고 종이돈을 뿌리기도 한다. 매장 시에 순장물을 관밖에 묻고 묘를 쓴 후 삼일 후 다시 와 묘 흙을 다듬는다. 매장 후 다음날 또는 제 삼일 아침에 찹쌀밥을 보내는 곳도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매장 후 1개월 간 문밖 출입을 삼가고 일을 하지 않고 노래를 금하며 머리를 깍지 않는다. 부친 사망 시에는 3년 간 상복을 입고 모친의 경우는 4년 간 입는다 매년 청명에 묘를 다듬고 청명(淸明) 하루 전날을 한식(寒食)으로 한다.
a, 문학
; 비록 문자는 없지만 고대로부터 만물에 대한 많은 신화를 만들어 노래로 구전되어 내려오고 있다. “ 개천벽지(開天闢地) ”, “ 조천지만물(造天地萬物) ”등 천지창조에 대해 상상의 세계를 펼쳐 묘족의 조상이 일월성신(日月星辰)을 만들어 낮에는 광명이 있고 밤에는 흑암이 있었다고 하는 내용인데 고찰할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 자연에 더불어 살면서“ 타살오공(打殺蜈蚣; 오공은 지네) ”등은 맹수나 독사와의 싸움을 그리고 있고, 생활 풍속을 담은 “ 방직가(紡織歌) ”, “ 자수가(刺繡歌) ”,“ 라염가(蠟染歌; 옷감에 물감을 드리며 부르는 노래) ”, 시집갈 때의 슬픔을 노래한 “ 출가가(出嫁歌) ”, “ 곡가가(哭嫁歌) ” 등 다양한 내용들이 많이 전해 오고 있다.
b, 음악과 춤
; 최초의 악기는 루성(芦 )으로 호북성 수이현 증후(隨縣 曾侯)묘에서 발견된 것은 기원전(紀元前) 작품으로 판정되었다. 음악은 남녀의 애정을 그린다던가 상제(喪祭)시 등 생활과 밀접한 내용의 민가(民歌)곡조, 춤곡을 대표하는 루성곡조, 지역마다 다르지만 결혼과 장례 등에 부는 수어나곡조, 소금(簫琴)곡조로 구별한다. 악기는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로 구분하고 관악기(管樂器)로는 망통(莽筒)호생, 야소(夜簫), 자매소( 妹簫), 통소(筒簫), 적자(笛子), 대호(大號) 등이고 타악기(打樂器)는 동고(銅鼓), 목고(木鼓), 동라(銅 )가 있고 현악기(絃樂器)는 보편성은 없으나 월금(月琴)이 있다. 나뭇잎(木葉) 또한 좋은 악기 역할을 하고 있다. 음악과 더불어 춤(舞蹈)의 기원 또한 오래되었다. 악기이름을 따라 루성무, 동고무, 목고무 등이 있는데 보법(步法)이 비교적 단순한 편이다.
c, 공예
; 자수(刺 ), 도화(挑花; 십자수), 직금(織錦; 비단짜기), 랍염(蠟染; 염색법의 한 종류), 은식(銀飾)등 민간에 전래되는 공예미술은 다양하고 화려하다. 특히 묘족의 자수 침법( 法)은 독특한 멋이 있기로 유명하고, 은장식(銀裝飾)은 남녀 공히 좋아하는데 젊은 부녀자에게 있어서는 필수품이다. 은관(銀冠)은 매우 화려해 그 위에 은꽃, 은방울, 은공작, 은나비, 은침 등 작은 공간에 수십 종류 때로는 백여 종류까지 올려놓아 무게가 3,40량(兩)까지 나간다. 팔찌, 목걸이, 귀걸이 등 다양하게 치장한다.
; 생산 및 생활 중에 지키는 금기를 간략히 소개하면
(1) 봄에 첫 번째 번개소리가 나면 3일 동안 밖에 나가서 일을 하지 않거나, 양력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밭에다 거름을 주지 않는다.
(2) 집안에 아기를 낳은 산모가 있으면, 대문 위에다 풀로 만든 모자를 걸어놓고 외부인의 출입을 막는다. 만약 집안으로 들어갔을 경우, 반드시 나올 때는 발을 씻어야 하며, 한 컵의 냉수를 마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산모의 젖이 말라 버린다는 것이다.
(3) 길을 가다가 샘물이나 도랑물을 만났을 때 목이 마르다고 마음대로 마셔도 안 된다. 반드시 먼저 풀줄기를 물 속에 집어넣고 물을 마셔야 한다. 이것은 물을 지배하는 용왕에게 통보한다는 일종의 표시이다. 만약 그렇지 않고 물을 마시면, 곧 바로 배가 아프다고 생각한다.
; 만물에 혼이 있다고 믿어 다신(多神) 사상을 가지고 있다. 영혼이 불멸한다고 믿고 있어서 조상의 혼백을 위해 제사 지내며 귀신이 인간의 생사화복을 주장한다고 생각해 예전에는 큰 규모로 제사를 지냈다. 1896년 내지선교회 소속 선교사인 Samuel Clark이 치엔동남(黔東南) 칭핑쩐(淸平鎭) 방하이(傍海)에 교회를 세우나 1899년 관의 사주를 받은 일련의 한인(漢人)들이 교회에 방화하고 최초의 묘족 기독교인이요, Clark의 묘어 선생인 판슈산(潘秀山)과 선교사 W. S. Folaiming이 폭도들에 의해 순교하지만 1년이 못되어 다시 원래보다 큰 교회를 짓는다. 1905년 영국성공회(英國聖公會) 소속 선교사 Samuer Pollard가 웨이닝현(威寧縣) 스먼칸(石門坎)지역에 교회를 세운다. 웨이닝(威寧)현내의 기독교 예배당은 교정산(轎頂山), 어추만(魚鰍灣), 흥륭창(興隆廠), 마납충(馬拉 ), 양수구(凉水溝), 절충(切 ), 풍광(豊光), 평원(平原), 대채(大寨), 천생교(天生橋), 우가(牛街), 포도(抱都), 장해자(長海子), 륜자하(倫子河), 대가(大街), 용가(龍街), 양가(羊街), 흑석(黑石), 금종(金鍾), 우수(牛水)등이고 웨이닝현(威寧縣)의 교인은 18,034명인데 그중 47%인 8,617명이 묘족이다.
