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종(敎宗)
붙교의 한 종파. 교종이란 불타의 교설 및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종지(宗旨)를 뜻하여 불어종(佛語宗)이라고도 하는데, 부처의 일심(一心)을 전하는 불심종(佛心宗)으로서의 선종(禪宗)과 구별하여 각 종파를 교선양종(敎禪兩宗)으로 통합하여 나눈 데서 비롯된다.
고려 말에는 11개 종파가 있었고, 그 중 교종의 성격을 띤 종파는 6종이 있었다. 1406년(태종 6) 3월 조정에서는 전국의 사찰 수를 11개 종파에 242절로 정하였으며, 나머지 절들의 토지․노비와 모든 재산을 몰수하였다. 1407년 전 종단을 11종파에서 7종파로 축소시켰는데, 이 때 도문종(道門宗)이 화엄종(華嚴宗) 속으로 들어가고, 중도종(中道宗)과 신인종(神印宗)이 합쳐져 중신종(中神宗)으로 되었기 때문에 교종의 종파는 4종이 되었다. 그 때, 교종에 속한 절들의 수는 화엄종과 도문종을 합해서 43개, 자은종(慈恩宗) 36개, 중도종과 신인종을 합쳐서 30개, 시흥종(始興宗) 10개 등 총 119개였다.
24년(세종 6) 4월 예조의 계청에 의하여 그 때까지의 7개 종파를 선교양종(宣敎兩宗)으로 통합하였다. 이 때 교종은 18개 사찰에 전답이 3700결(結)이며, 승려는 모두 1800명만이 남게 되었다. 이러한 교세를 가지고 교종은 흥덕사(興德寺)를 도회소(都會所)로 삼고, 덕행이 높은 고승을 판교종사(判敎宗事)로 삼아서 종단 안의 모든 일을 맡아보게 하였다.
이 때부터 교종은 선종과 나란히 존속하였으나, 어떠한 인물이 배출되고 어떻게 종단을 이끌어 나갔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그 뒤 연산군이 교종의 도회소인 흥덕사와 선종의 도회소인 흥천사(興天寺) 등 성 안의 큰 절을 공해로 삼고 절의 토지를 모두 관부(官府)에 몰수하였으며, 승과제도도 실시하지 않게 되자 교종은 광주의 청계사(淸溪寺)를 임시 도회소로 정하여 종단의 명맥만을 유지하게 되었는데, 중종이 즉위하여 승과제도를 폐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교종은 없어지게 되었다. 1550년(명종 5) 12월 당시 섭정을 했던 문정대비(文定大妃)는 선교 양종을 부활시키고 봉선사(奉先寺)를 교종의 본사로 삼고, 수진(守眞)을 판교종사로 삼았다. 65년(명종 20)에 문정대비가 죽자 양종제도가 폐지되고 교종은 완전히 없어졌다. 그러나 선조 때에도 교학자(敎學者)라는 말이 보이며 그 뒤 조선 말기나 최근에 이르기까지도 화엄종사(華嚴宗師) 또는 화엄종장(華嚴宗匠)이라는 칭호를 받았던 인물이 적지않게 배출되었다.
2, 선종(禪宗)
중국 및 한국 조선시대 불교의 한 파. 6세기초 인도의 승려 달마(達磨)가 개종(開宗)하였고 당(唐)나라에서 송(宋)나라 초에 걸쳐 중국문명의 재편과 함께 민족종교로서 독자적인 교의와 역사를 만들었다. 경론(經論)의 학문에 의하지 않고 좌선과 문답에 의해 직접 부처의 마음을 깨닫는다는 견성오도(見性悟道)를 주장했다.
【중국】 선종의 이야기 가운데 부처가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하고 있을 때, 범천(梵天)이 금바라화(金婆羅華)를 바치자 부처가 아무 말 없이 이것을 대중에게 보였다. 그때 마하가섭만이 파안미소했기 때문에 부처가 가섭에게 정법안장(正法眼藏)을 전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것이 선종을 세운 토대가 되었다.
정법안장이란 불교의 정수(精粹)를 뜻한다. 가섭에게서 시작되었으며 달마가 중국에 와서 시조가 되었고 혜능(慧能)에 이르렀다. 혜능은 일생을 거의 링난〔嶺南〕에서 살았으며 글자도 전혀 몰랐으나, 노동과 참선에 의해 정법안장을 얻었다. 이 말을 모은 《육조단경(六祖壇經)》에 의하면 외부의 어떠한 환경에서도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좌(坐)>이며, 내부에서는 자성(自性)을 깨달아 자성이 흐트러지지 않는 것이 <선(禪)>이라 하였다. 종래 화베이〔華北〕의 수도를 중심으로 상층계급의 귀의에 의해 고도의 학문체계를 자랑한 각 파(派)가 당나라 말기 5대의 사회변동으로 일시에 쇠퇴한 것과는 반대로, 선종은 전국 각지에서 지지자를 얻어 5가(家) 7종(宗)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즉 위앙종, 조동종(曹洞宗), 임제의현(臨濟義玄)의 임제종(臨濟宗), 운문문언(雲門文偃)의 운문종(雲門宗), 법안문익(法眼文益)의 법안종(法眼宗)이 있고, 임제종 8대의 황룡혜남(黃龍慧南)과 양기방회(楊岐方會)가 각각 창시한 종파를 더해, 5가 7종의 선종이 근세 중국 불교를 대표했다.
【한국】 424년(세종 6) 예조의 계(啓)에 따라 7종파를 선종과 교종의 두 종파로 폐합할 때, 조계종(曹溪宗)․천태종(天台宗)․총남종(摠南宗) 등 세 종파는 선종으로 단일화되었다. 선종은 흥천사(興天寺)를 도회소(都會所;總本寺)로 하여 모든 종무(宗務)를 집행했다. 그러나 중종의 즉위와 함께 승과제도를 폐지함으로써 선종과 교종도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1550년(명종 5) 당시 섭정하던 문정대비(文定大妃)에 의하여 선종․교종이 다시 부활되었고, 선종은 봉은사(奉恩寺)를 본사로 삼고 허응당(虛應堂) 보우(普雨)가 주지를 맡았다. 65년 문정대비가 죽자 양종제도가 폐지되어 선종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선종(특히 조계종 계통)에는 지엄(智嚴)․영관(靈觀)․휴정(休靜)․선수(善修) 등 많은 인물이 배출되었으며, 휴정과 선수는 암흑기 조선불교를 중흥시킨 고승이었다. 휴정의 제자 가운데 유정(惟政)․일선(一禪)․언기(彦機)․태능(太能)은 각각 사명파(四溟派)․정관파(靜觀派)․편양파(鞭羊派)․소요파(逍遙派)를 이루었으며, 선수는 부휴(浮休) 및 벽암(碧巖) 문파를 형성했다.
비록 종명은 없었지만 휴정과 선수 이후의 법손들이 선법의 계통, 즉 선종을 흥성하게 이어왔기 때문에 포교활동이 자유로워진 조선 말기에는 원종(圓宗)을 이어 임제종의 이름을 붙였고, 다음에 조선불교선교양종(朝鮮佛敎禪敎兩宗)이라고 부르다가 1941년 조계종이라는 종명을 확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