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원래 혼인은 혼(婚)자는 혼(昏)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혼례는 어두울 때 행하는 것이 예로 되어 지금도 혼례 시작전에 양가 어머님께서 청.홍초에 불을 밝히고 있으며, 혼인은 곧 인륜지 시초라는 뜻입니다. 우리 나라의 혼인 제도의 변천을 보면,부여에서는 일부일처제 였고, 옥저에서는 돈을 받고 혼인하는 매매결혼이 행해졌으며, 고구려에서는 신부의 집 뒤뜰에 서옥이라는 조금한 집을 짓고 사위가 거쳐가다가 자식을 낳아 큰 다음에 비로소 아내를 데리고 자기 집으로 돌아가 이는 모계 씨족시대의 유풍이라고 보입니다. 그러나 고려를 거쳐 조선조로 들어와서는 유교의 가르침에 의한 혼례가 유가의 예문에 따라 행해졌었습니다. | |
그 후 서구의 문화가 들어오면서부터 거의 모두가 신식에 의한 혼례를 행하게 되었고, 혹 전통적인 옛날의 의식을 답습하는 혼례라 하더라도 많이 간소화되었습니다. |
|
|
|
|
|
|
|
혼인을 의논하는 절차로서,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어, 상대방의 인물, 학식, 가풍등을 조사하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 에 의하여 정식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 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 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이다. | |
|
|
|
|
|
혼인 결정 되었으므로 신랑이 사주를 적어 신부의 집으로 혼서지 (婚書紙)를 보내는 정차를 납채라 한다. 납채를 보낼때에는 아침 일찍 일어나 편지를 받들고 사당에 가서 조상에 아뢴후 신부의 집으로 보내는데 신부의 집에서는 부모가 나와 편지와 납채를 받아 가지고 역시 사당에 가서 조상에게 아뢰 게 된다. 그러면 신랑이 사주를 받은 신부집에서 혼인식을 치를 길일을 확정 하여 신랑집에 보내게 되는데 이것을 연길이라 한다. | |
|
|
|
|
|
혼인 허락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에 보내는 예물 로서 신부용 혼수와 예장, 물목을 넣은 혼수함을 보내어 최종 혼사 를 결정하는 의식을 말한다. 혼서는 신부집에서 무척 소중한 것으로서 일부종사의 의미로 일생 동안 간직하였다가 죽을 때 관 속에 넣어 가지고 간다고 한다. 신랑집이 가난한 경우 혼서와 함께 채단만을 보낸다. 채단은 보통 청색과 홍색의 비단 치마감을 일컫는다. 여유가 있는 집에서는 다른 옷감을 더 넣어 보내기도 하는데 이를 봉채(封採)라 한다. | |
|
|
|
|
|
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혼례를 치루고 신부를 맞아오는 예로서 요즘 의 결혼식이다. 친영은 전안례. 교배례.합근례의 순으로 행해진다. 집례자가 홀기에 따라 식을 진행한다. | |
|
|
<?=$Config_Admin_name?>에서 준비한 전통혼례식 진행 순서는 우리 고유의 혼례 절차에 충실하고자 하였습니다. 시간과 장소에 따라 진행하기 힘든 절차는 현대적인 감각으로 보완을 하였고, 지방에 따라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혼례시간은 전통혼례식(30 - 40분) , 사진촬영 및 폐백(30~40분) 정도 소요됩니다. |
|
|
|
|
|
|
|
|
|
사람은 성년이 되면 먹고 입고 자는 것과 다름이 없는 성의 욕망을 갖게 되는데 아무데서나 함부로 관계를 해서는 안됩니다. 그래서 한 남자와 한 여자 사이에 일부일처의 혼인이라는 관계를 이루어 낸 것입니다. | |
|
|
|
|
|
|
|
양가 어머님이 청(신부) .홍(신랑) 초에 불을 밝힌후 사돈 될 양가 상호간 및 하객들에 대한 공식적 인사의 자리 마련. 전안례의식 - 본 의식은 신랑이 목기러기 한쌍을 신부 어머님께 전달하는 의식으로 기러기는 한번 부부관계를 맺으면 죽을 때까지 절개를 지킨다 하여 신랑이 백년 해로의 징표로서 드린다. | |