; 언어는 한장어계 묘요어족 묘어지(漢藏語系 苗瑤語族 苗語支)에 속한다. 수천 년 동안 이동을 거듭한 결과 각 지역마다 많은 방언이 형성되어 크게 三大 방언(方言), 일곱 개 차방언(次方言), 열여덟 종의 토속어(土語)로 나누고 있다. 200여 개의 방언(土俗語; 토착언어)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고 그중 150여 개의 방언이 귀주성에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분류는 청강희(淸康熙; 元年 1662년)년간에 육차운(陸次雲)의「동계섬지( 溪纖志)」와 황원(黃元)의「Qian zhong 잡기(黔中雜記)」에서 단지 외형적인 의상 색깔로 “ 홍묘(紅苗), 청묘(靑苗), 흑묘(黑苗), 백묘(白苗), 화묘(花苗) ”다섯종으로 나누었는데, 지극히 불합리하나 습관상 아직도 사용하고 있어서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분류 방법적 인식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38) 바이족 (白族) Bai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1.598.052(1990) - 80% 이상이 운남성 서부의 따리(大理)에 살고 있으며, 이해(?海)를 위주로 한 대리바이족자치주에 집거하고 있다. 그 외에도 사천과 귀주, 호남 등지에 살고 있다. 이들의 이름은 흰색을 숭배하기 때문에 지어진 것이다. 바이족이 살고 있는 대리와 창산은 일년 내내 흰눈이 덮여있고, 이해는 푸른 파도가 설레이고 있어 “동방의 스위스”로, “어미지향”으로 국내외에 명성이 높다.
언어와 문자 : 바이語(漢藏語系 藏綿語族). 대부분 사람들이 한어도 사용한다. 이 지역은 경제가 번영하고 문화가 발달하여 자고로 온정한 바이족 군체를 이루었다. 바이족은 자기의 언어를 갖고 있는데 한장어계장면어족(漢藏語系藏緬語族)백어갈래에 속한다. 대다수 바이족은 한어를 할 수 있는데 이로 다른 민족들과의 교제공구로 하고 있다.
종교와 문화 : 번주(本主)라는 종교인데, 자연신이나 따리국의 왕자나 전설 속의 영웅 등을 숭배한다. 바이족은 고유한 민족으로서 자기의 휘황찬란한 과학문화를 갖고 있다. 천문, 역법, 기상,의학, 문학 등 분야에서 많은 우수한 작품을 발명, 창조했다. 대리숭승사삼탑, 검천석보산석산,《남소중흥국사화권》,《대리화권》등은 모두 바이족인민의 유구한 역사와 건축, 조각, 회화 등 다방면의 재능을 보여주고 있다.
기 타 : 따리는 운남에서 가장 먼저 문화가 생겨난 곳으로 고고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신석기시대부터 인류가 있었던 곳이라고 한다. 그리고 운남 여행의 중요한 코스중의 하나로 여겨지다가 지금은 완전히 관광지로 자리잡아 물가도 많이 올랐을 뿐 아니라 항상 묵을 곳이 없을 정도이다. 대리석이 나는 곳으로 유명하고 전통 주택들은 햇빛의 반사를 위해 벽을 하얀색으로 칠하고, 집에는 창문이 없다.
바이족의 가장 큰 명절은 매년 음력 3월 15일에서 21일까지 따리(大理) 바이족 자치구에서 열리는 '三月街'이다. 이 축제는 천년 이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전설상의 관음이 이곳에 온 날을 기념하기 위해 생겼다고 한다. 그래서 일명 '관음제'라고도 한다. 축제 기간은 굉장히 사람이 많고 흥겹다.
바이족은 쌀로 만든 면을 좋아하고, 특히 새콤하고 맵게 먹는다. 3잔을 마시는데 마실 때마다 맛이 틀려진다는 삼도차(三道茶)가 유명하다.
39) 더앙족 (德昂族) De'ang ethnic minority group
운남의 서남부에 살고 있다. '뻥롱'족이라고 불러왔었는데 1985년 9월부터 '더앙'족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더앙족은 현유인구가 15462인에 달하며, 주로 운남성 덕굉따이족, 징퍼족자치주 루서(潞西)현과 림창(臨滄)지역 진강(鎭康)현에 분포돼 있고, 일부분이 잉강(盈江), 서려(瑞麗), 롱천, 보산(保山), 량하(梁河), 룡릉(龍陵) 등 현에 분산되어 따이족, 징퍼족, 리수족, 한족 등의 민족과 잡거해 있다.
종 교 : 소승불교 * 기 타 : 조상은 한(漢), 진(晉)시기의 "푸런(僕人)"으로 지금의 와족, 뿌랑족과 같다. 또한 5조(五朝)및 당송(唐宋)대에는 남조(南詔), 따리국(大理國)의 지배를 받았고, 원대 이후에는 다이족 토사(土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더앙족은 흩어져서 거주하며, 오랫동안 한족, 다이족, 징포족, 와족 등과 뒤섞여 살았다.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제도 등이 모두 이러한 민족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더앙족은 쌀을 주식으로 하며 좁쌀 콩 등을 부식으로 먹는다. 진한 차를 즐겨 마시고 담배와 삔랑을 좋아한다. 차는 더앙족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차가 없으면 일이 성사되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더앙족은 그 거주지가 분산되고 사회발전단계가 각기 부동한 한족, 따이족, 징퍼족, 와족 등 민족과 잡거했기에 이런 민족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특히 따이족의 영향이 매우 커 종교신앙, 생활습관 등이 기본상 따이족과 같다.
