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영어과 교수학습방법
초등학교 영어 교과는 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간단하며,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과로써 영어과 교육과정의 총괄 목표도 “영어에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며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내용도 의사소통의 바탕이 되는 단어 기능 교육, 그 가운데서도 음성 언어 교육이 주가 된다. 언어의 여러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기능은 의사소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의 영어 교육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문자 언어 중심의 영어 교육을 음성 언어 중심의 언어 교육으로 전환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역점을 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영어과 교수?학습 방법 역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언어 교육에 그 초점을 맞추어야 하겠다. 모든 교수법은 그 나름대로의 이론과 체계를 갖추고 있으므로 그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용하여야 하는데 의사소통 능력 이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교수 방법으로 다음의 몇 가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1. 전신 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TPR은 Asher(1977)가 제안한 교수법으로 신체적 활동을 통한 언어의 교수를 시도하고 말과 행동의 일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는 구조 언어학과 발달 심리학(Development psychology)을 기본으로 하고 인본주의에 입각한 학습과 교수를 의도한 교수법이다. 특히 TPR은 보다 높은 언어 숙달 수준으로까지 유도시키는 명령문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 방법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짧고 간단하다. 1) 지시 사항 2) 지시 사항을 듣고 이해하기 3) 분명한 행동 4) 이해에 대한 시각적 확인 이러한 방법들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지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아동들이 온 몸을 사용하도록 하는 지시를 한다. 예 : Raise your hand and turn around three times. 2) 교실 내에 있는 직접 만질 수 있는 물건들을 활용할 수 있는 지시를 한다. 예 : Walk to the chalkboard. Take a piece of yellow chalk. Draw a picture of the sun. 3) 그림, 지도, 숫자 등을 지시에 사용한다. 예 : Go to the map and trace the outline of Korea. 학습해야 할 어휘의 수는 1시간에 5~6개의 단어가 좋으나 아동의 이해도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교사가 필요에 따라 직접 행동을 취하면서 말을 하고 학습자는 교사의 동작을 보고 따라서 행동을 할 수 있게 만든다. TPR의 교수 절차는 우선 교사가 교실에서 감독의 역할을 맡아 복습과 새로운 어휘의 제시나 연습을 명령문으로 하는데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Review : Sun-hee, throw the red flower to Jin-su. Ji-na, scream. Mi-na, pick up the flower and put it on the desk. New commands : Wash your hands/your face/the cup look for a towel/the soap/a comp hold the book/the cup/the eraser triangle draw a triangle on the blackboard/ pick up the triangle from the de나 Asking question : Where is the towel? Nam-ho, point to the towel. Role reversal : 학습자가 자원하여 다른 학생들에게 명령한다. Reading and writing : 새로운 단어나 문장을 칠판에 쓰고 학생들에게 읽어주며 학생들은 그 말을 듣는다.
이 교수 절차에 의하면 교사가 수업을 주도하며 학습자는 주로 듣는 일과 행동의 수행을 하며 교실에서의 활동은 역할 분담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소재는 일상 생활에서의 상황을 중심으로 제시한다. 이 방법은 언어의 적극적인 수행을 못한다는 비판과 듣기 연습만 시키면 학습에 흥미를 읽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교사의 명령에 대하여 아동들이 실제로 움직여 행동으로 반응을 나타내어야 하므로 주의력도 집중될 뿐 아니라 자신의 성취를 행동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강화의 효과도 크므로 정기적으로 기억에 남을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초등학교 영어 지도에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2. 집단 언어 학습법(Community Language Learning) 집단 언어 학습법은 일명 Community Learning이라고도 하는데 전자는 La Forge(1971)에 의해, 후자는 Curran(1972)에 의해 창안된 교수법으로 명칭은 다르지만 기본적 출발과 절차가 유사하다. 집단 언어 학습법은 인간 중심적 접근 이론(Humanistic approach)에서 출발하고 Rogers(1951)의 상담 이론을 적용하여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를 상담자와 피상담자의 관계로 보아 상담적 교수를 통한 전인학습(Whole-person learning)을 주장한다. 수업 절차는 우선 학습자들의 좌석을 원형으로 배치하여 Face-to-Face 또는 시각적 접촉이 가능하도록 한 후 대개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우선 모국어로 대인관계를 확립하고 난 뒤 피상담자(학습자) 집단을 원형으로 둘러 앉히고, 상담자(교사)는 그 원형의 바깥쪽에 서 있는다. 피상담자는 외국어를 전혀 모르는 초심자일 수도 있으며 피상담자 중의 한 사람이 그 집단이나 개인에게 말하고자 할 때는 모국어(예, 한국어)로 말하면 상담자가 그 발화를 제2언어(예, 영어)로 학습자에게 되 번역해 준다. 