|
|
|
|
|
|
|
신랑은 친구들로 구성된 목마를 타고 기럭아범을 앞세우고 입장. | |
|
|
|
|
|
|
|
신랑이 입장 할 때 가지고 온 기러기 한 쌍을 신부 어머님께 전달한 후 큰절. | |
|
|
|
|
|
|
|
신부는 청사초롱을 앞세우고 꽃가마를 타고 수모 두분과 함께 입장. 교배례의식 - 본 의식은 신랑과 신부의 첫 만남을 의미하며 상대방에게 큰절을 함으로서 백년해로의 서약을 맺는 상견례의식. | |
|
|
|
|
|
|
|
혼례에 임하기 전에 몸과 마음을 청결하게 그리고 순결하게 살겠다는 굳건한 약속으로 맑은물에 손을 씻는다. | |
|
|
|
|
|
|
|
서로 상대방에게 절을 함으로서 백년해로의 서약을 맺는다. 합근례의식 - 술잔과 표주박잔에 각각 술을 나누어 마시는 의식으로 반으로 쪼개진 표주박잔은 그 짝이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으며 둘이 합쳐짐으로 온전한 하나를 이루는 백년해로의 확인 의식. | |
|
|
|
|
|
|
|
처음 술잔으로 마시는 술은 부부로서의 인연을 맺는 것을 의미하며 표주박잔으로 마시는술은 부부의 화합을 의미한다 | |
|
|
|
|
|
|
성스럽고 기쁜 혼례를 하늘에 고하여 이 뜻을 만천하에 전하여 신랑,신부의 앞날을 축원하는 고천문 낭독. | |
|
|
|
|
|
|
양가부모님 및 축하객 여러분들게 감사의 큰절을 올린다. | |
|
|
|
|
|
|
다남과 다산을 기원하며 하늘 높이 장.암닭을 하늘높이 날린다. 축하공연 : 축하객들이 보내는 축하공연 한마당(사물놀이. 판소리. 축시. 축가등) | |
|
|
|
|
|
|
새내기 부부의 앞날에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며 신명나는 풍물소리에 맞춰 힘찬 성혼 행진을 한다. 이때 축하객들은 초례상 위에 있던 팥과 쌀을 한줌씩 나누어 쥐고 있다가 성혼 행진을 할 때 신랑,신부를 향해 "행복하게 잘 살아라" 라는 덕담과 함께 던진다. (팥은 액을 몰아내고, 쌀은 복을 기원하는 음식임) | |
|
|
|
구분 |
내용 |
금액 |
혼례준비 및 진행 |
ㆍ집례자(사회) 1인 ㆍ진행자(스탶) 4인 ㆍ혼례청 상차림음식(밤,대추,감,팥,쌀) ㆍ소례상 상차림(술,표주박,주전자.소례상) ㆍ신랑,신부 혼례복 및 가마꾼 의상 혼례소품 (천막,병풍,꽃가마,돗자리,대례상,놋대야,목기, 청사초롱, 비단길.송죽,청홍초,목기러기,장암닭 수건,청실홍실등) ㆍ혼구용품(장갑,생화지,방명록,성혼선언문,혼인서약서등)
|
90만원 |
혼례 |
ㆍ신부 신랑화장 ㆍ원판및 스넵사진 ㆍ비디오촬영 |
95만원 |
전통혼례 비용 [ 185 만원 ] | |
|
|
|
|
전통혼례식은 혼례식에 참가한 양가 친지들 및 축하객들이 혼례식이 끝날때까지 자리를 뜨지 않고 새로이 탄생하는 새내기 부부에게 힘찬 박수를 보냅니다. 그리고 한마디씩 합니다. 이것이 진짜 결혼식이야! 하면서 모두가 흐믓해 합니다. |
|
|
|
|
평생에 한번뿐인 결혼식임에도 불구하고 토,일요일 대목 시장판처럼 붐비는 예식장에서 시간 에 쫒기는 신랑,신부의 짧은 연기와 무표정한 하객들의 모습은 우리의 잔치마당이 아닙니다. 당연히 전통혼례는 그 희소성의 특성상 결혼 당사자와 축하객 모두에게 잊혀지지 않는 멋진 혼례식의 추억을 선사합니다. | |
|
|
|
|
우리나라 전통혼례 특정상 풍물(사물놀이)을 빠질수 없는 요소입니다. 사회자의 단순한 결혼식 개시 구호가 아닌 흥겨운 풍물패 상쇠의 걸쭉한 덕담과 함께 시작되는 우리의 전통혼례는 축제로서의 진수를 보여 줍니다. | |
|
|
|
|
전통혼례에 등장하는 모든 혼례 소품과 진행방식은 그 자체로서 하객에게 지루하지 않고 흥미 진지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시종일관 긴장을 늦출 수 없게 합니다. | |
|
|
|
|
풍물패의 풍물놀이와 덕담등으로 참여한 하객 모두에게 신명난 혼례가 진행되며, 다양한 전통축제의 흥겨운 놀이문화를 부가시킬 수 있는 독특한 혼례로 혼인 당사자와 하객 모두에게 잊혀지지 않는 유별난 멋진 혼례식입니다. | |
|
|
|
| |