중국의 더앙족은 모두 윈난성 내에 분포하고 있다. 주요 거주지는 윈난성 더홍(德宏)따이(Dai)족-징포(景頗)족 자치주의 루시(潞西), 루이리(瑞麗), 량허(梁河), 롱촨(Long川)등의 현(縣)지역과 바오산(保山)지구의 바오산현, 기타 린챵(臨滄)지역의 젼캉(鎭康), 껑마(耿馬), 용더(永德)등의 현지역, 그리고 쓰마오(思矛)지역의 란창(瀾滄)현에 살고 있다. 모두 윈난성의 서남부 변경 일대다.
대부분의 마을은 산악 지역에 있으며, 징포(景頗)족, 한(漢)족, 리쑤(LiSu)족, 와(Wa)족 등의 주거지와 곂쳐있다. 일부 구릉지역에 사는 더앙족은 따이(Dai)족 마을과 섞여 있다.
이들이 살고 있는 곳은 까오리(高黎)꽁샨(貢山)과 누샨(怒山)산맥의 자락인데, 아열대 기후에 속한다. 그리고 란챵(瀾滄)강, 누(怒)강, 따잉(大盈)강 유역은 많은 산과 계곡, 분지로 구성되어 있다. 인도양 계절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알맞다.
구릉지역의 연평균 온도는 22℃이고, 산지역은 19.5℃이다. 년 평균 강수량은 1,500mm 가량이며, 18%의 비가 5-10월에 내린다. 특히 7-8월에 집중된다. 기후는 건기와 후기로 나뉘는데, 여름에는 덥지 않고, 겨울에는 눈이 내리거나 얼음이 얼지 않는다.
이 지역은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삼림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다. 따라서 양질의 각종 목재와 약재가 많이 나며, 동식물 자원이 무척 많다.
명 칭
더앙족은 자칭 '더앙(德昻)', 타칭 '뻥롱(崩龍)'로 불리운다. 청대 이후에 기록된 윈난지방지 가운데에는 '뻥롱(崩龍)', '뻥즈(崩子)', '뻥즈(繃子)'로 기록되어있다. 현재의 중국이 세워 진 초기에는 '뻥롱(崩龍)'이라는 명칭도 같이 씌여지다가, 1985년 9월 중국 국무원의 비준하에 '더앙족(德昻族)'족으로 공식화되었다.
'더앙(德昻)'은 더앙족속의 말이다. '昻'은 '산의 바위', '산의 동굴'이라는 뜻이고 '德'는 존칭어이다. 따라서, 더앙족의 조상은 산의 동굴에서 살았으며, '德昻'이란 조상의 이러한 생활역사를 기려 지어진 것이라 하겠다.
지 계
더앙족의 지계는 비교적 많다.
루마이(汝買),루앙(汝昻), 루커(汝科), 루왕(汝旺), 루궈(汝果), 루뽀(汝波), 루진(汝進), 루어(汝峨), 루뻔(汝本), 루비에야(汝別牙), 루라(汝臘), 루왕(汝王), 루비에리에(汝別列), 루더비 에리에(汝得別列), 루멍띵(汝孟丁), 루뿌똥(汝布冬), 루뿌어(汝不峨), 루멍더띵(汝孟得丁), 루꺼뤄(汝各若)등 20여개 이다.
그 가운데 루진(汝進), 루커(汝科), 루마이(汝買)등 7개의 지계는 중국에 분포하고, 나머지는 미얀마에서 거주하고 있다.
사람들은 통상적으로 윈난의 더앙족을 루마이(汝買), 뿌레이(布雷),량싼(梁三)등 3개 지계로 보고있다. 부녀자들의 치마무늬를 근거로 하여, 한족들은 "헤이더앙(黑德昻)","홍더앙(紅得昻)", "화더앙(花得昻)"으로 나누고 있다.
더앙족은 고유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남아어계(南亞語系) 멍까오미엔(孟高棉)어족 와더( 德)어지에 속한다. 이것이 "루마이(汝買)", "뿌레이(布雷)", "루진(汝進)", "따앙(達昻)"등 4개 방언으로 나뉘어진다.
따앙(達昻)방언은 젼캉(鎭康), 껑마(耿馬)지구의 더앙족이 사용하고 있고, 루마이(汝買)등의 방언은 흩어져 있다.
더앙족의 언어는 장단, 파열음, 파찰음등이 분명하며, 비음이 청과 탁으로 구분되어있다. 복자음이 비교적 풍부하며, 성조가 없다.
인칭대명사가 단수 복수, 쌍수로 구분되며, 언어의 순서는 주어-동사-목적어로 되어 있어, 한국어의 어순과 비슷하다.
중국의 더앙족은 민족글자가 없어서 한자를 차용하여 쓰고 있으며,일부는 따이(Dai)어를 이해한다. 과거에는 따이문자을 이용하여 자신의 민족어 자모를 발음하였으나 그 사용범위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미얀마의 더앙족도 원래는 문자가 없었다. 후대에 미얀마어등의 문자를 이용하여 자신의 더앙문자를 만들었다. 이를 이용하여 수십년에 걸쳐 문자를 다듬었으며, 이미 민족문학작품 및 역사, 전설등을 기록하였다.
더앙(德昻)족과 남아어계(南亞語系) 멍까오미엔(孟高棉)어족의 와(Wa)족, 뿌랑(布朗)족, 커무(克木)인등은 고대의 "바이푸(百Pu)" 족에서 나왔다. 이들은 운남 남부와 미얀마 중부지역에서 살던 토착민이었다.