그 후에 학습자는 그 영어를 될 수 있는 대로 정확하게 반복한다. 또 다른 피상담자가 한국어로 반응을 하고 그 발화를 상담자가 번역하며 피상담자가 그것을 반복하고 대화는 계속된다. 그리고 가능하면 나중에 청취를 위하여 녹음해 두고 수업이 끝나면 학습자들은 전원이 귀납적으로 그 녹음 테이프로부터 새로운 언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게 되며 만일 더 원한다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특정 언어 규칙이나 항목에 대한 설명을 아동들에게 해 줄 수도 있다. 집단 언어 학습법에 사용되는 특정한 교재는 없으며 교사 스스로 화제를 개발해도 된다. 그러나 의사 소통을 하려는 의도에 따라 일정한 교재가 없이 수업의 내용이 선정되므로 학습자의 필요와 지식에 따라 소재와 표현상 제약을 받게 되며 영어 교사는 이중 언어에 유창해야 한다는 제약이 따른다. 몇 가지 단점과 제약이 따르지만 무엇보다도 집단 언어 학습법은 학습자 인격을 존중하며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발적 활동을 통해 수업을 해 나가므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아동 자신이 교재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동기를 높여 주고 외국어로 의사 소통한다는 욕구를 직접적으로 충족시켜 줌으로써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르는데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3. 침묵식 교수법(The Silent Way) 이 교수법은 Gategno(1972)가 제창한 교수법으로 교사는 교실에서 가능한 한 말을 적게 하고 학습자에게 말을 많이 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언어 심리학에 기초를 두고 있으나 언어학적으로 구조적 접근을 시도한다. 침묵식 교수법의 목표는 초보 학습자에게 영어의 기본 요소를 듣고 말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며 원어민에 가까운 유창성과 정확한 발음을 습득하는 데 있다. 이 교수법의 예를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 기간에 교사가 작은 상자 하나를 들고 들어와 그 안에서 rod를 하나 꺼내어 아동들에게 보이면서 영어로 ‘a rod'라는 말을 한 다음 책상 위에 놓는다. 이어서 그는 다른 rod를 꺼내 ‘a rod'라는 말을 하고 책상 위에 놓는다. 7~8번 이렇게 반복한 다음, 아동들에게 rod를 보여주며 묵묵히 몸짓만으로 ’a rod'라고 말을 하도록 유도한다. 아동들이 ‘a rod'를 학습하고 나면 다른 낱말이 도입되는데 교사는 4~5개의 각각 다른 색깔의 rods를 보이면서 ’a blue rod', 'a black rod', 'a red rod', 'a yellow rod'와 같은 말을 하고 rod를 보이면서 아동들에게 위와 같은 말을 하게 한다. 아동들이 이러한 표현을 말할 수 있게 되면 다음 단계에서는 ‘take a blue rod.', 'give it to me.' 등의 표현을 같은 방식으로 익히게 하고 더 나아가 접속사 ’and'등을 도입하여 ‘take a _____ rod and give it to _____.' 등의 표현을 하게 한다. 침묵식 교수법의 교수 절차는 교사가 직접 발음을 가르치지 않고 한 번만 시범을 보여주면 아동은 주의를 기울여 듣고 자기가 가진 정보를 종합하여 자신의 발음을 만들어 내며 교사는 chart, rods 그리고 다른 교구를 사용하여 가르치며 아동의 오류는 간접적으로 수정하여 정확한 영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이 교수법의 교수 요목은 기본적인 사항만 예시되었을 뿐 구체적인 내용과 짜임은 명확히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우리 교육의 여건과 아동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교수 요목의 개발과 침묵식 교수법의 원리에 적합한 수업 기술의 개발을 위하여 우리 교사들의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4. 암시적 교수법(Suggestopedia) 이 교수법은 Bulgaria의 정신 의학 교육자인 Lazanov(1978)에 의해 개발된 암시적 방법(Suggestology)를 이?한 교수법으로 영어 학습의 조건을 중시하며 이 교수법의 학습이론에 내포된 이론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1) Authority 2) Infantilization 3) Double-planedess 4) Intonation, rhythm and concert pseude-passiveness 즉 우선 교사와 학습자 간의 관계에서는 신뢰가 있어야 하며 역할 분담이나 노래, 게임 등을 통해 학습자를 동심의 세계로 유도하고 직접적인 교수와 학습 환경이 동시에 중요하다. 또한 학습의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서 교사가 자료를 제시할 때 음조와 억양이 다양하여야 하며 음악적 배경이 학습자에게 편안한 마음을 느끼게 해야한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음악의 형태가 중요하며 이 교수법의 목표는 높은 수준의 대화를 빠른 시간에 숙달하는데 있으며, 단어의 단순한 기억이나 암시보다는 의사 소통 능력의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교수법이다. 이 교수법에는 3가지 기본 사항이 있는데 그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기 학습한 것을 복습하는데 복습할 때에는 Direct method의 요령과 같이 하며 주로 교사 대 아동, 아동 대 아동간에 회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2) 교재는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대화와 상황에 맞는 것이어야 하며 약간 전통적 방법으로 전개되며 문법과 번역을 제외하고는 외국어로 진행한다. 3) 1시간의 수업에서 새로운 내용은 2회 반복하는데 첫 번째는 리듬, 억양, 발음 등을 정확히 말해 준다. 두 번째는 조용하고 즐거운 음악을 들려주면서 교사가 수업을 진행시키고 수업자는 의자에 기대어 앉아 차분한 마음으로 듣는다. 이때 수업자는 요가에서 행하는 호흡의 억제, 감각의 통제, 정신 통일 등의 상태에서 듣는다. 이 교수 방법에 대해 비판과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지만 아동들의 긴장을 풀게하고 암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언어 교육을 시도하려는 시도는 영어 교육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게 해 준다.