『화양국지(華陽國志), 남중지(南中志)』가운데 용챵(永昌)군에 '민푸(MinPu)', '루어푸(裸Pu)'라는 이름의 족속이 살았다는 흔적이 있다.
진한 시대에 용챵군의 범위는 지금의 바오샨지구, 더홍(德宏)지구, 린창(臨滄)지구, 쓰마오(思矛)지구, 시쐉반나(西雙版納)를 포함하였다. 이렇게 커다란 지역에 바이푸(百Pu)족의 부락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이 지역에서 생산된 큰 대나무가 유명하여 '푸주(Pu竹)'라 불리웠다.
당나라때, 원래의 '민푸(MinPu)'지역에 '푸즈만(撲子蠻)'족이 등장한 기록이 있다. 『운남지(云南志)』제4권에 보면, "푸즈만(撲子蠻)은 용감, 민첩하고 , 바지를 입는다......카이난(開南),인셩(銀生),용챵(永昌), 쉰촨(尋傳) 네지역에 산다. 란창(瀾滄)강 서북쪽에 철다리를 설치해 놓은 부락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푸즈만(撲子蠻)의 분포상황은 진한시대의 '민푸(MinPu)'와 지역적으로 일치하며, '撲'와 'Pu'가 발음상 동음인 것을 미루어 볼 때, 앞의 두 명칭은 같은 민족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원나라와 명나라때, 푸즈만(撲子蠻)은 '푸런(蒲人)' 혹은 '푸만(蒲蠻)'으로 불리웠다. 『운남지략(云南志略)』은, "푸만(蒲蠻), 일명 푸즈만(撲子蠻)이라는 족속이 란창(瀾滄)강 서쪽에 살고 있다"고 적고 있으며, 『백이전(百夷傳)』은, "윈난서남쪽 수천리 되는 곳에 바이이(百夷)가 사는데, 넓이가 만리나 된다.... 따바이이(大百夷),샤오바이이(小百夷),퍄오런(漂人),구츠(古刺), 하츠(哈刺), 미엔런(緬人),지에시에(結些), 인두(吟杜), 누런(弩人), 푸만(蒲蠻), 아챵(阿昌)이라는 이름으로도 쓰인다"라고 기록하고있다. 『백이전(百夷傳)』은 당시 더홍(德宏)에서 미얀마 경계이 달하는 따이(Dai)족과 기타 민족의 상황도 적고 있다. '푸만(蒲蠻)'은 이 지역에 분포되어 있었다.
명나라말 청나라 초기에, 더앙족은 '푸런(蒲人)'으로부터 갈라져 나와, 한 개의 독립된 민족을 이룬다. 이때부터 더앙(德昻;崩龍)족이라는 이름을 '뽀롱(波龍)','뽀롱(波籠)'으로 기재하여, '푸이(Pu夷)'와 구별하기 시작했다. '뽀롱(波龍)'은 더앙어로 '뻥롱(崩龍)'과 발음이 같다.
'뻥롱(崩龍)'이 곧 '더앙(德昻)'을 말함은 이미 언급하였다.
미얀마에 거주하는 뻥롱(崩龍)족의 전설에 의하면,그들과 와(Wa)족, 커무(克木)인은 모두 루이리(瑞麗)강 유역에서 기원하였으며, 참차 비옥한 토지를 향해 이동하였다고 한다.
중국 더앙족은 자신의 선조가 살았던 지역을 두 곳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나는 그들의 발원지가 더홍(德宏)주의 망(芒)시 일대이고, 다른 하나는 미얀마의 따샨(大山)이다.
이러한 주장이 모순되지 않는 것은 두군데 모두 루이리(瑞麗)강 유역에 있어서 같이 이어지는 곳이기 때문이다. 역사상 이주로 인해 다른 지역에서 다른 족속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오늘날 더홍(德宏)주에 있는 따이(Dai)족, 징포(景頗)족은 더앙족이 이곳에 비교적 초기에 거주하였으며 넓은 지역에서 살았다는 것을 인정한다.
현재에도 따이(Dai)족, 징포(景頗)족에는 아직도 더앙어의 지역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더홍(德宏)주 내의 각 현에는 지금 더앙족의 거주지가 없다. 하지만 뻥롱샨(崩龍山), 뻥롱칭(崩龍Qing), 뻥롱싸이(崩龍塞)등의 지역이 있는 것을 보면, 이 지역에 분명 더앙족의 조상들이 거주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더홍(德宏)일대에는 더앙족 및 그 선조들이 남긴 유적과 유물들이 발견되는데, 촌의 흔적, 돌판으로 만든 길, 돌다리, 마을 입구에 세워놓은 돌문, 탑 기초, 차 마시는 곳 등이다.
더홍(德宏)주 롱촨(Long川)현에서 북쪽으로 약 5키로정도 가면 빵와빠따(邦瓦巴達)향이 있다. 그 동편에 "나샨꽁(納Shan供)"이라는 뻥롱(崩龍)왕성이 있다. 성벽은 돌로 쌓았으며, 성 안에는주거지 유적이 있다. 부근에는 군대가 주둔한 흔적, 우물등이 있다. 징포(景頗)족 주민들은 "나샨꽁(納Shan供)은 전설가운데 있는 뻥롱(崩龍)족 왕자의 이름이다. 비록 이지역에서 더앙족이 주요 민족이 아니지만, 이 일대에서 최초에 거주했던 민족"이라고 소개한다.
상술한 유적지와 유물은 더앙족의 선조들이 돌을 잘 다음었으며, 차 재배에 능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이 아직도 더앙족내에 남아있다.
앞서 말했듯, 더앙(德昻)족은 윈난 서남 변경지역의 토착민이다. 지금의 더홍(德宏)주 등지는 고대 더앙족의 주요 거주지였다. 더앙족의 대부분은 지금 미얀마에 살고 있고, 일부만 중국에 분포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는 역사상 몇 차례에 걸쳐 민족이 이주한 결과다.
여러 가지 정황을 미루어보건대, 뻥롱(崩龍)족의 조상이 대규모로 미얀마로 이동한 시기는 원나라 때 이후이다. 이주의 과정은 대략 세 시기로 나뉜다.
1) 원나라 중기
1348년 경 지금의 롱촨(Long川)에 쓰(思)씨로 불리우는 세력이 일어나 전쟁을 벌였다. 이로인해 더홍지구의 통치세력으로 따이족이 등장하였고, 이 와중에 더앙족의 조상은 원래의 거주지에서 쫓겨나게 되었다. 지금의 더앙족에게, 조상들이 산이나 미얀마로 쫓겨가는 내용의 전설이 아직도 전해지고 있다.
2) 명나라 때
더앙족의 조상이 다시금 윈난 남부지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 이유는 명나라가 이 지방의 푸런(蒲人)에게 압박을 가하여, 푸런(蒲人)이 저항하였기 때문이고, 계속된 전쟁으로 일부는 미얀마 북부로, 일부는 윈난의 북부로 이주하였기 때문이다.
3) 청나라 때
1814년, 강압적 통치로 인해 농민들의 반란이 일어나게 되었고, 가혹한 탄압을 받는다.
더앙족은 사방으로 흩어져, 누(怒)강 동부, 미얀마로 도망간다. 이 이후로 더홍(德宏) 일대에서 더앙족을 찾기 힘들게 된다.
더앙족의 경작지는 논과 밭으로 나뉜다. 토지개혁 이전에는 더앙족의 논은 모두 개인 소유였고, 매매나 저당이 가능했다. 소라든지 각종 농구도 모두 사유재산이었다.
현 중국이 수립되기 전에, 더앙족은 정치적으로 권리가 없었고, 경제적으로 몹시 낙후한 삶을 살았다. 그래서 토지의 대부분은 한(漢)족이나 따이(Dai)족의 부유층에 의해 저당잡혀있는 상태였다. 이들이 토지를 저당잡히는 주요 원인은 집안의 관혼상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논의 경우, 토지가 저당잡히게 되면 수확량의 50-60%를 저당비용으로 채주에게 주어야하며, 기한이 만료되어 저당액을 상환해야만 토지에 대한 권리를 누릴 수 있었다.
밭의 경우는 조금 상황이 다르다. 밭은 촌락의 소유로, 개인은 점유권과 사용권이 있을뿐 소유권은 없었다. 촌락 구성원은 촌락 거주 범위 내의 토지와 삼림에 대해 개간할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
이를 '쥐엔쟌(圈占)'이라고 하는데, 더앙족은 '빵만(邦曼)'이라고 한다. '쥐엔쟌(圈占)'의 방법은 토지의 주위에 표시를 해놓는 형식이다. 하나는 초지에다 표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나무에다가 십자형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만약 토지를 개간하고 나면, 그것을 이용하든지 하지 않든지 개인이 점유권과 사용권을 누리게 된다. 그의 가족 구성원은 누구든지 경작할 수 있고, 임대도 가능하지만, 매매는 불가능하다.
토지권이 있는 자가 이사를 갈 경우, 토지는 부락의 소유로 귀속되며 지도자의 관리와 조정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새로 촌락으로 이주해오거나 새로이 가정을 만든 자에게 나누어준다.
더앙족이 밭을 경작하는 방법은 '고정지'와 '휴경지' 등 두가지 방법이 있다.
고정 경작지는 강가의 비교적 평탄한 지역에 있은 토지로, 주로 옥수수를 재배한다. 올해 옥수수를 심었으면 내년에는 콩류를 심는 방법으로 지력을 보존하고 생산량을 유지한다. 고정경작지는 전체 경작지의 20%좌우이며, 나머지는 계곡 부근에 있는 휴경지다.
더앙족의 전통 및 경험에 의하면, 한 곳에서 3년을 경작하면 15년을 휴경한다. 이러므로 한 토지는 한 세대에 3번 정도를 경작하게 된다. 이 지역은 덥고 비가 많이 내려 수목이 빨리 자란다. 10년 정도가 지나면 예전의 밭에 수목이 어느 정도 자라므로 이곳에 불을 놓아 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장기간의 화경에 의존하는 민족은, 나무들이 생존을 이어주는 중요한 자연조건일 수밖에 없다.
더앙족의 전설 『천왕지모(天王地母)』에 의하면, "옛날 옛적, 세상에 인류가 존재하지 않았을 때, 오직 꽃, 풀, 나무 등만이 있었다. 갑자기 커다란 돌풍이 불더니, 102개의 나뭇잎들이 떨어져 사람으로 변해 부부가 되었고, 이들이 인간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이렇듯 더앙족은 수목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원시 농업시대의 깊은 흔적이 남아있다.
예전의 각 더앙족 부락에는 함께 짐승들을 기르는 공동목장이 있었고, 그 장소는 휴경하는 산지를 이용하였다. 더앙족은 이를 '꺼쟝마(格江瑪)'라고 부른다. 매년 한 군데의 산지를 목장으로 쓰며, 한 목장은 계속하여 2-3년을 사용한다.
어떤 촌락들은 집단방목을 시행하기도 하였다. 예를들어 루시(潞西)현 싼타이(三台)산 빵와이(邦外)촌의 경우, 두 명이 한 조가 되어 2틀동안 책임지고 방목을 한다. 매일 아침 방목할 시간이 되면 책임자가 고함을 치는 형식으로 각 가정의 소를 일정 지점에 모이게 하고, 밤에는 바로 그 지점에서 각 자정이 소를 데리고 돌아가게 한다.