5.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은 하나의 특정한 교수 방법이라기 보다는 교육 이론에 가깝다. 이것은 언어의 의사 소통 기능에 중점을 두고 그 기능을 토대로 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여 영어의 구조에 대한 정확한 지식보다는 의사 소통을 위한 유창성을 강조한 교수 요목의 설계와 수업의 진행을 주장하는 교수법이다. 1971년 영국의 Halliday, Widdowson, Wilkins 등의 일련의 언어학자와 응용 언어학자 그 외 전문가들은 EC와 유럽 연합회 등을 통해 상호 의존도를 높이고자 공통된 영어를 가르칠 필요성을 느껴 Unit-credit system을 개발하고 의미적-기능적 교수 요목을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이 교수법은 언어를 의사 소통 수단으로 보고 학생의 의사 소통 능력 개발을 영어 교육의 목표로 삼는다.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이란 용어는 Dell Hymes(1967, 1972)가 Chomsky(1965)의 언어 능력의 개념이 너무나 한정적이라고 확신하여 새로이 사용한 용어인데 의사 소통 능력에 대한 정의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Michael Canale & Merill Swain(1980)에 의한 연구가 사실상 모든 논술의 기준점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들에 의하면 의사 소통 능력은 단순히 즉흥적인 자기 표현만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언어의 구조와 규칙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여 담화와 사회 언어적, 언어 외적인 요소들을 바탕으로 주어진 상황과 관계에 따라 어떠한 언어를 사용함이 적절한지를 감별할 수 있는 능력까지를 포함한다고 한다.
이러한 의사 소통론이 초등학교 언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하면 1) 언어는 의사 소통을 위한 것이다. 2) 교실에서의 학습 활동 또한 단순한 문형 연습에서 언어가 사용되는 실제와 비슷한 상황 속에서의 활동이 필요하다. 3) 어휘력 증진이 시작부터 중요하므로 문법 학습은 최소한으로 한다. 4) 교과 과정은 상황과 기능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나선형으로 진행되어 나갈 때 효과적이다.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의 수업 절차는 가르치는 기능, 학습자의 수준, 연습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며, 이 교수법에 사용되는 교재는 화제 중심, 과업 중심 그리고 실물 교재 등인데 수업의 구체적 방법은 Game, Storytelling, 어린이들에게 손이나 몸동작이 따르는 노래(Songs, Rhymes, Finger plays), 그룹 학습(Cooperative group works), 역할극 등 너무나 다양하다. 그러나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은 그 설계나 교수 절차에 관해서 아직 연구와 개발이 계속 되어야 할 부분이 많으며 이 교수법이 모든 수준의 학습자에게 적용될 수 있느냐? 영어 교사가 영어 사용 원어민이 아닌 경우에도 적합하느냐? 등에 관한 의문점이 남아있다.