현 중국이 건국되기 전에는, 더앙족의 농업에는 엄격한 분업이 있었다.
남자들은 논밭을 갈고, 경지를 정리한다. 부녀자들은 씨를 뿌리고, 김을 매며, 재배에 종사한다. 그래서인지 더앙족 가운데에는 "남자는 밭을 매지 않고, 여자는 밭을 갈지 않네"라는 속담이 전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연로한 남자들은 일에 참여하지 않지만, 부녀자들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농업에 종사한다.
때로 농사에 바쁘거나 기타 중요한 일이 생겼을 때, 서로 품앗이를 하였다. 후에 이것이 발전하여 소로 사람의 힘을 바꾸고, 사람의 힘을 식량으로 바꾸게 되어, 더앙족 내에 고용관계가 생기게 되고 빈부의 분화가 일어나게 된다.
현 중국이 세워진 이후, 더앙족의 인구가 그다지 많지 않고, 거주지가 분산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더앙족 자체내의 경제조직이 세워져 있지 않으므로, 중국 정부는 토지 개혁 및 본토인 위주의 토지 제도를 시행하게 된다.
옛날, 더앙족의 거래활동은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고, 단지 한족, 따이족의 장날에 참여하는 정도였다. 내다 파는 물품은 마대, 배낭, 돼지, 닭, 오이, 파인애플, 차잎, 옥수수 등이고, 거래 대상물품은 곡괭이, 소금, 화약, 옷감 등이다.
한족과 따이족 및 미얀마 상인들과의 접촉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어떤 더앙족가운데 반농반상이 있는데, 농사일이 바쁠때는 농업을, 농한기 때는 상업에 종사한다. 미얀마로 들어가서 옷감이나 의복류를 가지고 와서 판다.
어로와 수렵도 더앙족의 경제 생활 가운데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로는 부녀가, 수렵은 남자가 하는 것으로 역할이 구분되어 있다.
채집은 계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대부분은 우기에 진행된다. 채집의 종류는 박하 등의 수생식물, 밤, 백로화등의 야생식물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야생버섯과 죽순도 채집하는데, 자체적으로 소비하기도 하지만 가공하여 시장에 내다팔기도 한다.
더앙족이 물고기를 잡는 방법은, 어항, 그물, 물빼기 등인데, 간혹 폭약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더앙족은 소승불교를 믿고 있어서, 살생을 즐기지 않는다. 따라서 수렵의 목적 들짐승들이농작물을 해치는 것을 막는 정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농한기때는 무리를 이루어서 산에 올라 노루와 사슴등의 동물을 잡는데 대부분 총과 활을 사용한다.
더앙족의 수공업은 그다지 발달하지 않은 편이다. 대부분의 품목은 집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고, 소수만이 시장에서 팔거나 교환한다. 지금까지 더앙족의 가내수공업은 대부분 원시적 상태인데, 죽기, 방직, 제지, 도자기, 화약제조, 차 제조 등에 머물고 있다. 그 가운데 방직 및 차 제조는 유구한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부 업
최근들어, 더앙족 지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비료사용 및 화학제초 방법기술이 보급되어, 곡물 생산량이 늘고 있다. 이와 함께 지형적 특성을 이용하여, 차, 고무등의 경제작물과 오이, 바나나, 버섯, 파인애플, 배, 석류, 망과등의 각종 과일을 재배하고 있다.
이 가운데 차잎 재배는 더앙족의 경제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더앙족의 성인 남녀들은 짙은 차 마시기를 좋아한다. 그래서 더앙족은 자신의 집 주위에 차 재배지를 만드는 습관이 있다.
더홍(德宏)주 잉쟝(盈江)현의 쑤디엔(蘇典)향, 루시(潞西)현 등지의 더앙족 유적지에는 지금도 수백년전의 차나무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을 더앙족 선조들이 남겨놓을 것이라는 전설이 있다.
더앙족의 차잎은 마른 차와 습한 차 두종쥬가 있다. 습한 차는 '쏸차(酸茶)'라고 불리우는데 문헌에는 '구(谷)'차로 기록되어 있다. 제작방법은 신선한 차앞을 대나무 통에 놓어 밀봉한 다움, 당분이 생겨난 다음 사용한다. 더앙족은 자체적으로 만든 차를 자신이 소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장에 내다 판다. 따이(Dai)족은 이 차 잎을 파는 더앙족 부녀들을 '미에닝(Mie寧)'이라고 하는데, '차잎 엄마'라는 뜻이다. 이러한 고유명사가 오늘날까지 더홍지구의 따이족 언어가운데 남아있다.
더앙족은 이렇게 차 나무를 재배하고, 차를 만들고 차를 마시는데 익숙하다는 명성이 나서, 윈난 소수민족중 '고대의 차 재배자'라는 칭호를 받기도 했다.
민족 관계
더앙족은 찬란한 역사를 거쳐왔다. 당시 그들은 운남지역의 계곡과 평원지역에 살았으며, 서로 다른 혈연관계 속에서 촌락을 이루고 외부세계와 교통하여왔다. 따이(Dai)족 투쓰(土司)제도의 영향을 받기 전에, 더앙족은 원시적 '촌락공동 의사결정체'의 사회조직형태를 띄었다. 더앙족에게는 자신의 '따이토우런(帶頭人;지도자, 한자의 王子를 차용)'이 있었다.
약 200여년전에는 헤이더앙(黑德昻)족에게는 아직 망(芒)시에 사는 따이(Dai)족 투쓰(土司)의 힘이 미치지 않았다고 한다. 그때 지금의 루시(潞西) 싼타이(三台)산에는 5명의 '따이토우런(帶頭人)'이 있었다. 이들은 망야(芒牙)등 5개 마을을 분할하여 관리하였다.