6.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 자연적 접근법은 모국어에 의존하지 않고 의사 소통 상황에서의 영어를 사용하도록 하는데 기초를 둔 교수법으로 Krashen & Terrell(1983)이 제한하였으며 아동들이 새로 배우는 언어를 의미 있는 상황 속에서 경험하고 관련짓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자연적 접근 방법은 기본적인 소통 기능, 즉 일상적인 언어 상황-길 안내, shopping, radio 듣기 등-의 목표달성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개념을 소개할 때 생생한 그림을 제시하거나, 학습자들이 학습할 대상을 그림이나 사물로 직접 체험하게 하면서 교사는 아동들의 수준에 맞는 질문들을 단계적으로 해나간다. 자연적 접근법은 학생들이 처리해야 할 정보량이 단계별로 증가하므로 학습 효과가 높다고 하겠는데 기본적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 목표어의 사용자와 의사 소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상황과 주제 및 기능들을 세목화 할 수 있다. 교사가 하는 역할은 이해 가능한 언어 입력을 학습자에게 주고 학습 분위기를 흥미 있고 친근하며 정의적 여과를 낮게 하는 일과 다양한 집단과 학습 내용, 상황에 부합된 학급 조직을 선정, 조직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일정한 교재의 사용보다는 학습 활동이 실생활과 연결되도록 하거나 실물교재나 그림, 지도, 광고문, 게임 등을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 개념을 소개할 때 생생한 그림으로 제시하거나, 학습할 대상을 그림이나 사물로 직접 체험하게 하면서 교사는 아동들의 수준에 맞는 질문들을 단계적으로 해 나가는데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Level 1. Yes-No question (아동들은 Yes/No, 이름으로 대답한다.) 교사 : Here is an animal. Does it have legs? 아동 : Yes/No Level 2. Alternative question (아동들이 할 대답이 이미 질문 속에 들어 있다. 아동들은 요구되는 답을 질문 속에서 찾아 대답한다. 이해된 개념을 주어진 문장 속의 힌트를 듣고 말을 해 볼 수 있는 단계이다.) Level 3. What, when, where, who question (아동들은 한 단어나 한 구문으로 대답한다. 이해된 개념을 스스로 정리하여 대답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진다.) 교사 : Where is the book? What does Hodori have? Level 4. Whole question (아동들이 문장이나 행동으로 대답한다.) 교사 : What is Hodori doing?
7. 절충식 교수법(Eclectic Approach) 최근 수 십년간 많은 영어 교수법과 교수 이론이 등장하여 영어 교수, 교재 제작, 교육 과정 개발, 정책 결정에 많은 공헌을 해오고 있으며 영어 교사는 실제 교실에서 학생을 교수할 때 자기가 선호하는 특정한 교수법을 사용하기도 하며, 때로는 새로운 교수법의 적용을 위해 다른 동료 교사와 토론을 하거나 교실에서의 실험을 시도한다. 그러나 그 때마다 특정한 교수법을 교실 수업에서 적용하기는 어려워, 그 교수법만을 고집할 수 없고 절충식 교수법(Eclectic approach)을 사용할 필요를 느끼게 된다. ‘절충식’이라는 용어도 의미하는바가 다양한데 넓은 의미의 절충식이란 교수 이론과 교수법의 절충과 통합을 의미하며 ‘과거의 방법을 수정하고 여러 개념을 도입하여 절충해 나가는’(이계순, 1986) 방법을 지칭한다. 이 경우의 절충식 전통적 교수법인 직접식 교수법과 청화식 교수법을 수정한 방법들을 총칭하며 청취 이해 우선 교수 방법(Comprehension approach)과 학습자 중심 교수법(Learner centered approach), TPR 등을 절충식 교수법이라 한다. 이 절충식 교수법은 영어 교수와 학습에 관한 여러 가지 이론과 방법을 도입하고 이를 통합하는 수업 절차와 기술의 적용을 지칭한다. Rivers(1981)는 ‘절충주의자란 잘 알려진 모든 교수법의 기술을 교실 수업에 흡수, 적용한다.’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Eclecticists try, then, to absorb the best techniques of the well-known language teaching methods into their classroom procedures, using them for the purposes for which they are most appropriate.' 이는 좁은 의미의 절충식을 말하며, 이러한 절충식 교수법은 학습자, 교사, 교육 목표, 사회 문화적 배경 등 변인들이 어느 정도 여과될 수 있다는데서 그 필요성과 당위성을 찾을 수 있다. 영어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의미 있는 특별한 목적과 목표, 특정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하지만 어떤 교수법이거나 모든 상황에 다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또한 영어 교사는 여러 가지 종류의 교수법에 내포된 원리를 잘 이해하는 일과는 상관없이 수업 현장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에 관한 결정을 해야한다. 영어 교수 이론은 가르쳐야 할 내용과 내용 선정의 과정, 지식과 기능의 분류, 분류의 과정에 관한 결정을 필요로 하며, 교사는 교실에서 일어나는 상호 작용과 언어 행위의 본질, 언어적 수단, 교재, 교수법들의 장단점과 적용 가능성에 관하여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진정한 의미의 절충식 교수법이란 시대와 상황 및 교실 현장에서의 변화하는 교육 목표와 학습자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을 의미한다. 절충식 교수법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려면 먼저 교사는 창조적이고, 능동적이며, 실험과 연구를 기꺼이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을 길러야 할 것이다. |
출처: 너 하나님의 사람아 ! You man of God ! 원문보기 글쓴이: 에드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