이들은 마을의 우두머리로서, 마을 내부의 종교, 생산, 민사소송등의 사무를 처리하였으며 대외적으로 전 마을을 대표하였고, 전쟁이 발생했을때는 사령관으로서 일했다.
당시 따이(Dai)족 투쓰(土司)는 이미 망(芒)시 지역을 통치하고 있었으나, 더앙족의 '따이토우런(帶頭人)'은 여전히 부족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명나라 때 이후, 더홍(德宏), 린창(臨滄), 바오샨(保山) 지역의 더앙족은 차츰 따이(Dai)족 투쓰(土司)의 속민이 되어갔고, 따이(Dai)족의 봉건영주제도의 통치하에 있게 되었다. 따이(Dai)족 투쓰(土司)는 더앙족의 우두머리를 관리로 파견하여 더앙족을 다스리는 형식을 취하면서, 더앙족으로부터 공물이나 세금을 받아갔다.
이때 더앙족의 우두머리를 '따깡(達崗)'이라 불렀으며, 젼캉(鎭康)지역의 한족은 이를 '종훠토우(總huo頭)'라고 불렀다. 이들은 마을내의 각종 사무를 처리하였다.
더앙족은 정치적으로 따이(Dai)족 투쓰(土司)의 통치를 받았고, 은, 담배, 죽순, 수공예품등 매년 일정량의 부담이 주어졌다.
그 외에도 더홍 일부지역의 더앙족은 징포(景頗)족의 영향 아래 있기도 했다. 징포(景頗)족은 더앙족의 재산과 안전을 보호한다는 명목하에 보호세를 징수했으며, 대부분은 곡물로 납부하게 했다. 명절 때, 따이(Dai)족, 징포(景頗)족의 우두머리가 집을 짓거나 관혼상제가 있을 때, 더앙족은 노동력을 제공하는 한편, 술과 고기, 금전, 차잎등의 선물을 바쳐야 했다.
현 중국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더앙족의 우두머리인 '따깡(達崗)'은 대부분 세습되었으며, 투쓰(土司)로부터 직접 임명을 받았다.
젼캉(鎭康), 껑마(耿馬)의 더앙족 기본 사회조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따깡(達崗)'은 각 마을의 우두머리인 '따지깡(達吉崗)' 가운데서 선출되었다. 임무는 투쓰(土司)와의 연락, 국민당정부의 법령집행 등이었다.
'따지깡(達吉崗)'은 '따깡(達崗)'의 하급자로, 각 마을을 관리하고, 군인을 선발하며, 촌락토지의 분배, 세금등을 관할하였다.
'따푸롱(大朴隆)'은 '따깡(達崗)'을 도와서 재정을 관리하며, 촌락에서 거행되는 혼인등을 돌아보았다.
'따지꺼(大基格)'는 구체적인 민사소송을 맡았는데, 절도, 토지 분규등이 이에 해당된다.
위에서 언급한 각종 지도자들 가운데 '따깡(達崗)'의 지위가 가장 높으며, '따지꺼(大基格)'가 가장 낮았다. 마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따지꺼(大基格)'가 해결을 시도하며 계속하여 위로 보고되어진다. 만약 '따깡(達崗)'조차 해결하지 못할 경우 각 촌의 지도자들이 모여 회의를 한 후 결정한다.
더홍지역이 젼캉(鎭康), 껑마(耿馬)와 다른 점은, 지도자들이 세습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군중이 선발한다는 것이다. 만약 지도자가 민심을 얻지 못할 경우, 군중은 그 직무를 해임할 수 있다. 오직 '따깡(達崗)'만은 각 촌의 지도자들이 선발하여 투쓰(土司)에게 보고한다.
현 중국정부가 세워진 이후로 이와같은 제도는 없어졌다.
더앙족은 고유의 성문법이 없고, 오직 관습법이 있다. 이는 촌락구성원간의 약속에 의해 보존된 좋은 전통이라 하겠다.
이들의 주요 관습법은 다음과 같다.
1. 촌락 공유지에서 주민들은 농사를 지울 수 있고, 벌목을 할 수 있다. 단 촌락지도자의 허가가 있어야한다. 만약 개인의 나무를 사용할 경우 사전에 주인의 동의를 얻거나 돈으로 구매해야한다.
2. 죽은 사람은 반드시 마을 공동묘지에 매장해야한다. 임의 매장은 불허한다.
3. 분가할 경우, 장자와 차자는 새로운 집을 짓도록 한다. 막내는 부모와 함께 살며 재산 승계권이 있다. 단 막내가 새로운 집을 지을 수도 있다. 재산 처리에 있어서 형과 동생이 따로 살 경우 각 가정의 형편에 따라 나누며 본가에도 일부를 남긴다.
4. 도둑질을 한 사람은 조사를 받고 손해를 배상해야한다. 만약 그러한 혐의가 있는 사람은 '신의 판단(神判)'을 받도록하는데, 끓는 물에서 동전을 건져내는 방법으로 판정을 한다. 만약 혐의가 있는 사람의 손이 끓는 물에 의해 상처를 입으면 도둑질한 혐의가 있는 것으로 알고 배상을 하게 한다.
후에 '神判'이 변해 군중이 함께 판단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마을 주민이 혐의가 있는 자의 일상생활 및 품행에 의거하여 판결한다. 만약 절도행위를 한 것으로 판단되면 반드시 배상해야하며, 배상하지 않을 경우 처벌을 가중하고, 심지어 마을에서 쫓아내기도 한다.
5. 남편이 있는 여인이 간음을 하면, 간부와 함께 처리하며 대부분 벌금을 물게 한다. 만약 남편이 외도를 하면 아내는 다른 이에게 시집을 갈 수 있고, 전 남편은 재물로 배상해야한다.
6. 여인이 혼인 전에 임신을 할 경우, 남녀 쌍방의 동의하에 결혼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먼저 마을을 정결케해야 하는데, 그 방법은 촌락 가운데 노인을 초청하여 식사를 대접하는 것이다.
자연환경
중국의 더앙족은 모두 윈난성 내에 분포하고 있다. 주요 거주지는 윈난성 더홍(德宏)따이(Dai)족-징포(景頗)족 자치주의 루시(潞西), 루이리(瑞麗), 량허(梁河), 롱촨(Long川)등의 현(縣)지역과 바오산(保山)지구의 바오산현, 기타 린챵(臨滄)지역의 젼캉(鎭康), 껑마(耿馬), 용더(永德)등의 현지역, 그리고 쓰마오(思矛)지역의 란창(瀾滄)현에 살고 있다. 모두 윈난성의 서남부 변경 일대다.
대부분의 마을은 산악 지역에 있으며, 징포(景頗)족, 한(漢)족, 리쑤(LiSu)족, 와(Wa)족 등의 주거지와 곂쳐있다. 일부 구릉지역에 사는 더앙족은 따이(Dai)족 마을과 섞여 있다.
이들이 살고 있는 곳은 까오리(高黎)꽁샨(貢山)과 누샨(怒山)산맥의 자락인데, 아열대 기후에 속한다. 그리고 란챵(瀾滄)강, 누(怒)강, 따잉(大盈)강 유역은 많은 산과 계곡, 분지로 구성되어 있다. 인도양 계절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알맞다.
구릉지역의 연평균 온도는 22℃이고, 산지역은 19.5℃이다. 년 평균 강수량은 1,500mm 가량이며, 18%의 비가 5-10월에 내린다. 특히 7-8월에 집중된다. 기후는 건기와 후기로 나뉘는데, 여름에는 덥지 않고, 겨울에는 눈이 내리거나 얼음이 얼지 않는다.
이 지역은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삼림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다. 따라서 양질의 각종 목재와 약재가 많이 나며, 동식물 자원이 무척 많다.
여성복식
긴 터번을 머리에 두르고, 짧고 몸에 꼭 맞는 상의와 긴 스커트를 착용.
紅德昻族 - 스커트는 붉은색 가로줄 무늬가 있고, 花德昻族은 적색과 흑 색 또는 적색과 청색의 줄무늬가 직조되어 있음
黑德昻族 - 주로 검정색 바탕에 적색, 혹은 백색의 가는 줄무늬가 직조되 어 있음.
남성복식
대개 靑 혹은 赤茶色의 상의와 짧고 헐렁한 바지 착용.
白布를 머리에 감고 한쪽으로 내려뜨려 비로드로 만든 여러가지 색상의 장식을 달았음.
銀장식은 黑德昻族 남성들이 가장 좋아하는 장식이며, 남녀 모두 호랑이, 사슴, 새, 꽃, 풀등의 동식물을 도안한 액세서리를 좋아함.
40) 아창족 (阿昌族) Achang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27.718(1990) 주로 운남성덕굉따이족징퍼족(德宏大族景頗族)자치주인 롱천(龍川)과 량하현에 집거해 있으며, 로서(潞西), 영강(盈江), 운룡(云龍) 등지에도 산재해 살고 있다. 이들은 고려공산(高黎貢山) 여맥의 구릉산지와 협곡평원에서 사는 유리한 지리적 우세로 수전농사에 이름이 높다.
아창족은 중국운남 경내에서 최초로 살아온 민족이다. 고대 한문사의 기재에 따르면 이 민족은 아창(峨昌), 아창(娥昌), 아창(莪昌), 아창(阿昌), 아창(棋昌)등 이름을 갖고 있었는데 이는 같지 않은 시기에 불리어 온 이름들이다. 새 중국 성립 후 아창족이라 명명했다.
언어와 문자 : 梁河, 龍川, 潞西 3개의 방언이 있으며, 문자는 없다. 아창족은 자기의 언어가 있는데 한장어계장면어족(漢藏語系藏緬語族)이다. 그들은 장기간 한족과 따이족들과 함께 생활해 왔기 때문에 한어와 따이족말을 알고 있다.
운남성의 더홍 태족징퍼족자치주(德홍泰族景頗族自治州)의 龍川 ,梁河등의 縣에 주로 분포하고, 소수는 盈江, 潞西, 瑞麗 및 保山지구의 龍陵 등지에 분포한다.
기 타 : 아창족은 칼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며, 유구한 역사의 阿昌刀는 날카롭고 아름다우며 견고하다. 은으로 만든 칼집은 꽃무늬를 도안하여 정교하고 아름다운 공예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은장식, 은학, 쟁반 등의 조각도 굉장히 정교하다.
대부분의 주택마다 뜰이 있다. 집은 말(斗)에 구멍을 뚫은 모양의 목재 대에 양쪽으로 경사면의 꼭대기에 기와를 얹은 집이다.
음 식 : 벼농사를 지으므로 쌀이 주식이고, 부식으로는 옥수수와 감자를 먹는다. 신맛의 음식을 좋아하고 빈랑 열매를 씹는 습관이 있다.
복 식 : 남자는 일반적으로 남색, 백색, 흑색의 맞섶저고리를 입고, 검은 색의 긴 바지를 입는다. 결혼한 여자들은 치마와 소매가 좁은 맞섶저고리를 입고, 미혼여성들은 긴 바지를 입는다. 명절이 되면 여자들은 모두 은장식을 하고, 미혼여성들은 나란히 단 4개의 단추 위에 4가닥의 긴 은사슬을 걸고, 허리까지 이어진 은사슬에 작은 은회색의 합을 달고, 은목걸이, 은귀걸이를 장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